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맞춤이 우선 바닥낚시로서는 가장 민감한상태로 맞추어져야하는 전제조건이 있어야합니다.
찌맞춤 방법에 있어서는 논란에 여지가 많아 패쓰하고요(논쟁의 소지가 다분하여....)
닥광장수님의 말씀처럼 찌맞춤에 활용할수도 있겠지만 질문자의 내용은 찌오름의 표현을 쇠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묻는것같습니다.
기본으로 가장 예민한상태로 찌맞춤이 완성되었다면?
기본상태로 찌오름을 확인하여 빨리 솟는다던가, 헛챔질이 생긴다던갸,(이유는 활성도가 좋으면 나타나는 현상)
이럴경우 쇠링을 추가하여 찌오름폭이나 속도를 늦출수 있습니다.
반대로 활성도가 않좋아 찌오름이 않좋을시는 다시 제거하여 원상태(가장예민한상태)로 낚시를 합니다.
쇠링한개가 찌톱을 누르는 무게가 몇먀디인지 사전에 확인후 사용하여야 한개, 두개, 세개 차이를 아셔야합니다.
대략적인 요지만 말씀드렸구요,
쇠링을 활성도에따라 가감을 하시면 됩니다.
단 제경우는 손맛터에서는 약은고기들이 많아서 쇠링을 활용해도 빠는입질이나 솟구치는 입질을 제어하기 힘들더군요.
찌맞춤 방법에 있어서는 논란에 여지가 많아 패쓰하고요(논쟁의 소지가 다분하여....)
닥광장수님의 말씀처럼 찌맞춤에 활용할수도 있겠지만 질문자의 내용은 찌오름의 표현을 쇠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묻는것같습니다.
기본으로 가장 예민한상태로 찌맞춤이 완성되었다면?
기본상태로 찌오름을 확인하여 빨리 솟는다던가, 헛챔질이 생긴다던갸,(이유는 활성도가 좋으면 나타나는 현상)
이럴경우 쇠링을 추가하여 찌오름폭이나 속도를 늦출수 있습니다.
반대로 활성도가 않좋아 찌오름이 않좋을시는 다시 제거하여 원상태(가장예민한상태)로 낚시를 합니다.
쇠링한개가 찌톱을 누르는 무게가 몇먀디인지 사전에 확인후 사용하여야 한개, 두개, 세개 차이를 아셔야합니다.
대략적인 요지만 말씀드렸구요,
쇠링을 활성도에따라 가감을 하시면 됩니다.
단 제경우는 손맛터에서는 약은고기들이 많아서 쇠링을 활용해도 빠는입질이나 솟구치는 입질을 제어하기 힘들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