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벨을 쓰는 이유부터 정확히 알아야 선택의 기준이 정해지고 그에 따라 다른 무게의 스위벨을 고를수 있을것 같네요
스위벨을 쓰면 붕어가 입질할때 보다 작은 힘으로도 찌가 움직일수 있게 됩니다 즉, 원봉돌을 쓸때보다 스위벨을 쓰게 되면
저수온기의 미약한 입질도 정확하게 찌에 전달 될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죠 원봉돌 보다는 예민한 채비라고 할수 있겠죠
원봉돌의 아래에 달아서 바닥에 닿게 하는데 이는 사용하는 찌의 찌톱만을 가라앉힐 수 있는 정도의 무게가 가장 적당합니다.
그러므로 원줄을 모노줄보다 무거운 카볼줄을 쓰게 되면 좀더 무거운 찌마춤을 하면 되지만, 카본줄이라고 해서 스위벨 홋수를
보다 큰것으로 쓰지 않아도 되므로 원줄에 따라서 스위벨 홋수를 선택한다는 것은 맞지 않는 말입니다.
낚시대가 길면 길수록 좀더 무거운 봉돌을 사용해야 투척이 용이하겠죠 그에따라서 찌의 부력도 높아지게 되구요
스위벨 선택의 기준이 되는 것은 사용하는 찌의 부력에 따라 달라지게 되므로 낚시대의 길이가 길어지면
스위벨 무게도 늘어나게 되니까 당연 홋수가 큰것을 사용하게 되겠죠
다시 한번 말하지만, 스위벨은 사용하는 찌의 찌톱만을 가라 앉힐 수 있는 무게여야 합니다.
이보다 무거운 스위벨을 쓴다면 원봉돌을 두개의 봉돌로 나눈 분할봉돌이 되고
이보다 가벼운 스위벨을 쓴다면 내려가는 입질이 잦아지거나 올라오는 완벽한 입질에서도 헛챔질이 많아집니다
카본줄은 원래 바다낚시 목줄용으로 출시된 낚시줄입니다만, 민물낚시중 대물낚시 하는 분들이 대물을 랜딩하려고 사용하기 시작했죠
떡밥낚시용 원줄로는 노지나 자연지라도 제 개인적인 소견으로는 득보다는 실이 더 많기 때문에 비추입니다.
떡밥낚시는 1대 또는 2대 정도의 낚시대로 자주 투척하여 집어군을 형성시킨 후 집어된 상태에서 낚시를 하게 되며
붕어의 회유로에 미끼를 투척해두고 기다리는 대물낚시와는 성격이 조금 다르다고 봅니다.
그러므로 민감한 입질에도 어신이 찌에 전달되어야 하는데 카본줄을 사용하게 되면 그 무게때문에 찌마춤이 어려워지고
어신이 찌에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노지나 자연지에서는 바람 대류 또는 카본줄의 무게때문에
찌를 앞쪽으로 당겨오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이런 이유때문에 저는 모노줄만을 사용합니다.
또한, 찌마춤을 할때 카본줄을 사용하면 모노줄을 사용할때보다 그 비중이 높아서 무거운 찌마춤을 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카본줄 보다 모노줄을 사용한다면 원봉돌보다 예민한 스위벨 채비의 장점을 좀더 효과적으로 볼수 있게 되고
모노줄을 써서 랜딩시 원줄이 터져나간다면 그건 본인이 급하게 힘자랑을 해서 터진것이지 줄이 약해서 터진것은 아닐듯 합니다
간혹 어쩔수 없이 원줄이 터져나가는 상황이 벌어진다 해도 찌맛 손맛은 본것이니 그것으로 만족해야 하겠죠
참고로 저는 모노 2호줄을 써도 85짜리 잉어를 랜딩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었습니다
군계일학 스위벨 4호 쓰시면 됩니다.
스위벨은 잘못구사하면 참 지져분한 것이맞습니다.
저 또한 초창기 몇달간 별짓을 다 해보다가.. 포기했었고요..
그러다 이봉채비로 몇달.. 다시 스위벨로 돌아와 스위벨 채비를 제 것으로 만들었습니다.
따라하기 스위벨말고.. 진정 본인만의 스위벨채비를 가지고있다면 이봉에서 따라올수없는 득이 많습니다. ㅎㅎ
어떤 채비든 다 그렇겠지만요^^
스위벨을 쓰면 붕어가 입질할때 보다 작은 힘으로도 찌가 움직일수 있게 됩니다 즉, 원봉돌을 쓸때보다 스위벨을 쓰게 되면
저수온기의 미약한 입질도 정확하게 찌에 전달 될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죠 원봉돌 보다는 예민한 채비라고 할수 있겠죠
원봉돌의 아래에 달아서 바닥에 닿게 하는데 이는 사용하는 찌의 찌톱만을 가라앉힐 수 있는 정도의 무게가 가장 적당합니다.
그러므로 원줄을 모노줄보다 무거운 카볼줄을 쓰게 되면 좀더 무거운 찌마춤을 하면 되지만, 카본줄이라고 해서 스위벨 홋수를
보다 큰것으로 쓰지 않아도 되므로 원줄에 따라서 스위벨 홋수를 선택한다는 것은 맞지 않는 말입니다.
낚시대가 길면 길수록 좀더 무거운 봉돌을 사용해야 투척이 용이하겠죠 그에따라서 찌의 부력도 높아지게 되구요
스위벨 선택의 기준이 되는 것은 사용하는 찌의 부력에 따라 달라지게 되므로 낚시대의 길이가 길어지면
스위벨 무게도 늘어나게 되니까 당연 홋수가 큰것을 사용하게 되겠죠
다시 한번 말하지만, 스위벨은 사용하는 찌의 찌톱만을 가라 앉힐 수 있는 무게여야 합니다.
이보다 무거운 스위벨을 쓴다면 원봉돌을 두개의 봉돌로 나눈 분할봉돌이 되고
이보다 가벼운 스위벨을 쓴다면 내려가는 입질이 잦아지거나 올라오는 완벽한 입질에서도 헛챔질이 많아집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떡밥낚시용 원줄로는 노지나 자연지라도 제 개인적인 소견으로는 득보다는 실이 더 많기 때문에 비추입니다.
떡밥낚시는 1대 또는 2대 정도의 낚시대로 자주 투척하여 집어군을 형성시킨 후 집어된 상태에서 낚시를 하게 되며
붕어의 회유로에 미끼를 투척해두고 기다리는 대물낚시와는 성격이 조금 다르다고 봅니다.
그러므로 민감한 입질에도 어신이 찌에 전달되어야 하는데 카본줄을 사용하게 되면 그 무게때문에 찌마춤이 어려워지고
어신이 찌에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노지나 자연지에서는 바람 대류 또는 카본줄의 무게때문에
찌를 앞쪽으로 당겨오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이런 이유때문에 저는 모노줄만을 사용합니다.
또한, 찌마춤을 할때 카본줄을 사용하면 모노줄을 사용할때보다 그 비중이 높아서 무거운 찌마춤을 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카본줄 보다 모노줄을 사용한다면 원봉돌보다 예민한 스위벨 채비의 장점을 좀더 효과적으로 볼수 있게 되고
모노줄을 써서 랜딩시 원줄이 터져나간다면 그건 본인이 급하게 힘자랑을 해서 터진것이지 줄이 약해서 터진것은 아닐듯 합니다
간혹 어쩔수 없이 원줄이 터져나가는 상황이 벌어진다 해도 찌맛 손맛은 본것이니 그것으로 만족해야 하겠죠
참고로 저는 모노 2호줄을 써도 85짜리 잉어를 랜딩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었습니다
노지 자연지라도 스위벨 채비에는 카본줄 보다도 모노줄이 더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레인님이 열거 했듯이 여러대 피고 큰놈 한놈만 노리는 낚시 아닌이상 카본줄은 적합하지않습니다.
스위벨은 잘못구사하면 참 지져분한 것이맞습니다.
저 또한 초창기 몇달간 별짓을 다 해보다가.. 포기했었고요..
그러다 이봉채비로 몇달.. 다시 스위벨로 돌아와 스위벨 채비를 제 것으로 만들었습니다.
따라하기 스위벨말고.. 진정 본인만의 스위벨채비를 가지고있다면 이봉에서 따라올수없는 득이 많습니다. ㅎㅎ
어떤 채비든 다 그렇겠지만요^^
1대는 붕어천적레인처럼 찌탑부력만큼 아랫봉돌을 맞추고요
1대는 걍 아래봉돌 2g 위봉돌 3.5g 로 하는대 큰차이 없습니다
단, 미약한 입질이나 동절기에는 차이가 있겠지요
적합한가여, 아니고
적합한가요 라고해야
옳은표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