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사선에 대한 의견

낚시줄이 찌와 봉돌의 비스듬한 각도가 사선이라고 알고 있습니다.사선이 많이 생기는게 좋다는 고수도 있고 반대의 의견도 있어서 햇갈립니다.고수분들의 고견 듣고 싶어요.

찌올림이 부력에 의한 것이라 볼때 사선이 많이 생겨서 좋을건 없는 듯 합니다. 오히려 채비운용에 방해만 되지 않을까요?.. 혹시 사선이 아니라 슬로프를 말씀하신건 아닐까요? 봉돌에서 바늘 사이의 목줄을 휘게하는 방법으로 바닥낚시보다는 내림낚시, 단차낚시 등에서 많이 통용되더군요. 저도 처음듣는 지라 고수님의 명쾌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낚시에서 말해지는 장단점은 보편적 상황에서 그렇다는 이야기고, 세부 장단점이 역으로
적용되는 상황이 늘 발생합니다. 사선이 찌의 입질표현과 챔질에 좋았다 안좋았다 한다는 이야기임다.
원줄사선과 목줄기울기주기. 고수님들이 말로 설명해도 한시간거리는 더 될듯 합니다.
구사하는 낚시법에 따라 장점이 되기도 하고, 단점이 되기도 하죠.

찌올림을 이용해서 정교하고, 민첩하고, 정확한 낚시를 지향한다면 단점이죠.

옥내림 기법과 같이 완전히 먹고 끌고 들어갈때 챔질하는 반 주낚형의 경우 찌가 먹고 끌고 가는지 마는지의 끝보기 역할만 할 뿐이라서 적정수준 이상의 부력을 써서 굳이 수직에 가깝게 밸런싱 할 필요는 없습니다.
필요 이상의 고부력은 오히려 자연스러운 입수에 방해가 될 수도...

이게 만약 찌가 없다면 초릿대부터 본봉돌까지 일직선으로 있어야 할 원줄을 찌가 원줄중간에 끼어서
활시위 당기듯 수면위로(중력 반대방향으로) 잡아올리는 형태라서 원줄무게 대비 찌부력이 약하면 사선 발생각이 증가합니다.
어린아이가 줄다리기용 굵은 밧줄을 들어올리는것을 연상하시면 될듯...

채비의 사선각이 크다는 것은 그만큼 전체 채비대비 찌부력이 낮음을 얘기하는 것이고, 찌올림낚시에서 이는 찌가 원줄무게에 자신의 부양력의 상당부분을 억매이게 되므로 민첩성(입질표현력)을 많이 잃는다고 이해하시면 될 겁니다.

짐이 없는 사람에 비해 짐을 상당히 들고 있는 사람이 민첩한 행동을 하기 쉽지 않듯 말이죠...

이 사선각으로 인해 입질을 받아서 찌가 수면위로 상승할때 찌가 일정부분의 수평이동도 동시에 합니다.
이 찌의 수평이동이 정작 정면에서 보고 있는 낚시대 주인한테는 잘 보이지 않지만요 ^^

이런 부분에서 채비의 밸런스 부분은 구사하는 유저가 자신의 낚시법에 맞춰서 밸런싱해야죠.
원줄 종류와 호수는 뭘로 쓸지, 찌의 형태나 부력, 길이, 찌톱굵기는 어느 정도로 할건지......
이론적인 이야기일 뿐이고요
현장에서는 어느 정도의 사선은 당연히 생깁니다
낚시는 자기의 만족이고 너무 디테일하게 생각하고 적용하다가 보면 뽀대만 부리는 낚시로 흘러갑니다
꿩 잡는게 메라는 말이 있듯이ᆢ
현장감에 빨리 적응하는 실전적인 낚시패턴이 중요합니다
어떠한 이론이라도 기초일 뿐
현장에서 순간 순간 변하는 분위기에 최대한 빨리 적용하는 동물적인 적응력이 승패를 좌지우지하지 않을까요?
솔직히
사선이 더 생기고 덜 생기고ᆢ
이론상 직각이면 찌표현이 정직하겠죠
월척이론이 여러분을 어느 방향으로 보탬이 되겠지만
한편으로는
단편적인 한방향으로의 낚시로만으로 가게끔하는 불편한 현실도 있습니다
바둑 격언에
정석을 다 외우고 잊어야 상급자가 되듯이ᆢ
잘못되고 또한 필요이상의 이론에 너무 심취히시지 마시길ᆢ
현장적응력이 없으면
어떠한 이론도 현장에서는 무용지물일 뿐입니다
물에 잘풀리는 떡밥낚시 아니면 사선이 좀 생겨도 큰영향은 없어보입니다 고수가 아니라서 죄송합니다
사선지게 하는 낚시의 장점은 예신을 보고 본신을 기대할수있는점 아닐까요? 사선이 졌으니 다연히 가벼운 입질에 떡밥이 덜어지면서 찌가 끌려들어갔던만큼 직각으로 제자리를 잡으면서 찌가 내쪽으로 그리고 위로 조금 움직이는 예신을 주기 쉬울겁니다..
예를 들어 분할채비로 예민한 맞춤을 할때에는 가능한한 사선을 없애려 노력하고 예신없이 본신으로 한번에 올라오는 입질을 빠르게 챔질하는 낚시가 되겠지요..
흔히 젊으신 분들이 민첩성을 발휘하여 단번의 본신에 빠른 챔질로 승부를 할때에는 사선지는 낚시는 하지 않을거 같네요..
다만 의자에 기대 앉아서 예신과 본신을 구분하는 낚시를 하려할때는 되려 사선지게 풀투척을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예신과 본신을 보는 방법이 단지 이런것뿐이 아니여서 단순하게 말씀드리는건 오류가 있겠지만..
질문하신분에게 말씀을 하신 고수분의 의도는 아마도 그런 의미가 아니였을까 조심스레 몇자 적고 갑니다
의도적으로 사선 낚시 할때도 있습니다.
초릿대와 봉돌 을 일직선으로 배치 하여서 사선 낚시 할때
긴장감은 배로 증가 함니다 .
노리고하는 사선 낚시가 있는 줄 몰랐네요
찌와 봉돌은 수직으로 되는게(사선없는)이상적입니다
채비가 바닥에 닿기전에 낚시대를 당겼다 놓는게 사선방지법입니다
그님이

다녀가신줄

알기위해 사선입수 풀스윙 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