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수조 찌맞춤 문의

내일 낚시가야대는데....비온다는 소식이 가슴을 아프게 합니다.ㅠ 수조찌맞춤을 해서 출조후 수심만 맞추고 낚시를했었습니다. 그런데 수조찌맞춤시...제경우는 찌+찌고무+봉돌만 장착후 수조에 담궈보고 가라앉으면 깎아주고, 또 깎아주고 해서... 찌가 물위로 올라올때 찌맞춤을 다했다고 생각했습니다. 얼마전 글을 읽다보니 수조찌맞춤시에 정밀한 맞춤을 하려면 봉돌 작업후 찌가 서서히 물속으로 잠기다가 영점이 맞춰지는게 좋다던데... 즉, 물속에 쭉가라앉았다가 다시 올라가서 맞춰지는게 아니라...물속에 들어가는동시에 맞춰지는게 바른찌맞춤인가하는것이 궁금합니다. 그리고 니퍼로 봉돌을 깎아주다보면 울퉁불퉁한데...매끄럽게 작업하는 도구가 따로 존재하는지도 궁금합니다. 어떤조사분들은 니퍼로 깎은후 칼로 다듬는다고 하시던데...어떤 칼인지가 궁금합니다.

떧밥과 대물,미끼선별과 수초지역,봉돌 무게따라 찌 맞춤도 천차만별이라..딱히 이게 정석이라고

말씀드리기 어렵구요

요즘나오는 봉돌보면 많이 무른게 많은듯해요

킬반커터칼로 살살 벗겨내셔도 쉽게 깍임니다.
일명 야스리라고 하죠??
그것까지 굳이 구할 필요는 없구요,,,쉽게 손톱깍기 보시면 손톱 다듬을수 있게끔 있잖아요
그걸로 살살 문질러줘도 댑니다.
어느쪽이나 상관은 없지싶은데 단지 물속에서 올라올때는 케미꽃이에 표면장력을 생각해야 합니다.
그래서 위에서 아래로 맞추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 같네요.
그리고, 봉돌의 표면은 그리 예민하게 하지않아도 될것입니다.
편납홀더를 사용하면 깎을 필요가 없씁니다.

저는 본봉돌을 찌탑에 맟추고 편납 홀더에다 편납으로 정밀

맟춤 하면 굳이 본봉돌에 흠집을 낼 필요가 없죠.

저만의 방법이니 참고만 하세유.
수조 찌마춤에서 정확하게 마추었다고 하여도 현장에 가서 수심체크후 다시 마추셔야할껍니다,,,

가령 현장 수심이 3미터정도라고 하면 원줄의 무게와 수압의 차이로인해

수조에서 마추었던것을 던져보시면 봉돌이 조금 무거워서 가라앉을꺼에요

조금 무겁게 찌마춤을 하시는분은 그냥 쓰셔도 되지만요

현장에서 수심체크후 다시 찌마춤 하시는것을 권해드립니다,,,


요즘 봉돌은 예전 봉돌보다 무르기때문에 커터칼로도 살짝 다듬을수 있고요

특별한 도구는 없습니다,,,

예전봉돌은 조금 단단해서 칼로 깍기엔 힘겹구요


찌마춤은 현장상황에 따라서 천차만별이라 많은 경험을 해보시것이 좋을것입니다,,

가령 바닥에 청태나 침수수초가 있다면 조금 가볍게해서 미끼가 침수수초위에 살짝 얹힐수 있게 하시고(파고들지않게)

갈대처럼 키가큰 수초라면 조금 무겁게해서 중간에 걸리지 않게

유속이 있는수로낚시하실때는 무겁게 마추시고요

상황마다 모두 설명을 드릴수가 없으니,,,,,,,,,,,,,,,,,,,,,,,,,,,,

경험만이 워리를 보실수 있는 찌마춤
봉돌을 처음 니퍼로 깍으실때 좀 신경쓰셔서 깔끔하게 깍으시고

찌맞춤이 대충 됐다 싶으면 고른 시멘트 바닦이나 사포에

몇차례 굴려주시면 제법 깔끔하게 정리됩니다.
들어갈때 맞춰지면 가벼운찌맞춤정도로 될듯 한데요...거기에 바늘달면..약간 무거워지겠지요..
전 그냥 바늘까지 달고 서서히 가라앉을때까지 맞춥니다. 수조에서 별도로 현장맞춤은 안하고요..
봉돌은 니뻐로 45도로 깍고...거의 맞았다 싶으면 커터칼로 살짝 다듬고 끝냅니다... 요즘은 거의 안하고요 귀찮아서 니뻐로만 ㅎㅎ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