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초보조사 오좃입니다...
낚시초보인지라 여러 선배님들께 조문을좀 구하고싶어서요.. 제가우연히 집앞정원에서 나무밑을파보니 산지렁이가 득실득실하더라구요 오예 ~ 하고 한깡통잡아서
낚시를 갔습니다 .... 입질이 엄청 잘오더군요 찌를 쭈욱하고 천천히 올립니다 한톱 두톱 세톱 네톱 이정도면 충분하다 생각에 챔질.... ㅠ.ㅠ 헛챔질입니다 좀 빨랐나 싶어 이번에는 찌가 주~욱 아예 넘어갑니다 오케이 챔질 ....잉 ㅠ.ㅠ 또헛챔질 낚시를 하는동안 그리많이 챔질을하였는데 밤새 2마리 ㅠ.ㅠ 왜 훅킹이 안될까요... 글루틴으로 하면 90프로 챔질성공을하는데 ㅜ.ㅜ 일반 낚시방 지렁이도 80프로 성공하구요.... 산지렁이를 미끼로 쓰고싶은데 ㅠ.ㅠ 챔질타이밍과 꿰는법 그리고 바늘사이즈 이런것이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선배님들~
산지렁이 챔질 타이밍과 꿰는방법 알려주세요
-
- Hit : 16817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24
바늘귀까지 쭉끼운다음 지렁이의 1/3부분에 바늘끝이 살짜기 나오도록 하심됩니다. 약간은 늘어져 있어도 무방합니다.
지렁이가 죽었다하더라도 아무런 문제없습니다.
입질?..참붕어와 비슷하게 쭈~~~욱 밀어올립니다.
씨알선별력은 일반지렁이보다 훨 뛰어납니다..
먹히는 곳은 정말 좋은 미끼입니다..
저는 산지렁이 대가리만 사용하는 합니다.나머지는 버립니다.
대가리 말고는 끼우기도 힘들어요 끈어져서.그리고 끈어진부분에서 똥 자동으로 빠지고나면 껍데기만 남아서..
그리고 어짜피 산지렁이 사용하는거 최대한 큰 넘으로 하세요.잔챙이는 손 못대게 하심이 맞습니다.
아 조금더
대가리 마디 살짝 위에서 시작해서 마디를 관통시키던 더 아래 부분에 관통시킨니다.
큰 넘은 아래에 관통시킵니다.바늘 사이즈가 좀 더 크면 마디 훨씬 윗 부분부터 시작합니다.
그런후에 나머지부분 잘라냅니다. 자르고 끼울려면 똥이 자동으로 빠져서 모양새가 안나옵니다.
위 내용 헛챔질은 타이밍에 문제가 아니고 산지렁이 사이즈 대비 바늘 사이즈의 문제 인듯 합니다.
최소 이 정도는 돼야 된다고 생각합니다.그래야 그 나마 큰 똥지렁이 사용합니다.
저는 아래의 방법으로 찌톱이 거의 다 올라와서 반쯤 누운 상태에서 옆으로 끌고 갈때 챔질을 해서 서너번 입질을 보았습니다.
사진출처 : 월척지의 통삼봉님의 장계지 조행기에서 발최
[낚시로 인하여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사진처럼 끼어서 낚시 하시면 헛챔질 난발할것도 같고
어짜피 붕어는 대가리 부터 공격하기땜시 이렇게 꿜 필요있을까 생각되네요..
순간 배얌 새끼인줄 알았습니다.ㅎㅎㅎ
오해마시기 바랍니다...
근데 아디가 특이하네요
뜻이 뭔가요?
사진 자세히 보니 바늘을 반대로 끼었네요,
바늘이 몸통에서 시작해서 머리쪽으로 가야되는디..
사진같이 끼우면 훅이 될까 싶습니다.
바늘귀 부터 뒷부분은 여유를 많이 남기지 마시고 훅 짤라 내심이 좋아요.헛챔질이 많슴다.
대가리는 얼마나 길던,크던 상관없습니다.여간하면 대가리는 모두 삼킵니다.
장어낚시,메기낚시 할때 한마리 통으로 사용하시고 붕어낚시 한마리 통으로 비추 입니다.
제가 낚시하는 방법이니 참고만 하세요..오해마시고 ㅎㅎ
저는 지렁이 큰넘은 3등분 작은넘은 2등분 하여 누벼꿰기 하며 바늘은 감생이 3호 바늘씁니다.
주말에도 산지렁이로 월한마리 하여쓰네여 클수록 헛챔질이 잘됩니다.
잘라먹을래야 잘라먹을수가 없어서...
8치급 이하면, 잘라먹거나 끄트머리만 물고도 올립니다. 수조에서 해보면..
그래서 지렁이를 잘라쓰거나, 바늘을 좀크게. 붕어면 8호 이상 또는 감성돔 바늘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아니면.. 시중에 지렁이꽂이 로 검색하시면 목줄까지 죽죽 밀어넣을수 있는것 있습니다.
지렁이야 바로 죽지만, 뭐 어차피 저상황에 헛챔질이면 대물상황들은 아니라서 입질에 거의 영향이 없습니다.
지인중에 충주호에서 산지렁이만 사용하시는 분이 계시는데 주대상 어종은 붕어이고 덤으로 뱀장어 찌맛은 강준치임니다
이분의 사용방법은
주로 사용하는붕어 바늘7호에 산지렁이의 환대 바로 밑[몸통부분]에 낚시바늘로
바느지질 한땀 따듯시 지렁이 껍질에 낚시 바늘을 끼워 사용함니다.
이렇게 사용하면 밤새 입질이 없이 하룻밤 지나 낚시대를 들어보면
처음 산지렁이 끼울때와 똑같이 싱싱하게 살아 있읍니다.
'주의할점= 산지렁이 내장을 껍질과 같이 끼워 사용하면 얼마 지나지 않아 축늘어저 죽어 있읍니다.
살아있는 지렁이가 죽은 지렁이 보다 입질 빈도수가 훨씬 빠름니다
산지렁이가 싱싱하면 찌에 반응을 보인는데 주변에 물고기가 있으면 찌가 움찔움찔하는 모습이 보일겁니다.!!
그리고 열대야 밤에 산지렁이를 사용해보면 낚시바늘에 아무리 잘끼워도 물속에 넣으면 바로 죽습니다.
아마 물온도가 뜨거워서 일겁니다.
한여름 낚시갈때 산지렁이 보관방법
산지렁이는 온도에 민감함니다.
한여름 더울때 열기에 방치해 두면 산지렁이는 녹아흐물흐물 녹아 죽어버림니다.
지인선배와 저는 낚시갈때 아무리 찜통더위라도 자동차 에어콘 바람은 발밑산지렁이통으로 놓고 쭈쭈바 두 세개를 넣어감니다.
선선하게 보관해야 함니다.
챔질시기
산지렁이 크기에 따라 다른데 선호하는 티스픈 정도의 크기 임니다.
찌올림시 = 찌올림이 치대치일때 ; 붕어 강준치 등.... 헛챔질이 많을경우 찌오림이 최대 정점에서 옆으로 끌거나 물속으로 들어갈때
찌내림시 = 캐미빛이안보일때 ; 주로 뱀장어 등....
산지렁이가 잘먹히는곳
낚시하는 주변에 산지렁이가 많은곳에서 특히 잘됨니다.
아마 먹어본 놈이 잘먹는거 같아요
땜낚시시 뱀장어를 노릴 경우 의외로 짧은낚시대에 잘나옴니다.
.
많은 경험이 중요한것 같내요
산지랭이는 특히 장어가 좋아합니다. 장어용으로 산지랭이 뀌는법은 다들ㅇ 아시다싶피 몸통전체관통입니다.
산지랭이 릴대로 붕어 잡는법은 산지랭이가 새끼손가락 굵기라면 반으로 나눠 잘르고 돔바늘 4호나 5호로 한번 찔러줍니다.
산지랭이 민대로 붕어 낚시법은 손가락 굵기의 산지랭이라면 돔바늘 4호나 5호로 한번찔러주되 찌가 몸통까지 들어올렸다고 챔질하면 안됩니다. 대를 치고 나갈때 채야합니다.
산지랭이가 몸이 굵기 때문에 입큰붕어가 아닌이상 지렁이의 몸을 물고 늘어지는 경우가 많아서 챔질해봤자 헛챔질이나 우연찬케 걸리던가 두가지 이지만.
대를 치고 나갈때까지 여유있게 기다렸다가 낮에 원줄이 늘어지면 챔질하면되고 밤일경우 대에 총알을 걸어두어 총알이 박히면 그때 채야 합니다.
산지렁이의 사용법에는 이유가 하나 있습니다.
잔챙이가 많은 못의 경우 잔챙이의 성화에 두손 두발 다 들었을경우 산지렁이로 잔챙이를 걸를때 사용하고
10센티이상 징거미가 있는곳으로 보여지는 저수지에 쓰여지고 그 이유는 대형어종이 미끼까지 오기까지 바늘에 먹이가 달라붙어있어야 하는데 징거미가 있는곳은 넣자마자 징거미가 한손에는 포크들고 한손에는 나이프들고 낚시꾼아 어서밥줘 라고 기달리고있기때문에 혼무시나 산지렁이를 사용합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장어낚시에 왓다입니다. 땅강아지도 왓다지만 못구할경우 산지렁이가 단연 으뜸이고
대낮 릴대 붕어낚시에 산지렁이가 왓다입니다. 잔챙이 거르고 입큰붕어만 상대할수 있는 산지렁이니 까요
산지렁이를 잘게 잘를경우 그냥 시중에하는 지렁이와 같다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산지렁이는 단연 대물낚시에서 혼무시와 쌍벽을 이루는 대물미끼에 최고봉이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