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부력, 고부력에서도 나올수 있습니다.
유동 멈춤고무 상하 간격을 넓게해도 나옴니다.
찌탑을 다소 길게 사용하는 경우에도 나옵니다.
이견이 있을 수 있겠지만, 정상적인 찌발란스에 문제가 있는것으로 생각합니다.
바닥권 노리는 낚시에서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
저수심에선 사선입수로 낚시대 당김현상이 큰폭으로 발생 할 수 있습니다.
盡人事待天命님의 견해가 가장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채택하실만한 답변입니다.
제 경우를 볼 때 3분할 내지 2분할 채비에서 가장 하단의 봉돌은 손맛터 사용시 군계일학 2호정도의 스위벨을 사용 합니다.
일반 스위벨을 사용할 때는 본봉돌을 유동홀더 채비로 찌몸통까지 맞추고 스위벨로 찌탑 케미하단까지 맞추는 크기를 사용 합니다.
그러면 무거운 분할 본봉돌이 먼저 내려가고 가장 아래의 스위벨 봉돌이 나중에 천천히 하강 하면서 찌가 한참 서있다가 입수하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盡人事待天命님이 말씀하신 '예민한것이 늦게 내려가고' 가 이 뜻이 아닐까 여겨집니다.
그래서 한 가지, 찌가 한참 누워있다가 입수한다기 보다는 분할로 맞춘 무거운 본봉돌이 먼저 내려가면서 찌는 잠시 후 직립을
하게되고 스위벨이 천천히 하강하기 때문에 찌톱이 직립한 후 입수하기 까지의 시간이 길어지는 거겠죠. 즉, 찌가 한참을 누워있는것이
아니라 찌톱이 서있는 시간이 한참으로 보신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이럴 때는 찌톱의 하강 속도도 역시 매우 부드럽게
아주 천천히 입수하게 됩니다. 찌올림도 엄청 부드럽고 천천히 솟습니다. 나중에 한 번 자세히 보시기 바랍니다.
만일 찌가 누워있는 시간이 길었다면 저부력찌로 분할채비를 했을 경우도 있겠네요.
정리하자면 2분할 내지 3분할 채비를 하시되 제일 하단 봉돌이 다른 봉돌 보다 무거우면 이런 현상은 일어날 수 없고, 제일 마지막
봉돌이 가장 가벼워야(스위벨 채비정도로) 나타나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제 의견도 盡人事待天命님의 생각과 같습니다만 차이점이 있을 수도 있겠습니다. 혹시 盡人事待天命님의 견해와 다른점이
있다면 盡人事待天命님께서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찌톱이 무거운 경우일 수 있습니다
예전에 고추형 자작찌를 일부러 찌톱을 무겁게 만들어
사용해 본 경험이 있습니다
생각과 달리 입질 파악하는데 전혀 문제는 없습니다
찌톱을 일반적인 톱과 다리의 비례보다 길게 하는 경우
찌톱이 무거워서 찌가 기립하는데 시간이 더 걸리고
또 다른 경우로는 찌톱에 찌돋보기류를 달아서 무거워진
경우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런 찌의 장점은 채비가 수중에서 수직으로 정렬할 수 있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사선입수를 줄일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반면에 단점은 노지에서 야간에 수초낚시를 하는 경우
채비 투척이 정확한지 아니면 수초에 걸렸는지 판단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서 애를 먹는 점이 있습니다
유동 멈춤고무 상하 간격을 넓게해도 나옴니다.
찌탑을 다소 길게 사용하는 경우에도 나옵니다.
이견이 있을 수 있겠지만, 정상적인 찌발란스에 문제가 있는것으로 생각합니다.
바닥권 노리는 낚시에서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
저수심에선 사선입수로 낚시대 당김현상이 큰폭으로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예민한것이 늦게 내려가고
찌몸통 모양이 긴것보다 둥건것이 늦게 내려가고
봉돌이 하나보단 여러개가 늦게 내려갑니다
결론은 다루마형(몸통이 둥근것)찌에 3분할하시고 마이너스맞춤하시면 됩니다
단순하게 봉돌 안 달고 찌 던지면 무조건 눕습니다.
봉돌 달고 봉돌이 늦게 가라 앉으면 앉을수록 천천히 찌가 일어 납니다.
중, 고부력 봉돌들은 빨리 가라 앉아 그런 운치는 별로 없습니다.
제 경우를 볼 때 3분할 내지 2분할 채비에서 가장 하단의 봉돌은 손맛터 사용시 군계일학 2호정도의 스위벨을 사용 합니다.
일반 스위벨을 사용할 때는 본봉돌을 유동홀더 채비로 찌몸통까지 맞추고 스위벨로 찌탑 케미하단까지 맞추는 크기를 사용 합니다.
그러면 무거운 분할 본봉돌이 먼저 내려가고 가장 아래의 스위벨 봉돌이 나중에 천천히 하강 하면서 찌가 한참 서있다가 입수하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盡人事待天命님이 말씀하신 '예민한것이 늦게 내려가고' 가 이 뜻이 아닐까 여겨집니다.
그래서 한 가지, 찌가 한참 누워있다가 입수한다기 보다는 분할로 맞춘 무거운 본봉돌이 먼저 내려가면서 찌는 잠시 후 직립을
하게되고 스위벨이 천천히 하강하기 때문에 찌톱이 직립한 후 입수하기 까지의 시간이 길어지는 거겠죠. 즉, 찌가 한참을 누워있는것이
아니라 찌톱이 서있는 시간이 한참으로 보신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이럴 때는 찌톱의 하강 속도도 역시 매우 부드럽게
아주 천천히 입수하게 됩니다. 찌올림도 엄청 부드럽고 천천히 솟습니다. 나중에 한 번 자세히 보시기 바랍니다.
만일 찌가 누워있는 시간이 길었다면 저부력찌로 분할채비를 했을 경우도 있겠네요.
정리하자면 2분할 내지 3분할 채비를 하시되 제일 하단 봉돌이 다른 봉돌 보다 무거우면 이런 현상은 일어날 수 없고, 제일 마지막
봉돌이 가장 가벼워야(스위벨 채비정도로) 나타나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제 의견도 盡人事待天命님의 생각과 같습니다만 차이점이 있을 수도 있겠습니다. 혹시 盡人事待天命님의 견해와 다른점이
있다면 盡人事待天命님께서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벌떡서서 가라앉는게 이뻐서 저두 썼었습니다
~~~
예전에 고추형 자작찌를 일부러 찌톱을 무겁게 만들어
사용해 본 경험이 있습니다
생각과 달리 입질 파악하는데 전혀 문제는 없습니다
찌톱을 일반적인 톱과 다리의 비례보다 길게 하는 경우
찌톱이 무거워서 찌가 기립하는데 시간이 더 걸리고
또 다른 경우로는 찌톱에 찌돋보기류를 달아서 무거워진
경우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런 찌의 장점은 채비가 수중에서 수직으로 정렬할 수 있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사선입수를 줄일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반면에 단점은 노지에서 야간에 수초낚시를 하는 경우
채비 투척이 정확한지 아니면 수초에 걸렸는지 판단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서 애를 먹는 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