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수조찌맞춤방법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내일 손맛터로 출동해 볼 생각입니다. 그간 현장찌맞춤으로만 찌 맞춤을 해 왔는데 입질이 약한 지금은 좀 더 정밀하게 찌맞춤을 해보려 합니다. 그래서 수조에서만 찌맞춤을 해서 현장에서 한 번 실험해보려고 하는데 한 번도 수조에서 찌맞춤을 해 본적이 없네요..ㅠ.ㅠ 낚시방에서는 찌하고 봉돌하고 멈춤스토퍼 달고 그냥 대충 맞춰주던데 다른분들은 원줄의 무게까지 계산해서 하셔야 한다구 하기도 하고, 다른분들은 어떻게 수조찌맞춤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모노줄일때와 카본줄일때도 수조찌맞춤의 차이가 있는지 알려주세요) 캐미꽃이 살짝 접히게 맞출때의 상황입니다. 찌맞춤 한 상태에서 찌 1~2목 더 내놓고 사용할 것 입니다. 1. 모노줄이던 카본줄이던 1m원줄짤라서 찌멈품고무4개, 유동찌스토퍼1개, 사용할 찌, 핀도래1개, 봉돌1개 이렇게 달고 케미고무 근처로 맞춤 2. 모노줄이던 카본줄이던 1m원줄짤라서 찌멈춤고무4개, 유동찌스토퍼1개, 사용할 찌, 핀도래1개, 봉돌1개 이렇게 달고 찌탑 1목맞추고 쇠링(찌탑1목정도의 무게) 한개 채워서 사용 3. 위 1번상황에 원줄의 길이만큼 원줄을 봉돌에 감아서 맞춤 4. 위 2번상황에 원줄의 길이만틈 원줄을 봉돌에 감아서 맞춤 5. 유동채비일지라도 모노줄이던 카본줄이던 1m원줄을 잘라서 고정채비처럼 찌고무 한개만 달아서 찌 꽃고 캐미고무 근처로 맞춤 5. 위 2번처럼해서 찌탑 1목맞추고 쇠링은 안채우고 그냥 찌탑만 2~3목에 내놓고 사용함. 6. 다른 방법 (각자 방법을 서술해 주세요)

수조 찌맞춤이 현장 찌맞춤보다 좋을지 모르겠네요...
제경우 수조 찌맞춤은
1) 채비 만지는 즐거움을 느끼기 위해
2) 현장 찌맞춤의 시간을 줄이기 위해
합니다. 정밀한 찌맞춤을 하시려면 수조에서 대략 맞추고 현장에서 실제 조정 하는게 나을듯 합니다.
찌맞춤의 원리는 생각만큼 어렵지 않습니다. 무슨 전설 속의 비법이 있는 것이아닙니다.
결국 어깨넘어로 선배낚시인이 이렇게해라 저렇게 해라 하면 맹목적으로 따라하기만 했다는 뜻입니다.
즉, 낚시의 원리는 생각하지 않고 단순히 선배낚시인들의 지시에만 따랐다는 뜻이지요.

전통올림낚시는
첫째 찌맞춤이 정확해야합니다.(봉돌이 바닥에 가장 적절한 무게감으로 닿아야 함.)
둘째 찌맞춤이 아무리 잘 되었다 하여도 떡밥운영 및 채비 운영이 정확하지 않으면 안되겠습니다.
즉, 내림 떡밥 물성으로 올림 떡밥 운영을 한다면.. 아무런 효과가 없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붕어가 미끼를 흡입할 때 떡밥은 점성이 좋와야 떡밥과 함께 바늘도 함께 붕어의 입으로 흡입되겠습니다.
이와 함께 붕어가 원하는 감촉이 유지 되어야 합니다. 그러니까 예쁜 아기의 귓볼과 같은 느낌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점성은 쇠심줄 만큼이나 질기면 질길 수록 좋와야 붕어가 미끼를 흡입할 때 손쉽게 바늘도 떡밥과 함께
붕어의 입으로 흡입 된다는 뜻입니다.
세째 수심을 정확히 맞추어야 합니다. 즉, 봉돌이 바닥에 닿아 있어야 겠습니다.
그외 찌의 선택, 채비의 선택, 바늘 및 목줄의 선택, 원줄의 선택 등 다양한 조건을 만족 시켜주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낚시인의 체력과 테크닉이 함께 한다면 좋은 결과를 낙관합니다.

수조 찌맞춤 후 현장에서는 또 다시 찌맞춤 상태를 점검해야할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이유는 수조 물이나 현장 물이나 성지의 차이가 전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 이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유무명 낚시인들은 수온, 탁도, 밀도, 염도, 수압, 기압, 수돗물과 낚시터 물과의 차이,...기타 등등
수많은 원인 요인 때문에 수조에서 찌맞춤 후 현장에서 또다시 찌맞춤을 해야 한다고 합니다. 한마디로 엉터리 입니다.
물론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그 차이는 0.000g 단위의 매우 작은 차이 일뿐 전혀 차이가 없는 상징적 수준입니다.
오히려 이런 차이를 극복한답시고.. 납추를 깍고 별짓을 다하는 과정에서 눈대중 찌맞춤이 되어 오차만 더 벌어지는 것입니다.
그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는 저의 개인카페에 수록된 내용을 열공후 반론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찌맞춤 과정은 아주 쉽습니다.
목줄과 바늘만 제외 한 모든 채비를 장착 합니다.
이때 원줄은 꼭 모노 줄을 사용하며 굵기는 노지 1.5호 이상, 하우스 양어장은 1.5호 이내 또는 1호 입니다.
카본사는 이유 불문 사용금지 이며... 카본 줄은 무게가 있어 찌맞춤 상태가 수시로 변동합니다.
일부 유명 낚시인들께서 카본사를 권장한다하여.. 무조건 따라 하는 것은 참으로 잘 못 된 판단입니다.
토론의 가치 조차 없으니... 사용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찌톱 한마디이내 부분과 수조 수면과 일치하게 찌맞춤합니다.

이때 주의 하실 점은 찌의 하강 속도 제어 및 찌톱에 묻어 있는 물끼를 깨끗이 제거합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저의 개인 카페 동영상을 참고 하면 되겠습니다.(무료) 더불어 체험수기도 읽어보시고..
오링가감법도 공부하시면 누구나 충분히 이해가 될 것입니다.
대물낚시 찌맞춤이 아니시고 떡밥낚시나 예민한 채비로 하실거 같으면 제 생각엔

수조찌맞춤은 잊으시고 현장에서만 하시는게 좋을듯 싶네요.

예민한 낚시에서는 수조맞춤은 오히려 독이 될수있습니다.

현장과 수조맞춤은 분명히 차잇점이 많습니다.
하나 유통님의 말씀은 해석해 보건데... 영점낚시와 전통낚시의 차이점을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ㅎ현장 맞춤으로 무바늘 현장 1마디면 납추는 불안정 안착이지요.
수조에서 찌톱 한마디면 가벼운 안착이고요.
바늘 달고 현장에서 찌톱 한마디 맞추면... 영점낚시이고요.
낚시의 원리는 생각 만큼 쉽고... 원리도 간단합니다.
시기 적절하게 어떤 맞춤을 적용할 것인가? ㅎ이부분을 말씀하시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ㅎ너무 미워하지 마세요.
저는 하나 유통님이 누군지는 모르지만... 왠지 그런 느낌이..ㅎㅎ미워 안하신다면.. 저의 주장도 한번 연구해 보시죠.
물론 저를 지칭한 것은 아니시겠지만... 그래도 왠지 기분이 그래서요.
수조 찌맞춤은 대물 생미끼 낚시면 모를까...
떡밥낚시에서 수조 찌맞춤이라고 하시는건 둔한 낚시...
그날그날 조황에 따른 수동적인 낚시라고 할것입니다....
이정호님이 말씀하시는 적당한 무게감의 봉돌의 바닥안착이라고 하시는게...
쇠오링 소짜 1개차이에서도 찌에 나타나는 입질이 달리지는데...
내가 낚시할 장소의 수심과 바닥지형을 모르는 상태에서 수조찌맞춤으로써 낚시를 한다는것인지요?

능동적인 낚시를 한다면 낚시실력이 나날이 늘것입니다.
오늘 입질이 영~ 않좋네... 또는 오늘 조황이 않좋네...
이런말이 말이 나오는 낚시?

물론 찌맞춤에 의해서 모든것이 결정되는것은 아니지만...
낚시를 함에 있어서 중요도가 아주 큽니다.
수조 찌맞춤은 절대... 떡밥낚시에서는 피곤한 낚시를 하게되는 원인이라 하겠습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