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에 입문하여 하루가 멀다하고 출조중입니다...낚시 참매력있습니다..어렵습니다..종종 잘낚아내고 있긴한데..혼돈스러운부분이 있습니다...장문이지만 ..읽어보시고 조언한마디씩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찌를 구입해 수조통에서 도래만달고 주간케미꼽고 수면일치하고 있습니다..찌가 찬찬히 올라오는게 믿음이갑니다 ..계속노지만 다니고있는데.. 필드도착하면 유동채비해서 바늘답니다 그리고..수심체크 후...30센치이상내려서 현장찌맞춤합니다..수조통에서 수면일치한게 점점가라앉습니다...갑자기 채비에 믿음이 안갑니다..찝찝한것이 도래를 조금씩 깍아봅니다.. 노지특성상 물이 탁하고 부유물로인해 영향이 있나 ...그러고는 수면일치시킵니다..그리곤 수심을 다시맞쳐 떡밥달고 시작합니다....
이게 잘하는건가요?
제가 찜찜한게 영점찌맞춤을 수조통에서 한후 노지가면 항상가라앉는데..왜 수조통에서 찌맞춤을 하는걸까??? 의문이듭니다..그리고 대물이 많으면 제가 아는정보. 좀 무거운채비를해도 힘이 좋을꺼니까 괜찮겠지 하겠지만...실상 5치밑에붕들이다보니 도래를 좀이라도 더깍아 나름예민하게 찌맞춤을 하는게 입질도 많이보고 바쁜낚시가 돼지않을까하는 밑천한초보조사입니다...ㅎㅎ
제 채비의 믿음을 심어주십시오 ㅎㅎ
선배조사님들 조언부탁부탁드립니다
-
- Hit : 18645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25
수심이 깊은 곳일 수록 찌 아래의 줄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그만큼 더 무겁게 작용하게 됩니다.
물론 현장에서의 물의 비중으로 인해 작용하는 부력이 약간은 틀려질 수도 있겠지만, 큰 차이를 보이는 것 같진 않더군요...
예민한 찌맞춤을 위해서는 현장 찌맞춤은 귀찮더라도 꼭 거쳐가야하긴 합니다.
맞습니다
대장님께서 말씀하신대로 정확한 찌맞춤은 현장에서
이루어지는것이 정답입니다
다만 우리가 수조에서 1차적인찌맞춤을 하는이유는 여러가지를
들수있겟지만
제 개인적인 견해로볼때 시간줄이기위한 방법이라고밖에 생각이 들지않습니다
늘
찌맞춤에대해서 질문이나오면 여러월님들께서 이구동성으로
하시는말씀이 있습니다
이러한시기에는 찌맞춤에 그리많은신경을쓸필요가없다는말이죠
그만큼 활성도가 뛰어나고 먹이활동이 활발한시기이기때문이라생각합니다
그래서 현장에서찌맞춤을 할때
무바늘상태에서 캐미끼우고 찌가한마디올라올정도의찌맞춤이면
무난하다라고 하는것아닐런지요
예민하게쓰시는분들은 좀 무겁다는느낌일수도 잇겟지만요
물의장력...
이런복잡한얘기는 고수님들께패스하겠습니다
근데 제가 양어장이나 손맛터를 자주 나가면서 나일론 원줄 1~1.5호에 4호~5호 봉돌을 분납(황동 스위벨)으로 사용하면서 그 차이를 많이 느꼈습니다.
동네 낚시점 큰 수조에서 맞춤한 찌를 현장에 나가 포인트에 담그면 그 차이는 크구요 특히 현장 수심이 2m 그 이상으로 깊다면 그 차이는 더 커집니다. 현장에 나가서 포인트에 담그면서 봉돌을 더 더 더 깍아내야 되지요.
수조 맞춤에 이은 두 번의 찌맞춤 과정은 그냥 현장 찌맞춤의 번거로움을 많이 덜어주는 방법이라고 이해 하시면 되겠습니다.
현장에서 낚시대 1대 채비 연결하고 찌맞춤 할시 대략 10분 걸린다고 예상 한다면...
수조찌맞춤 한 채비는 낚시대 1대 현장찌맞춤 하는데 걸리는 시간 대략 3분...
낚시대 5대를 수조 맞춤 안하고 현장에 나가면 50분 걸릴거
편한게 집에서 수조 맞춤 해놓고 현장가서 하면 15분이면 완료..
그만큼 시간단축과 편하게 할수있기에 수조찌맞춤을 사용 하는 것입니다.
현장찌 맞춤할시 바늘 뺀 상태에서 수면 케미 일치 하시고... 바늘 달고 낚시 하시면 됩니다.
물론 찌모양 크기 부력등과 현장사정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수조에서 2마디정도 나오게 맞추어가면 현장에서는 케미밑부분정도 됩니다.
이 상태에서 현장에 따라 쇠링으로 무게를 더하여 사용하시면 좋을듯하네요.
원줄 무게에 바늘 무게까지..
너무 무겁거나 너무 가벼운 채비말고 보통 채비를 원하신다면 수조맞춤으로 봉돌만 다시고 캐미가 수면위로 다 나오게 맞추시면 현장에서 사용하시기 적당하지 않을까요??
주간 케미도 종류에따라 천차 만별이죠..
스티로폰으로 만드신 주간케미를 수면맞춤 하신다면 상당히 무거운 찌맞춤이 될테고요..
그래서 저는 찌맞춤시 케미를 모두 내놓고 맟춘후 좀더 무거운 찌맞춤이 필요시 오링을 추가하거나 찌톱을 많이 내놓고 합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네요..
첫번째 내가 낚시하는 곳이 어디인가?
두번째 낚시하는 시기가 언제쯤인가?
세번째 내가 낚시를 왜 사는걸까?
네번째 지금 환경은 어떠한가?
마지막으루 미끼는 멀 사용 하구 있는가?
더 많은 질문을 던질 수 있지만 요 다섯 가지가
기본입니다.
이 다섯 가지에 대한 본인에 대한 것이 없으면
답변 드리기 힘듭니다.
바닥이 지져분한 곳에서 잔입질이 많은 곳에서 낚시
바닥이 깨끗한 곳에서 잔입질이 없는 곳에서 낚시
이런 것들이 필요로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님에 대한 채비에 대한 믿음입니다.
겨울낚시건 한 여름 찌는듯힌 더위에서
풍덩 채비를 한다구 해도 그 믿음이 있으면
찌는 아주 중흥하게 이쁘게 올림니다.
이것이 내 자신과의 싸움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론 수조찌 맞춤보다 중요한건 현장찌 맞춤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것보다 중요한건 자신의 찌맞춤을 의심 하지 않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자신의 찌 맞춤이 의심 가는 순간 낚시는 힘들어 집니다 자신의 찌 맞춤을 믿고 기다려보세요 언젠간 덜커덩 하시는 날이 오지않을까요?
당연 저도 아직 덜커덩 하진 않았지만요ㅎㅎ
언젠간 와줄거라 믿고 기다립니다 ^^
안전하게 화이팅 하세요^^
3년째 집어중이랍니다 ^^
자연지에선 굳이 가볍게 맞출필요없는듯요~
제생각입니다 믿음가지세요 그냥봉돌만달고 수면정일치
그리고바늘달고하세요~~
시간절약 때문이구요 수조 찌맞춤후 현장에서
가라않는게 최적의 찌맞춤 조건입니다 현장 찌맞춤으로
예민한 찌맞춤 할려면 바늘때고나 케미 빼고 케미고무가
노출 되도록 찌맞춤후 바늘이나 케미 다신후 낚시 하시면 됩니다
가벼운 찌맞춤의 단점으로는 헛챔질이나 대류현상 찌흐름등
오히려 역효과가 많습니다 좋은 방법으로는 무~~거운 찌맞춤과 현재
쓰시는 찌맞춤으로 같이 해보셔요 뭐든 해보셔야 답이 나옵니다~^^
유동찌고무 생각보다 무게 많이 나갑니다.
1.현장서 그렇게 한건 잘하신겁니다
2.수조통 찌맞춤시 캐미달고 봉돌달고
바늘달고 딱 표준맞춤시 어딜가서도
현장체크해볼것도 없습니다 제말 거짓같으면
현장체크 해보세요
양어장.관리터.손맛터..현장 바늘까지 다달고 수면일치
하우스 살짝 마이너스.. 이상..
너무 파고들면 정신건강에 해롭읍니다 ^^
라인을 바꿔보시는것도 방법이겠죠
당연히 수조통 보다 무거워 지죠~~줄무게가 더해지니깐요~~
그리고 그게 맞는거에요~~
그리고 다시 현지에서 그대로 쓰실건지~~
아니면 낚시 패턴에따라(생미끼,떡밥, 옥수수내림, 어리버리...등등) 살짝 조절해서 써야죠~~
결론 : 현재 하시는 방법대로 하는게 맞아요~~
그리고 그날 미끼의 와 현지상황 낚시패턴을 접목시켜 찌는 원하는대로 찌맞춤을 다시해야죠~
팁 : 원줄끝에 작은홋수 핀도래 사용하시면 상황에 따라 바늘교체( 바늘회손시, 긴목줄 사용시)가 편리합니다~~
또한 그 핀도래에 쇠오링을 가감하여 사용하면 채비 전환도 빠르고 편리합니다~
저는 절대로 수조찌맞춤 안합니다
현장에서하세요
머하러 2번씩 번거롭게 하시나요~
요즘들어 찌 맞춤에관한 글들을 심심찬게 볼수있읍니다. 이러한 글들을 접하다보니 저의 채비에대한 불신이 생기더군요 ㅋㅋ
간단하게 저의 채비를 말씀드리자면 ... 다른 조사님들께서는 어떤 생각을 하실지..살포시 궁금.
걍 정통바닥찌맞춤입니다. 일명 풍덩 채비라고들 하시더라구요..
수조통에서 원봉돌에 야간케미 꼽고 찌가살포~~시 수조통바닥에 가라앉습니다. 수면위로 상승없고요.(너무 무거운가?요)
첨엔 믿음하나로. 글을 접한순간 의심만..ㅋㅋ 나중엔 머리가`뜅~~ ㅋㅋ
그래서 결심!! 나만의//스타일로가장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