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하세요..더워도 너무 덥네요..다들 건강 조심하시구요..저는 수조 찌맞춤(바늘 안달고 캐미 달고 찌탑 한마디에 맞춥니다..이렇게 하고 실제 낚시할때는 쇠링 중자 하나 물립니다..)후 현장에서는 수심측정후 찌를 50cm 정도 밑으로 내리고 찌를 맞춰보면 찌고무 약 절반정도에 수심이 맞춰집니다..이 상태에서 찌를 다시올려 찌탑 한마디 내놓고 낚시하는데요..이 방법이 맞는 방법 일까요??..아님 수조 찌맞춤 할때 찌탑 한마디에 맞추었으니 현장에서는 무조건 찌탑 두마디
내놓고 낚시하는 방법이 맞을까요??..어느 방법이 봉돌이 확실히 바닥에 닿는 방법 일까요??..낚시할때마다 드는 의문
입니다..답변에 미리 감사 드립니다..다들 대구리 하시고 건강들 하십시요..꾸벅(__*)..
수조 찌맞춤 후 실제 낚시 할때요..
-
- Hit : 7094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3
미세하게 신경쓰면 끝도없는게 찌맞춤같습니다
대충 맞춰도 올릴 붕어들은 다 시원하게 잘올리네요
쇠링 안다시고 그냥 쓰셔도 됩니다.
그렇게하셔도 찌고무 까지는 무조건 잠기고, 봉돌 바닥에 닿습니다.
중짜 쇠링이 몇그람짜리인지 모르겠으나, 0.1g 링에 보통 찌탑 세마디정도 가라앉힙니다.
카본라인이 이정도(낚시대 길이에 따라 0.1~0.3g 정도) 침력으로 작용하고요^^
출조 시 마다 찌맞춤을 다시 하지 않는 이상은 피곤한 낚시가 될 수 있습니다. 헛챔질등
봉돌 무게를 줄이시고 요즘 4~5g의 부력의 찌를 마니 써시더군요. 수조에서 케미 상단에 맞추시는게 편한 낚시를 하실 겁니다.
저같은 경우는 한셑은 예민한 맞춤과 한셑은 수초낚시를 위해 풍덩채비 이렇게 해 다닙니다.
현장에서 찌맞춤이 가능하시다면, 현장가셔서 채비 번잡해지게 쇠링 같은 거 추가하지 마시고, 그냥 현장맞춤으로 깔끔하게 쇠링없이 맞춤 하시죠.
하시는 맞춤은 상당히 가벼운 맞춤으로 바람이 불어서 수면이 일렁이면 채비도 둥실둥실 흘러다닐 것 같네요.
원줄에 따라 찌맞춤이 약간은 달라지는데요.
원줄이 카본줄이면 케미고무만 노출되게 맞추시는게 봉돌이 바닥을 찍고 안정적인 낚시를 하는것입니다.
원줄이 세미나 플로팅이라면 찌맞춤은 케미만 노출로 맞추시면 적당할겁니다.
찌맞춤하시고 현장에서 쇠링을 추가로 달게되면 번거롭습니다.
취향에 따라 달라지지만 멋진 찌올림을 보시려면 조금더 안정적으로 가시는게 좋을거 같네요..
카본줄이면 다소 가볍게 느껴지나 요즘 가벼운 채비들 선호하니까
바늘무게까지 감안하면 그냥 하셔도 무방합니다.
이것 저것 귀찮으면 부레찌 쓰시구요.
노지에서 그냥합니다
전에 몇차례 노지에서 테스트 한결과 카본원줄 무게로
좀더 가라앉는 건 분명한데 그건 그만큼 찌를 솔려주면
되는것이기에 신경 쓰지 않습니다
참고로 한동안은 바늘까지 단 상태로 치맞춤을
했던적이 있는데 그때나 지금이나 조과나 입질차이는
없는듯 합니다
옥내림등 바닥채비가 아닌이상 노지에서의
찌맞춤은 찌맞춤통에서만 맞춰쓰는것이
저는 충분합니다
제가 추천드리는 방법은 천천히 가라앉자 바닥에 닿았다가 잠시 머문후 느릿하게 올라와 찌톱 상단이 수면에 보이는 정도면 되지않나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