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스위벨 어렵네요ㅠ

초보조사입니다. 스위벨채비하는데 올림입질을 거즘못보네요.. 채비에 자신이 없어집니다.ㅋ 스위벨 채비 잘하는법 주의할점 좀 가르쳐주세요! 그래도 조과는 괜찮은듯합니다ㅋ

스위벨 채비는 군계일학 사이트 가서 성사장님 강의 보는게 제일 빠르죠

하지만 스위벨 채비 자체가 장점도 있지만 많이 까다로운 채비인건 맞는거 같습니다
낚시 흉내만 내는 초보자가 한글자 적고갑니다
올림입질을 못보신다면 스위벨 호수를 한단계 높여보세요 그리고 스위벨이 예민한채비라고 다들 알고사용하시는것 같은데 제생각엔 스위벨은 말그대로 분할 채비입니다 너무 예민하게 가실려면 문제점이많이 생깁니다 그냥 맘편히 조금 무겁게 가제가
가져 가보시면 원하시는 답이 나올듯 합니다 전 참고로 찌푼수 상관없이 스위벨이 찌탑 무게 만큼만 되면 찌는 잘올린다 생각하고 그렇게 해왔습니다 본봉돌은 찌몸통 가라앉게 그담 찌탑에 맞는 스위벨 달아서 캐미고무 나오게 마추고 합니다 전 과정 캐미 바늘 다 빼고 맞춤니다 현장가셔서 캐미달면 줄무게 +되서 살짝 무겁다란생각이 드실겁니다 바늘달고 바로낚시 합니다 참고로 이렇게하시면 예민한건 살짝 버리시되 확실한 바닥 안착과 찌올림은 보실겁니다 멋도 모르는 초짜가 한글자 적고갑니딘
가을철엔 수초들이 삭아서 가라앉아 있으므로 바닥상황 이 깨끗하지 않은곳이 많습니다. 이런곳은 깔끔한 찌올림을 보기 힘듭니다
꿈벅꿈벅 하다가 찌가 살짝 내려가거나 옆으로 끌리거나 갑자기 찌를 가져가거나.... 하는 입질이 나옵니다 이때 미끼를 아주 환 크기 정도로 작게 달아주면 깨끗한 찌올림을 보여줍니다. 스위벨 채비맟춤 은 저의경우는 바늘만 달지않은 상태에서 케미상단 0.5 센티정도 수면에 노출되게 맟추고 나서 바늘달고 1목 정도 내놓고 씁니다 실수심에서 다시한번 재조정해줍니다,투척 해보면 찌가 내려갈때 툭 하고 떨어지면 약간 무거운 것이고 살포시 안착하면 미세하게 맟춰진것입니다.
미세하게 보다는 톡 하고 떨어지는 것이 찌올림이 정확하고 깔끔했습니다.
저도 옥내림하다가 스웨벨로 전환했는데 ㅠ.ㅠ
이번주 채비 재정비하고 첫 출조 나가는데 일단 나가보고 ...
스위벨 같은 분할은... 찌의 순부력도 높아야됩니다 200%이상의 순부력찌를 사용해보세요 ㅎ

그리고, 찌의 부력 20%의 스위벨을 사용해보세요.

스위벨중 무겁다 싶을 정도로 ㅎㅎ 0.7~0.8g 짜리를 사용하고..

카본라인 2호이상이면 수면일치로 맞추고, 모노라인 1호면 정밀찌맞춤 딸깍하면되구요 ㅎ

변수가 너무 많아서.. 글로는 설명이 많이 어렵습니다.

근처 경기낚시 카페나 직접 보고 배우면서 이해를 해야 낚시가 쉬워집니다 ㅎ
찌 부력에 맞는 스위벨을 사용하셔야 할거 같군요
스위벨을 띠고 물에 넣었을때 찌 몸통까지 나오나를 확인해보세요
댓글들 감사드립니다.
찌 부력과 스위벨무게를 생각 안했네요.
그건군계일학에서 못본듯.. 그냥 모든찌에 4호스위벨달고 봉돌무게로만 찌맞춤을해왔거든요. 공부해야겠습니다.ㅠ
스위벨채비 찌맞춤은 너무 가벼워도 입질이 지저분하고 빠는 입질이 자주 나타납니다
스위벨은 최소한 찌의 찌탑은 감당하여야 합니다
찌몸통까지 본봉돌달고 스위벨달았을 때 케미가잡히는 무게 이보다는 조금 더 무거운것이 좋습니다
카본줄을 쓰신다면 조금더 무거운것이 좋구요,,,,
스위벨채비는 바늘을 달고 찌맞춤하지 않습니다
무바늘로 찌맞춤하는게 맞습니다
바늘달고 했던것은 옛날 좁쌀봉돌채비일때 어쩔수없이 했구요,,,,
그게 불편하고 힘들어서 스위벨채비를 만들게 된겁니다
군계일학에 가셔서 동영상 검색하시면 찌맞춤법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노지 스위벨채비 너무 저부력찌를 사용하지 마시고

고리봉돌 5~7호 정도 먹는 찌를 선택합니다.

스위벨은 4~5호정도 사용하시고

수조맞춤은 바늘빼고 케미 반마디 나오게 맞춥니다.

현장가서 바늘달고 낚시 해보세요.

대부분 올리는 찌올림 많이 보입니다..

너무 가볍게 맞추거나 가벼운 채비를 하면 빨려 들어가는 입질이 나타날수 있죠..
그리고 낚시 하실때 1목 내놓고 낚시 하세요..

수심 맞출때 채비의 바른 안착이 됩니다.
스위벨 좋은 체비임에는 틀림없습니다
그러나
1차적으로 찌 부력에 맞는 스위벨 호수를 잘 선정 하여야 하며 이것이 맞아 떨어졌을때
2차적인 문제는 붕어의 활성도가 계절별로 시간별로 날시에 영향을 주는데
스위벨의 가장 큰 단점은 스위벨 목줄을 개인에 따라 노지나 양어장 기타 여건에 따라 10-30센치 정도로
많이 사용을 하지만 이것을 유동이 아닌 고정으로 하는데 여기서 문제점이 발생합니다
어떤때는 찌를 그림같이 올리지만 어떤때는 꼼짝 하지 않을때도 있습니다
그때그때 활성도가 틀리기 때문이죠
저는 그래서 스위벨을 약간 변형을 줍니다 입질이 약할때는 스위벨 호수를 약간 큰걸로 가져가고
입질이 좋을때는 약간 작은 호수로 가져갑니다 그리고 스위벨 목줄도 고정이 아닌 유동으로 해서
입질이 빠를때는 봉돌간격을 늘리고 입질이 느릴때는 봉돌 간격을 줄여서 가장 찌를 잘 올려주는 타점을
그때그때 조정을 합니다 언제 어디를 가든 붕어의 활성도에 따라 내 마음대로 조정을 해서 씁니다
양어장이나 관리형 저수지는 늘 대박조황을 보이며 찌올림 역시 환상으로 올려줍니다
참고로 스위벨은 일반 시중제품이 아닌 제가 그람수 별로 만들어 사용합니다
글로는 잘 표현이 되었는지 모르겠지만 말로하면 잘 설명할수 있을텐데 ....
위에 민선나라님께서 좋은 의견을 주셨네요.
저는 주로 양어장이나 관리터를 다니는데, 그쪽의 붕어들이 예민하다보니 채비가 좀 무거울 경우엔, 찌올림이 그리 좋지 못합니다.
그래서인지 꽤 오랫동안 스위벨채비를 애용하고 있습니다.
스위벨의 홋수난 채비는 민선나라님과 거의 비슷합니다.
다만 제가 신경을 쓰고 있는 부분이 있는데, 원줄도 신경을 써 보세요.
많은 분들이 카본 또는 모노줄을 사용하시고 있는데,
카본줄은 침력이 강하여, 저부력찌(제경우엔 3.5~4호)를 사용 할 경우 정확한 찌맞춤이 힘들고,
모노줄인 경우 수면과 같이 있기에, 예민한 찌맞춤은 좋지만, 줄이 잘 늘어나는 단점과 약한바람과 유속에서도 흐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대안으로 찾은 것이 플로트라인입니다.
지금 사용하고 있는 원줄은 수면에서 약 20cm 정도만 가라 앉아있기 때문에, 찌 맞춤을 정확히 할 수 있으며, 종종 몸통까지 올리는 찌올림을 보고 있습니다.
바닥낚시에서 조과를 무시 못하지만, 그래도 멋진 찌올림을 기대하는 낚시 아닌가요?
하나 덧붙여 스위벨을 본봉돌 밑에 바로 묶지 마시고, 스위벨 위치에 스냅도래와 스위벨을 같이 채비해 보세요.
물론 도래와 스웨벨을 빼고 몸통 맞춤, 도래와 스위벨을 달고 캐미고무 노출맞춤, 전 반마디 맞춤..
물론 플로트라인이라 가능하더군요. 그리고 한 목 내 놓고 낚시를 합니다.
입질 상황에 따라서 스냅도래에 오링을 가감한다면, 분명히 이쁘고 정확한 찌올림을 볼 수 있으리라 생각이 드는군요..
미천한 지식이지만,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스위벨과 본봉돌사이에 벨런스가 너무 맞지않아도 문제가 됩니다. 붕어가 스위벨을 드는데 찌가올라오지 않고중간목줄이 휘어집니다. 반드시 수조에서 맞춰볼것을 권해드립니다
중간목줄이 너무 길어도 좋지 않습니다 중긴목줄은 노지경우10-20cm 가 좋습니다
스위벨 오래하시다 보면 웬만한 채비를 다 이해할 날이 옵니다~ 좋은채비입니다~
아! 바닥상태가 좋지않아도 끌고 들어갑니다~ 두바늘보단 외봉이 찌올림이 확실히 좋구요~
채비는 한가지로 정한다는것자체가 잘못됬다는 일인 입니다.한곳에서만 낚시한다면 상관없지만요 ..스위벨.사슬.원봉돌.옥내림등 그 장소에
잘맞는 채비가 분명히 있습니다.
스위벨은 찌맞춤이 정확해야 함으로 피곤을
요구하면 입질이 약할때만 ..추천합니다.
글 내용 '조과는 괜찮은데, 올림입질을 못본다.'으로 생각해보니. 빠는 입질이 나오신다는 것인가요?
스위벨을 가장 잘아는분은 아무래도 성대표님이 아닐까요..ㅋㅋ

동영상 자세히 잘 보시고 연구해보세요

저같은 경우는 중간 목줄이 휘어지는 오류를 범해서 몇차례 문의 드렸었어요 ㅎㅎ

지금은.. 노지에서 풍덩채비에 빠져서 안씁니다만.. 양어장가면 씁니다

본봉돌 달고 찌몸통 나오는거 확인하시고~ 스위벨 호수 잘 정하세요
노지에서 다대편성시 중간목줄이 받침대나 낚시대에 휘감기면..

입질타이밍에... ㅋㅋㅋ 화가 머리끝까지 납니다.. 적응 덜되서 그런지 ㅎㅎ

-_-;; 종종 생기면 짜증좀 납니다 ㅎㅎ
스웨벨채비 졸업한 일인입니다.
입질은 빠는입질이 80%, 올리는 입질이 20%로
보시면 되고요,
그래서 저는 원봉돌 풍덩으로 돌아 왔습니다.
캄캄한 밤에 숨이 넘어갈정도의 찌올림 보구싶어서요.
찌톱 부력은 측정해본결과 거의가 다 0.2 그램 정도입니다..
0.34그램 짜리 황봉돌 달면 딱 맞습니다
충분히 찌를 올려줄수 있는 양입니다..
0.34그램 짜리달고 케미 끼고 케미만 수조 물위로나오는수준으로 맞추면
아주 딱 맞습니다..
현장가서는 찌톱 한눈금만 내놓으면 아주 딱이지요..
스위벨채비는 스위벨 호수 정하는것부터 원줄이 굵기부터~~
시작해서 설명드리려면 너무 광범위 합니다~~
추천해드리는것는 군계일학 사이트에서 성제현 사장님의 강의를 들으시는게 가장 빠를듯 합니다~~
^^
초짜가 한가지 첨부한다면 목줄길이를 조정해 보세요..4~5cm가 아니라 10~15cm정도 사용하시면 올리는 입질 보실수 있습니다..너무 예민함에 빠지면 짜증을 유발합니다.^^붕어있는곳엔 오함마도 들어올린다는걸 터득하시는게 더 좋은 조과 보장합니다..
초짜입니다. 저는 스위벨사용한지 3년 정도 됐습니다. 동영상도 많이보고 했지만 저도 처음에는 똑같은 입질을 보고 헛챔질도 많이 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완벽한 올림 입질을 보고 있습니다. 대물 낚시에도 찌만 설수 있으면 좋은 입질을 봅니다. 확실히 원봉돌 채비보다 빠른거 같습니다. 수심 맞추실때 한마디에서 두마디는 무조건 올려 놓고 하셔야합니다. 아니면 스위벨이 바닥에 안착안되서 올림 입질을 보기가 힘든거 같습니다. 목줄도 호수도 원봉돌에서 스위벨까지 스웨벨에서 바늘까지 동등하거나 바늘쪽이 더가벼워야 좋은입질을 받는거 같습니다. 그리고 낮케미하고 야간케미하고 g이 맞는거이 좋습니다. 노지에서는 5.6호요 도움이됐으면 좋겠습니다.
내림 낚시 아니시면 찌가 끝까지 올릴때까지 아니면 찌가 물속으로 빨려들어갈때까지 기다리십오.
반짝하면서 올리는 찌나 한 두마디 순간적으로 올라오는 입질에 채면 90%이상 헛 챔질할 가능성이 다분합니다.
스위벨 체비가 꽤나 가볍기에 바늘이 조금만 움직여도 (예신에도) 한두 마디 올리는것이 다반사이므로 좀 더 기다림과 느긋한 챔질이 필요할겁니다.
입질 파악이 힘들면 오히려 스위벨을 때어내고 본봉돌만으로 찌마춤이 오히려 편하고 입질에 챔질이 정확할수 있습니다^^
순간적인 챔질을 하시려면 내림낚시가 더 맞습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