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번 궁금증 많은 초보 입니다.
궁금한것은
제가 카본 2호 원줄쓰는데
수조 찌맞춤 하던중 바늘만빼고 분할채비에
찌 탑 끝에 맞췄습니다.
갑자기 어떤분이 수조통에 원줄을 채로담가
찌맞춤이 생각나 저도 원줄을 2/3정도
넣어봤더니
찌탑에 찌맞춤 했던 찌가 가라않더군요.
미세한 차이도 아니고 가라앉아 버리는데
찌맞춤 원줄넣고 앞으로 맞춰야
바람직한가요?
수조 찌 맞춤 하는데 긴급 질문요.
-
- Hit : 14659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42
찌 맞춤 할때...
현장에서 10번 던지고 찌맞춤 햇다면
수조에서 대충 해놓고 현장가면 2~3번 던지고 맞춤 가능..
그럼 현장에서 대 몇번 던지고 가능 하겠죠..?
시간을 줄이고 편안히 하고자 수조를 사용 할뿐입니다.
예를 들어, 원줄의 무게는 수심, 탁도 등에 따라 달라지고, 채비운용 시 수조에 담갔을 때 처럼 모두 침력으로 작용하지는 않습니다. 하여 어차피 현장찌맞춤으로 보완해야 하는데, 굳이 원줄을 수조에 담글 필요가 있을까요?.. 그냥 편하신데로 하시면 됩니다.
저는 찌탑 1마디 맞추고 갑니다.
카본2.5호 사용하구요
대충 맞아들어갑니다.
카본3호
원봉돌채비
수조에 바늘빼고 케미빼고 찌탑 세마디 반 노출 시키니 현장에서도 얼쭈 맞았습니다.
세밀함을 원하시면 현장으로~~~
참고로 분할채비시 봉돌 이격거리에 따라 찌맞춤도 미세한 차이를 보이더라구용
실제 낚시터에서 확인해보면 거의 대부분 찌가 가라앉더군요...
결론은 윗분들 얘기하신것처럼
수조통에서 1차
현장에서 2차
좁은 수조통에 아무리 잘맞춘다하지만, 입구가 좁아서 줄이 걸치거나, 눌림현상때문에 정확하게 할수가없습니다.
그리고 특히 카본사는 수심에따라 줄무게가 달라지기때문에 현장 찌맞춤은 필수입니다.
카본줄이 무겁기 때문이죠. 수심이 깊으면 줄 무게도 어마어마합니다.
저의 채비는 수조에서 1목맞춰놔야 현장가면 맞습니다..
저는 대물채비는 바늘,캐미.원줄빼고 찌가 수조통에 서서히 가라앉게합니다
분납채비는 원줄에 채비다해서 수조통넣기전에 밖에서 수조통 물높이만큼 맞추어서 넣습니다 조금씩 봉돌이나 편납 자르고
좁살이 바닥에 스무스하게 안착되고 목줄은 펴지는 싯점에 끝입니다
수조에서 맞추는 건 분명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찌맞춤 편리성을 위한 거지 수조가 기준이나 기본이 될 수는 없습니다.
수조 자맞춤을 너무 믿지는 마세요.
어느정도 찌맞춤의
차이는 날 수 있으나
제 생각은 찌맞춤 자체를
잘못 하신거 같습니다.
내림찌가 아닌이상 께미고무의
부력과 표면장력까지 가라앉히지는
못 한다고 생각 하고요...
원줄이 걸린 상태로 찌맞춤 하신거
같습니다.
카본사 찌맞춤과 카본원줄 분할채비에 대한 자세한 내용있어요 들어가서 한번 정독하시면 많은도움 되실겁니다. 원줄무게... 크게 신경쓰시지 않으셔도 됩니다
원줄은 성질은 크게3가지로 나눌수 있습니다.
서스펜드(가라앉는)서스펜딩이라고도
하구요,세미플로팅,플로팅(물에뜨는)
그리고종류에는 카본사,모노줄,합사,라일론
류등으로 나뉩니다.
질문자가 쓰신다는 카본사는 서스펜딩줄로서
가라앉는성질을 가지고있어서 그런반응은
당연하다 할 수 있겠습니다.
되도록이면 수조입구 구경이 큰걸로
줄에 단채로(현장채비와 동일하게)
찌맞춤 하신다면 시행착오를 줄일수
있겠습니다.
줄이 장단점이 있겠지만 자신이추구하는
낚시에 맞게 바꿔보시는 것도 한방법이라
할수있겟죠?
의견이 분분할수있으니 제 개인적인
생각이라 미리 말씀드리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카본사는 튼튼하긴 하지만 인장력이 없어서
거의 늘어나지는 않아서 순간결절강도 에서는
약할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저는 바닥낚시 에는 맞지않는다
판단하여 쓰지않습니다.
무엇보다 가라않는 성질때메 찌올림에는
도움되지 않는다 생각이 들기도하구요....
어디까지나 제사견이니 틀리더라도
나무라지는 마십시요^^
타당성이 있다판단하시면 참고하시고요
물낚시 철이 코앞에 다가오고있네요,
월이, 사짜 많이들 하세요~~~~~~
수조 맞춤이면 충분합니다.침력,부력,수압 이런거 따지면서 낚시 하심 오히려 취미로 인해서 스트레스 되는것 입니다.정밀한 내림 이나 중층이 아닌 다음에야 절대로 조과의 차이는 나지 않습니다.,
11호 봉돌 깍아서 돌멩이 채비합니다..
물론 조과는..음 ..ㅎㅎ
앞으로는 현장찌맞춤도 생각해봐야겟내요..
저부력에다가 분할봉돌이라면 이야기가 틀려집니다.
원줄의 추가적인 침력으로인해 아랫봉돌과 윗봉돌사이에 목줄이 휘어지게 되고, 그로인해서 예신이 표현되지 않게 되고 본신또한 깔끔하지못하고 끌리거나 잠기는 입질이 나오게될수도 있습니다.
이런 현상들을 예방하기위해 오링가감이나 수심에따라 무겁게 또는 가볍게 맞추기도 합니다.
공식을 알고싶으시면 군계일학 동영상이 좋구요,
경험치를 쌓고 싶으시다면 수조맞춤후 현장에서 찌맞춤을 다시하며 수심에 따른차이를 경험하시면서 입질의 차이를 느끼시면 많은 도움 되리라 생각합니다.
카본줄을 말아서 물에 같이 넣으시면 좀 더 정확하기는 하겠지요
그리고 찌의 반발력과도 관계가 있습니다
백발사찌나 예민한 저부력의 찌는 원줄을 생각 하셔야 됩니다
너무 어렵게 낚시하시지 마세요 정신건강에 해롭습니다 ^^
음 저는 저의 스타일로 해보렵니다.
고로 현장찌맘춤 하셔야 정확한 찌맞춤을 할수 있고요. 노지에서는 크게 상관없다 할 수 있습니다.
가끔 예민한 채비가 필요 할때도 있습니다.
카본줄은 현장에서 찌를 중심으로 바늘쪽 앞줄과 뒷줄(찌에서 낚시대쪽 원줄)을
찌를 중심으로 시이소를 타는 원리입니다. 그래서 장대는 무겁게 맞해야 하는 것 입니다.
저도 원봉돌 채비사용할땐 1년 내내 확인안하고 낚시해도 아무지장 없드라구요
스위벨로 갈아탄후로는 현장가서 그때그때 확인하지 않으면 빨리는 입질도많고 입질이 지저분 하드라구요
손맛터 하우스 아닌이상 너무 예민하게 안하셔도 됩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