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낚시공부, 실전경험을 하다가 궁금해서 여쭤봐요
수심이 낮은곳에서는 그에따라 길이가 짧은 찌를 선택하고, 깊으면 보통의길이 35~50을 선택하구
낚시대 길이에 따라 또한 찌의 길이를 선택하고 ......
기본 채비를 40cm의 찌로하였다가 실제 현장에가보니 수심이 60이다. 이러면 찌를 짧은걸로 교체해줘야되는데
이에따른 부력차이를 감안해서 맞추놓은 봉돌을 따로 준비해서 다니시나요?
질문이 정신이없는데.....
정리하자면 나의 셋팅된 낚시대에 맞춰 포인트를 잡는다 또는 / 포인트에 따라 낚시대의 셋팅을 바꾼다
인가요? 매번 현장포인트에따라 셋팅을바꾸신다면 어떻게 편리하게 바꾸시는지 궁금합니다..
굳이 수심에따라/ 낚시대기장에따라 찌를 바꿔서 운용해야될만큼 찌의 기장이 중요한지도 궁금해요
수심에 따른 찌의 선택
-
- Hit : 13164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29
같은찌로 사용중입니다
입질과는 상관없는듯하네요...
해진후 출조는 자주 가본곳으로 가시는게 편하지 않을까요.부득이 야간 출조는 조사님 안계신 곳으로
그리고 낚시용품중 줄잡이 사용하시면 저수심 공략 가능 하니 굳이 찌 바꾸실필요 없어 보이고...만약을 대비 하신다면 여분의 짧은찌 몇점 휴대하고 다니세요...30~35cm찌로 3~4메타 넘어가는 수심아니면 무난하게 사용가능 합니다..전 1~1.5메타 수심을 가장 좋아 합니다...
저는 기본적으로 찌통을 가지고 다닙니다
안에는 예비찌들이 있는데 찌맞춤해서 봉돌과
함께 있는것들과 찌맞춤 않된것들...
낚시중에 찌가 파손됐다든지 할때 교체의 목적도
있지만 꼭 넣고싶은 포인트에 넣고자 할때 교체의
목적도 있습니다
물론 웬만하면 꺼내는 일이 없지만 가지고 다니면
든든하죠
단 저수심인 경우는 찌가 길기때문에 불편하므로
찌탑에 8자고리 끼워서 원줄통과 시켜씁니다
찌통에 몇십개씩 가지고 다니면 몰라도
수심에 따라 찌를 교체한다~~!!
질문자체가 좀 그렇네요
정히 호기심이 있으시면 군계일학 쌍둥이
씨리즈 사용하세요
1m던 3m던 어신전달은 큰차이 없읍니다~!!
즉
우리가연장통에서 연장을 꺼낼때 일에맞는공구를 쓰는것처럼
찌또한 공구와같은 중요한역할을 한다라는것이죠
현장여건에따라 찌의길이가 틀려지는것은 당연하다고생각하는 일인입니다
한가지의찌를가지고 전천후로 사용이가능하다면
우라가더이상 찌에대해서 논할필요가없지않을까요?
수심에따라
예민하게쓸것인지 아님 예술적인측면에서 폼생폼사로 쓸것인지와
생미끼를쓸것인지 떡밥미끼를사용할것인지대한 선택에있어
분명찌의교체투입은 필요하다고봅니다
조구사에서
많은연구와숱한실험을거듭하여 맹글어수많은형태의찌를 우리는사용하고있습니다
그것하나만봐도
찌라는것은
현장연건에따라 찌의선택은 분명달라질수있다라는게
제경험상의 지론입니다
위에글읽으시고
미친넘이라고 혹 오해하시는조사님들
계실까봐 첨부글올림니다
똑같은 붕어낚임에도 찌의길이는천차만별
깊은수심에는 장찌 얕은수심에는 단찌 보통우리가사용하는
낚시의일반적인 보편화된방법이아닐까라는생각이고요
그러면 왜?
수심에 찌의길이가 비례하는가에대한 질문을좀더 파고든다면
챔질의정확한타이밍과 입질을전달받기위한것이겠지요
입질이시작되는 곳
바늘,목줄,봉돌,원줄그리고마지막 찌의순서에의해 전달된다고생각합니다
찌의길이에따라 전달되는입질형태가 다를수밖에없는건 사실일것같다는게 저의개인적인
지론이고요
어떤차이라는반문에대한답이아닐까생각합니다
우리가흔히말하는
찌맛!!!!!!
야~~
어제밤낚시할때찌맛끝내주더라는
이한마디로 낚시의즐거움과행복을 다느꼈다는증거아닐까요?4
단, 수심이 낮은데 수심보다 길은 찌를 사용할때만 그렇구요.(질문처럼 수심은 40 찌는 60이라면 귀찮아도 교체를 합니다)
반대로 깊은 수심인데 짧은찌로 셋팅 되어 있다면 걍~~ 씁니다. 귀찮아서요^^ 일반적으로 보통 35~45cm정도는 사용하니까요
민감하신분들께서는 당연히 교체를 하셔서 쓰시겠지요. 그것도 몸통이 다루마냐, 고추냐등등 모양도 많이 따지시기도 하시겠지만
그런분들 충분히 공감하고 이해 합니다만, 저는 원체 둔해서ㅠㅠ 교체하다가 시간을 다 허비하다보니, 이제는 귀찮아서 그냥 씁니
다. 그래도 찌통에 여유분의 짧은찌는 가지고 다니기는 하네요^6^ 낚시를 못가서 그렇지^^
찌길이 다르게 사용 하세요
윗글 주라님~~!!
적극 추천 합니다^^
왜 ???
일단, 불편하니까 ~ ㅎㅎ
어차피 요즘은 핀크립들 많이 쓰시니 봉돌과 찌만 바꾸고 낚시하면 참편하고 좋습니다^^
생미끼낚시야 고부력을 주로 쓰기에 영향이 덜할 수 있으나,
떡밥낚시의 경우 깊은수심에서 단찌를 쓰게되면 챔징타이밍 잡기가
수월치 않은 등 불편함이 수반됩니다.
낚시대의 칸수에 따라
찌길이와 부력 모두 다르게 써야 정답이지만...
깔맞춤과.....
귀차니즘으로 인해 같이 쓰는게 현실이죠...
주로 1m 전후의 수심을 많이 가다보니 50cm 가장 적당한거 같더군요...
더 낮은 수심에선 줄잡이로 잡아서 쓰면 50cm정도의 수심에서도 가능하구요...
귀차니즘의 영향이 가장 크기에 채비의 변경을 제대로 안하는편이지만...
찌 길이나 부력이 특별한 시기를 빼고는 조과에는 차이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찌 표현이나 입수등 달라지는 부분도 있겠지만 조과는 신경 쓸만큼 달라지는거 없다고 봅니다...
찌 길이보다 신경 쓰는건 찌탑의 재질이나 몸통 재질 모양등을 더 중요시 합니다...
찌맛을 더 보기 위해서 그렇게 했었죠..
수심 4미터의 붕어가 미끼를 물고 안정 수심권까지 떠오릅니다. 붕어가 미끼를 물고 바닥에서 40 ~80cm까지 떠오르면 장찌의 경우 찌탑이 40cm라면 거기까지 올릴거고 그때 찌맛이 환상이죠.. 평균 20cm 찌탑을 가진 찌들은 거기까지 올리고 몸통 동동 거리거나 뱉어버리죠. 찌탑 길이 이상 올릴때 급격히 봉돌의 무게가 커지니까요..
저 수심에서도 마찬가지죠. 붕어가 경계심이 약해서 40cm 수심에서 등 지느러미가 나올정도 까지 떠오르면 40cm 를 사용해도 무방하고요.
떡밥 낚시할때 수심에 따라 고부력,저부력은 구분했어도
수심에 따라 찌길이를 달리하는건 아니었죠.
붕어가 이물감을 느끼는 바늘, 미끼, 목줄 , 찌탑 등이 문제가 될 수는 있어도요..
그냥 찌탑 무게만 신경 쓰고 합니다.
찌맛을 보고 싶다면 긴찌에 얇은 카본찌탑의 떡밥찌.
중간정도의 40cm찌에 톱이 0.7이나 그이하로 얇아지는찌.
생미끼용 두꺼운 상부찌탑 1.1 이상
이렇게 쓰죠..
봄철 저수심을 놀이기 위한 단찌외에는 항상 같은 길이를 쭉 사용합니다
저는 찌맛을 즐기기 위해 되도록이면 장찌(80cm 까지)를 사용합니다.
장찌가 왜 찌맛을 즐기는데 유리한지 따로 설명하지는 않겠습니다.
저는 낚시대 1대당 50~60cm 찌와 25~30cm 찌 2개를 가지고 다닙니다
낚시대가 10대면 찌는 총 20개가 되겠지요?
50~60cm 찌와 30cm 찌의 부력은 사전에 동일하게 조정해 사용하며
몸통 재질이 같아 수온에 따른 부력의 변화가 동일 합니다.
낚시대에는 기본으로 50~60짜리 찌가 장착되어 있지만
포인트의 수심이 70~80cm 미만이면 25~30cm 찌로 교체합니다
찌의 부력은 낚시대의 길이 별로 구분하여 사용하는데
3.0대 미만은 2.8g, 3.0~4.0 미만은 3.0g
4.0대 이상은 4.5g으로 통일되어 있습니다.
4.0대 이상의 봉돌이 무거운 것은 앞치기 때문입니다.
찌는 부력별로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한눈에 구분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찌를 사용하는 장점은
포인트에 따라 대처가 빠르다는 점과
여벌의 채비를 준비하지 않아도 파손이나 교체 필요에 대응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단점은 처음 세팅할 때 엄청난 공력이 필요하다는 점 정도.......?
저는 찌를 자작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찌를 만들 때, 같은 몸통으로
장찌와 단찌를 같이 만들며 찌톱의 재질과 굵기를 달리하여
장찌와 단찌의 부력이 비슷하도록 만들고 있습니다.
원하는곳에 더 가까이대려면 찌가 길수록 캐스팅했을때 줄이 안당겨져옵니다
제가 생각하는게맞는지는모르겟는데 성제현씨 수초 낚시동영상참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