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 탄스리님 원칙은 야간캐미빼고 바늘빼고 수조마춤한 뒤 현장에서 다시 마추고 바늘다는거지요
진짜 예민하게 마추려면 야간캐미끼고 바늘빼고 수심까지 마춘뒤 찌를 봉돌쪽으로 30센티가량 내려서마춘답니다. 그런데 대부분 봉돌가까이에 찌를 내린뒤에 마추지요 현장 바뀔때나 수심 얕고 깊은곳 가래마다 마출수없으니깐요
원칙은 마이다스님 말씀이 맞습니다.
앞전에 원줄2호에 고정찌채비에서 원줄4호에 유동찌채비로 바꾸고 현장가서 시간 좀 아껴보려고 질문올렸는데 별로 차이도 없더군요 약간 무거워진정도...앞으로 그냥 다빼고 수조마춤하고 현장가서 바로 낚시하려합니다. 그리고 현장가서 좀 무거워진거 봉돌 깎아봐야 얼마나 더 깎아서 초정밀하게 마추려구요~? 붕어가 그 세밀함 느낄까요?
바닦에닿는겁니까 봉돌은뜨고
바늘이 바닦에닿는건지요?
궁금해서 여쭙습니다.
진짜 예민하게 마추려면 야간캐미끼고 바늘빼고 수심까지 마춘뒤 찌를 봉돌쪽으로 30센티가량 내려서마춘답니다. 그런데 대부분 봉돌가까이에 찌를 내린뒤에 마추지요 현장 바뀔때나 수심 얕고 깊은곳 가래마다 마출수없으니깐요
수조에서 캐미빼고 바늘달고 수평마추면 현장에서 적당~합니다.
닿게 하고싶습니다.
현장에서 찌맞춤 어떻케하면되나요?
캐미 빼고 몸통 상단까지 맞춥니다...
그후 캐미 달면 캐미고무는 대개 잠기게 됩니다...
말씀하신 맞춤은 제 경험상...
현장에서 짜맞춤해 보면 꽤 무거운 맞춤이 됩니다...
냐옹님 말씀대로 원줄무게, 찌고무, 스토퍼...수압 및 밀도 등에 의해서
태스팅하시면 됩니다.
저두 원줄 3.5~4 호 사용중인데 줄무게 꾀 나가더군요 사람마다 스타일이 조금씩 차이가 있는거 같습니다
앞전에 원줄2호에 고정찌채비에서 원줄4호에 유동찌채비로 바꾸고 현장가서 시간 좀 아껴보려고 질문올렸는데 별로 차이도 없더군요 약간 무거워진정도...앞으로 그냥 다빼고 수조마춤하고 현장가서 바로 낚시하려합니다. 그리고 현장가서 좀 무거워진거 봉돌 깎아봐야 얼마나 더 깎아서 초정밀하게 마추려구요~? 붕어가 그 세밀함 느낄까요?
님과 같은 방법으로도 해봤고요.
자신의 채비에 확신을 가지시고 즐낚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