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사선 없이 찌 맞추는 방법이 있나요??

제가 자주 가는곳이 송라지인데 그동안 수심 체크 후 찌를 수심 반정도에 마추구 바늘없이 케미와 케미고무 경계지점에 찌 맞춤 후 한마디 에 수침을 맞추고 떡밥달고 던지면 찌가 가라 않더라구요 바닥이 약간은 심하지는 않지만 약간은 경사가 있어서 그런지 사선입수가 되더라구요 그래서 투척후 몸쪽으로 땡긴후 찌가 서서 내려갈때 낚시대 밀어서 최대한 사선 없이 낚시했는데요 찌는 부력 3.5호정도 사용하구요 원줄은카본3호 바늘은 8호 사용하구요 낚시 하시는분들이 많이 계시기 때문에 옆에 계시는분 사선입수가 일어나나 보았는데 근데 옆에서 봐도 봉돌이 바닥을 찍는 느낌 나는데도 사선이 지지 않아 궁금해서 물어 보았는데 저기 사장님? 찌를 어덯게 마추셧어요 사선이 안생기시네요 그랬더니 그분은 본인은 케미 반정도 나오게 맞추신다고 하시는데 제 찌가 저부력이라 그럴수도 있다고 하는데 한 5호정도 중부력 찌로 교체하고 동일 찌맞춤 하면 사선 없이 낚시 가능할가요? 제가 원하는 찌맞춤은 봉돌이 바닥에 살짝 뜨거나 살포시 안착 되는 찌맞춤을 원하는데 어덯하면 가능할가요?

봉돌을 던졌을때 물의 저항이 있는한 사선입수는 불가피할 것 같습니다.
봉돌 보다는 줄이 나중에 입수가 되니 물리적으로 사선이 생길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1)찌의 부력이 클수록,
(2)줄이 가늘수록,
(3)찌를 가볍게 마출수록

사선입수의 정도가 좀 약하겠지요.

흔히들 대를 던졌다가 조금 밀어주는 방법으로 좀 줄이기도 하지요.
님의 찌맞춤은 봉돌이 떠있는상태가되어 떡밥이 풀리게되면 찌톱이 상승하리라 생각됩니다.
더군다나 경사지라면 더욱심할것이고.
지금의 찌맞춤방식에서 찌톱기준 3~4마디정도의무게를 쇠링이나 좁쌀추를 추가하시면 봉돌이 살짝닿는 찌맞춤이 됩니다.
급경사지가 아니고 떡밥을 아주크게달지않으면 투척후의 행동을 님의방식대로 하시면 문제없으리라 생각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찌부력를 큰걸 한번 사용해봐야겠군요
비중이라는 것은 어느 물체가 물 속에 들어갔을 때 침하 속도가 어떠하냐?하는 가정의 말로도 비중이기 때문에 대신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같은 모양으로 들어갈 때가 아니라, 어떤 모양일 때 가장 빠르게 바닦까지 내려가느냐? 하는 것이 있는 것이지요.

그러하다라는 것은 다른 모양일 때 침하속도가 물 마찰과 관련, 다르다는 것을 의미하며,

비중 차이로 낚시줄을 끌고 들어가야 하는데, 그 일에는 중량의 힘이 작용하는 것이며 낚시줄과 연관되어지어지게 됩니다.


.....
.....
.....


제 생각엔 하시던 데로 찌가 서기 전이나 쓴 후에 낚시대 당겨 놓았다가 앞으로 밀어 사선 입수 방지하심이 좋을 것 같으며,
사선입수보다 투척의 어려움이 있으시다면 보다 고부력치를 선택하시면 적응하시기 편하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여러 답변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네요
중부력으로 바꿔보고 안대면 그냥 하던대로 땡겨나 놓는식으로 계속 해야겟네요 ^^
풀스윙이 아니라 반스윙으로 투척을 하시면 사선입수는 일어나지 않으며

풀스윙의 경우 투척수 대를 몸쪽으로 당겼다가 찌가 직립한 후에 대를 밀어주게되면 어느정도 해결이 될수있습니다.
떡밥낚시에 있어서 사선입수는 당연한것고요
떡밥의 크기와 무게등을 감안하여 투척 후 대를 몸쪽으로 당겨주었다가
찌가 입수가 어느 정도 되였을때 대를 앞으로 밀어주는 방식으로
낚시를 하시면 되는데
떡밥의 무게등을 감안하여 몸쪽으로 당겨주는 폭(길이,보통 25센치정도)을 가감하면서
사선입수를 스스로 해결하심이 좋을 것 같네요.
반스윙등으로 해결할수 있으나 긴 대는 이방법도 어렵고
또한 낚시도 힘들어 지니 위에 방법대로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정확히 답변드리겠습니다.아마 질문자께서는 집어를위해 한바늘엔 집어제를 한바늘엔 글루텐을 다실거라생각듭니다.유동찌채비를 쓰시고 떡밥을 좀 작게 달으시면 낚시대 뒤로 안당겨도 사선입수 어느정도 잡힙니다.
송라지는 거의 나오는게 잉어 향어 위주라 글루텐은 저 같은경우 사용하질 않습니다
추가적인 질문 하나 더 하겠습니다
지금 사용하는찌가 나루에 연심 3g(600)사용 했구요 어제 4.8g(700)하나 구매했습니다
이 두찌를 둘다 주간케미와 케미 절반노출에 맞추고 한마디정도 내어 놓고 낚시를 할경우
부력이 높은게 같은상황이라도 사각이 덜 질가요?
저도 그런것때문에 고민을 많이 하였습니다..
제가하는방법이 틀릴수도 있겠지만. 일단 적어보겠습니다..
1, 원줄을 모노줄로 바꾸어서 사용한다.. {카본줄은 물에 잠기기에..}
2, 집어할때는 떡밥을 크게달면서 낚시대를 뒤로 당겨준다..{떡밥크기에도 사선입수가 되는것 같습니다..}
3, 집어후에는 떡밥을 작게달아 투척한다..{작게 달면 사선 입수가 안보입니다..}
4, 영점 찌맞춤은 바늘 안달고 찌 1목에 맞춘다..
5, 영점맞춘후 바늘달고 수심체크한다..
6, 수심체크 후에 찌 1목정도 내놓고 여러번 투척해본다..
7, 계속 같은상태 찌 1목에맞춘상태면 떡밥달고 낚시 시작한다..

저는 이런식으로해서 낚시를 합니다..
사선입수를 아신다면 낚시하시는데 아무런 지장없다고 판단됩니다. 사선입수시 나타나는 현상을 간파하셨다는 이야기가 되므로 그대로 낚시하셔도 입질패턴을 읽어내실 수 있습니다. 대물풍덩채비는 모두가 사선입수이고 붕어나 뭐나 건드리면 채비자체가 수직으로 서기위해 찌가 오르게 되쟎습니까? 자다가 일어나도 찌가 올라와 있으면 손님이 왔다가 갔구나를 알수 있는반면 사선이 줄어들면 올라왔다가 다시 원위치가 되므로 손님이 왔다가 갔는지 알길이 없습니다. 입질순간에 챔질을 하지않으면 허당이겠죠? 5호봉돌이상은 쓰고 내림정도의 가벼운 찌맞춤을 해야만 사선입수를 어느정도 커버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채비투척시 구멍치기하듯 찌 서는 자리에 봉돌과 찌가 떨어지도록 던져넣는 것도 사선입수를 방지할수 있겠으나 사선입수라 하여 입질을 감지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며 시원한 찌오름을 보지못하는 것도 아닙니다. 목적은 입질을 간파하고 붕어를 잡아내는 노하우에 포인트를 두어야할 것입니다.
찌맞춤이. 잘못될수도있구요
수심체크 미스 일수도있어요
오르라님. 글. 잘읽어 보시면. 될듯합니다.
제가봤을땐 사선입수가되신다니 외봉돌이 아닌 분할봉돌채비를 쓰시는거 같습니다 그리고 사선입수가 아니라 카본3호줄에의한 이중입수로 생각듭니다
많이 배우네요 직접 실천해보고 나의것으로 만들겟습니다 ^^
찌스토퍼를 이용한 유동채비와 360도 회전하는 찌고무를 사용하는것도 해결방법중의 하나입니다
사선 입수 없는 낚시 꾼의 꿈이지요 ㅎㅎ
전 던지고나서 살짝 당겨 찌가 바로스면 대를 원위치ㅣ 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