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낚시에 입문 한지 얼마 안되는 초보 입니다.^^
낚시에 급 빠져서 양어장 자주 다니고, 이제 노지 좀 다녀보려 합니다.
점점 하다보니 낚시 세계가 심오해 지고, 공부하고 생각해도 어려운게 많네요..ㅠ (이렇게 공부했으면 서울대 갔을듯;;;)
서론이 길었습니다.
제가 궁금한것은 수심 체크관련 기준 입니다.
군계xx 사이트 동영상에서 수심체크시 수면보다 찌를 10cm 노출 하라고 하는데요..
10cm노출의 기준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 입니다.
케미끝? 케미꽂이? 찌톱? 그외 다른 부위? 어디를 기준으로 10cm 노출이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처음 낚시 입문시 지인에게는 찌 2목정도 내놓은게 수심체크라고 배웠는데요..(외봉돌 채비)
만약 찌톱기준으로 10cm를 맞춘다면 4목은 가야 합니다..(나루예 녹전 3호)
스위벨 채비는 외봉돌 채비와 수심체크가 틀린것은 아닐것 같고...
어떤것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고수 조사님들! 부디 정확한 수심 체크 기준을 알려주세요!!
수심체크..10cm 노출??
-
- Hit : 4283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7
심오하지도 않고요... ㅎㅎㅎ
4목이든 2목이든 어느것도 맞고 틀리는것은 없습니다.
3목이어도 좋구요...
확실한 수심파악을 위한 여유길이 이므로 바닥만 확실히 파악 된다면 그 길이가 1센티이든 10센티이든 달라질게 없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기준이 필요없을뿐더러 정확한 길이또한 필요 없습니다.
쉽게 생각하고 가시는것도 낚시에서 필요한 덕목중 하나가 아닐까 싶습니다.
안착될 만큼만 찌를 노출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저는 30cm 정도 단찌일때 몸통까지 보여야 바닥이구나..합니다.
하지만 붕어님 말씀되로 바닥만 확인이 되었다면 얼마나 노출하는지는 상관이 없습니다.
질문을 보아하니 스위벨채비를 생각하시는것 같네요??
스위벨채비를 생각하신다면 군계xx 사이트에서 동영상 참고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댓글 감사 합니다..
바닥이 확인이 되었다면, 찌의 노출의 정도는 상관이 없다는 말씀은 이해 합니다.
문제는 그 바닥을 확인하려면, 노출이 어느정도 되었을때 바닥이 맞는지가 궁금한 것 입니다.ㅠㅠ
아랫봉돌은 바닥에 닿은겁니다.
더쉽게는 찌톱이 한뼘이상만 수면위로 보이면된겁니다. 이때 주의하실점은 반드시 찌의부력보다 더무거운봉돌을달아야 찌맞춤이가능합니다. 예로 5호찌에 4호봉돌달아서 찌맞춤하기위해 수면체크시 봉돌이바닥에닿질않아도 찌의부력이높아 찌몸통까지둥둥떠다니는걸보고 아~봉돌이바닥에닿았구나~라고 착각하시는분들도간혹계실겁니다. 반드시 찌의부력보다 높은홋수봉돌을달아서 찌맞춤을하셔야되는게 가장 기본적인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