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붕어입니다.
밑에글은 네이버설명입니다.참고하세요.
이것은 붕어의 종류가 다른 것이 아니라 흡충류가 붕어의
살갗에 피낭을 형성하여 기생하면 그 피낭유충 주변에
흑색소포가 모여서 검은 점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이 흡충은 사람에게도 기생하지만 우리들이 흔히
알고 있는 간디스토마흡충은 아니므로 크게 해로운 것은 아닙니다.
돌이 많고 흐르는 하천에 서식하는 붕어들에게서 보이는 돌붕어입니다.
두가지 형태의 돌붕어가 존재합니다.
점이 박히고 비늘이 약간 거친 돌붕어가 있고(신양수로,위천강)
점은 없고 비늘이 상당히 거친 돌붕어가 있지요(철원한탄강,괴산군괴강,보령웅천천)
물이 흐르나 강은 아닌 하천(오염이 덜한)에서 채집되고, 항간에 다슬기가 많이 사는곳에서
다슬기에 옮긴 흡충종에 의해 생긴다고 하는데 제 생각에는 근거가 명확치 않는거 같아요.
왜 붕어에만 그러냐는 거죠? 2급수 하천에는 저수지,수로보다 4~5배는 넘는 어종이 분포
하는데 말이죠. 하튼 돌붕어는 전국적으로 분포가 넓지 않은 귀한 어종입니다.
근데 사진을 잘보니 아가미 흡혈거머리 자국이
아 이놈들이 중국에서 왓다는 말도 잇지만 ? ?
4ㅡ5월에 아가미에서 떨어저서
7ㅡ8 월에 산란하여 9월에 다시 아가미에
붙어서 겨울월동을 하면서 커간다고 하드라구요
내가 사는곳에서도 하류에서만 보이더니
올해에는 상류에서도 보이더라구요
뭐 전국적으로 오염이 점점 심해지니
그렇기도 하겟지 하면서도
붕어를 잡어서 보이면 찝 찝 하드라구요
근데 부사호 부남호 삽교천에서는
안보이는걸 보면 염분을 싫어 하는지
우리 모두 붕어를 잡으면 아가미 확인하시고
니퍼로 떠어내서 확실히 죽여야
그나마 좀 들 퍼질까 하는 생각이내요
밑에글은 네이버설명입니다.참고하세요.
이것은 붕어의 종류가 다른 것이 아니라 흡충류가 붕어의
살갗에 피낭을 형성하여 기생하면 그 피낭유충 주변에
흑색소포가 모여서 검은 점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이 흡충은 사람에게도 기생하지만 우리들이 흔히
알고 있는 간디스토마흡충은 아니므로 크게 해로운 것은 아닙니다.
태생적인 놈은 몸전체 고루 분포합니다. 주로 신양천에 유독 많았던 것으로 압니다.
설레 입니다
저도 몇일전에 잡았는데 곰팡이인줄 알았네요 ^^
원인은 알다시피 기생충으로 인한 것이고.사람에게 치명적이진 않습니다!
낚시꾼들이 그냥 그렇게 부르는 것이지, 정확한 명칭은 아니고 그냥 '붕어' 입니다!!!
축합니다
커다란 거머리가 세마리 붙어 있어
살려주려는데 걱정되어습니다.
그래서 손으로 거머리 떼내려는데
안떨어져요.
할 수 없이 니퍼로 해결 후에 살려준
경험이 있습니다.
두가지 형태의 돌붕어가 존재합니다.
점이 박히고 비늘이 약간 거친 돌붕어가 있고(신양수로,위천강)
점은 없고 비늘이 상당히 거친 돌붕어가 있지요(철원한탄강,괴산군괴강,보령웅천천)
물이 흐르나 강은 아닌 하천(오염이 덜한)에서 채집되고, 항간에 다슬기가 많이 사는곳에서
다슬기에 옮긴 흡충종에 의해 생긴다고 하는데 제 생각에는 근거가 명확치 않는거 같아요.
왜 붕어에만 그러냐는 거죠? 2급수 하천에는 저수지,수로보다 4~5배는 넘는 어종이 분포
하는데 말이죠. 하튼 돌붕어는 전국적으로 분포가 넓지 않은 귀한 어종입니다.
거기에는 다슬기가 전혀 살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다슬기 흡충종에 의한 현상이라는거에 근거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슬기에 의한 거라면 점박이돌잉어도 나와지요...
물이 좀 차고 돌이 많은곳에서 잘보이더군요
근데 사진을 잘보니 아가미 흡혈거머리 자국이
아 이놈들이 중국에서 왓다는 말도 잇지만 ? ?
4ㅡ5월에 아가미에서 떨어저서
7ㅡ8 월에 산란하여 9월에 다시 아가미에
붙어서 겨울월동을 하면서 커간다고 하드라구요
내가 사는곳에서도 하류에서만 보이더니
올해에는 상류에서도 보이더라구요
뭐 전국적으로 오염이 점점 심해지니
그렇기도 하겟지 하면서도
붕어를 잡어서 보이면 찝 찝 하드라구요
근데 부사호 부남호 삽교천에서는
안보이는걸 보면 염분을 싫어 하는지
우리 모두 붕어를 잡으면 아가미 확인하시고
니퍼로 떠어내서 확실히 죽여야
그나마 좀 들 퍼질까 하는 생각이내요
몇일전 잡은것 다 ^^
메타고니무스는 중간숙주가 간흡충(디스토마)와 같은 담수 조개류이므로 다슬기 등에 의해 감염됩니다.
붕어 날것으로 드시는 분들은 없기 때문에 인체에는 유해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사진처럼 비늘에 검은 점이 박힌 '깨분어'와 돌붕어를 혼동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돌붕어는 철갑붕어라고 부를 정도로 우둘투둘하고 두꺼운 비늘을 가지고 있으며
강계의 돌바닥에 주로 서식하고 간혹 돌무더기가 많은 계곡지에서 발견되기도 합니다.
돌붕어 중에서 비늘에 검은 점이 박힌 깨붕어 형태의 돌붕어도 많습니다.
그냥 흡충에의한 검은점이 생긴 쉽게말해 피부병든 붕어일 뿐인데
오ㅐ ???
자꾸만 돌붕어라는지 ㅠㅠ~~
돌붕어를 잡아보시면 그런말 안할텐데요~~
그냥 만지기도 찝찝한 흡충에의한 피부병 붕어일뿐인데요
반점때문에 돌붕어가 아니라는 말 입니다,,,,,,,,,,,
이뿌게 미화한 말일 뿐이죠~~
그냥 흡충에의한 반점 붕어일뿐인데요~~~~~~~
전혀 상관이 업다고 아는데요
돌 깨 붕어는 어릴적에도 잇엇구요
흡혈거머리는 동내마다 다르지만은
약 10 여년 쯤에서 오염도가 심한곳에서
나오기 시작 한거로 아는데요
아마도 짜장붕어에 묻어 온건 아닌지? ? ?
이곳 삽령교는 다슬기도 서식합니다 또한 붕어힘은 엄청납니다~ 낚시방사장님께서 돌붕어라하는데 헤갈리네요ㅠㅠ
저역시 다른회원님께 좋은정보 얻어갑니다. ^^ ㅎ
역시 월척훤님들은 댓글에 전문가의 포스가 느껴집니다^^
또 하나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