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벨 채비에 모노 2.0 쓰다가 조금더 가는 원줄을 쓰고 싶어서 1.5호로 내리려고 카본 1.5로 바꿨습니다만
모노줄로 찌마춤 된 상태의 채비 그대로 달았더니 엉망이 되더군요
제 생각엔 굵기가 더 가늘어져서 대류와 유속에 의한 영향도 덜받을거 같았는데
의외로 모노줄보다 더 심하게 영향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1.5호 카본사를 다 제거하고 다시 모노 2.0으로 바꿨습니다.
찌마춤상태와 찌올림상태도 카본사보다 훨씬 정확하게 움직였습니다.
노지 위주의 출조가 대부분이라면 카본줄을 사용하세요~
본인도 모노 및 카본줄을 각각 오랜기간 사용해 봤지만 노지는 카본줄이 갑입니다~ㅎ
찌맞춤이 관건이고 스위벨의 카본줄 찌맞춤은 조금 무겁게 맞춰주는게 정석입니다~
2분할 이기 때문에 이론처럼 둔한 채비가 되지는 않으며 오히려 안정감을 유도합니다~
카본줄은 2~2.5호 정도를 권장하며 스위벨은 5~6호 정도면 됩니다~ㅎ
입질이 없어서 왜 그럴까 곰곰히 생각해보니 지난번에 갔던 해안가부근의 염도가 높은 물에서 쓰던 채비를 그대로 던진겁니다
다시 바늘을 제거하고 찌마춤을 확인해보니 무척 무거운 채비에 스위벨을 달아서 썼던겁니다.
해서 다시 찌마춤을 정확하게 하고 바늘을 달았더니 그제서야 찌가 올라오더군요
붕어가 입질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그게 찌로 표현이 되지 않고 있었던 겁니다.
저는 주로 노지만 다닙니다. 풀어놓은 고기들이 힘도 안쓰고 이리한번 저리한번 뒤집고 놔줄거지? 하면서 나오는것도 같고
강붕어의 힘을 한번이라도 느껴보신다면 아마도 양어장 고기들 잡고 싶은 마음 사라질겁니다
이런 이유로 저 역시 무료터 노지를 주로 다니는데
수로같은 경우는 유속도 있고 대류도 심해서 스위벨 채비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까지 생깁니다.
이럴때는 스위벨을 빼내고 원봉돌로 해결하지만 그외의 포인트에서는 스위벨 특유의
우아한 찌올림을 만끽할 수 있게 되죠
노지를 자주 다니신다니 비중이 높은 카본줄을 쓰는 것보다는 물 표면에 살짝 가라앉는 모노줄을
쓰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고 말씀드리고 싶구요
물론 사이트 마다 조사님들 마다 양어장은 모노줄, 노지는 카본줄을 쓰라고 하시는 분이 대부분입니다
그 이유는 제압시 원줄 보호차원에서 입니다. 하지만, 구지 굵은 줄을 써서 제압하고 랜딩하는 것은
나 자신의 실력을 너무 무시하는 것 일수도 있습니다
3.6대 이하는 카본 3호줄에 스위벨 채비쓰고 있습니다.
물론 모노줄이 좋겠지만, 노지라면 카본줄 써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양어장 붕어, 잉어와 노지 붕어 잉어 힘에서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맹탕이라도 모노줄 나가는 경우 종종 있습니다.
카본줄 2.5호 이상 사용시 스위벨 1g 사용하시고, 찌맞춤 조금 무겁게 하시면 대류와 2중입수 모두 해결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찌 올림도 좋다고 생각하는 1인입니다.
모노줄이건 카본줄이건 찌맞춤의 방식의 문제이지, 극복할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피곤한 낚시보다는 본인의 스타일에 맞는 채비가 좋겠죠.
준비태세님의 글에 공감이 갑니다..
어딘가 채비셋팅과 운용에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이제는 수많은 낚시인이 스위벨을 사용함에 따라 검증도 되었으리라 생각듭니다..
그리고 스위벨에 카본, 모노원줄의 선택 문제보다는 낚시터 환경부터 고려하고 원줄을 선택해야하지 않을까 생각듭니다..
예를들어 장애물도 많고, 유속도 있고, 부유물이나 바람의 영향도 받고 수심도 낮다면 모노줄이 적당하지 않을겁니다..
성제현대표는 스위벨 선택시 원줄종류에 따라 스위벨을 선택한다고 하더군요 하지만 저는 낚시터 환경을 보고 정합니다..
그래서 카본채비와 모노채비 둘을 가지고 다니면서 환경에 맞게 운영하니 편하더라구요 물론 대물 다대편성은 아닙니다..
저도 스위벨 접하면서 몇개월 동안은 시행착오를 격었지만 이제는 어느정도 경험이 있다보니 어렵지 않게 잘 운용하게 되더군요..
채비는 환경극복을 위한 도구이며, 원줄은 채비의 한 요소일 뿐입니다. 하나의 구성요소를 극복하지 못하고 좌우되는 채비라면 이렇게 보편화될리는 없겠죠. 장단점은 있으나 정답은 없습니다. 뚝심님 말씀처럼 포인트 여건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채비일뿐이며, 원리를 이해하고 있다면 그 운용에는 거침이 없을 것입니다.
유속과 바람, 대류, 부유물이 있는 곳이면 카본줄이 좋을 것이며, 안정된 수면과 맹탕, 침수수초 더미, 쌍포위주의 떡밥낚시에는 모노줄 만한게 없는거지요. 비중이 높은 카본줄의 특성과 찌맞춤의 원리를 이해하고 있다면 모노줄 사용시보다 무겁게 맞춰, 왜곡되는 찌맞춤을 보정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 2.5호 이상의 원줄을 사용하려면 굵기 대비 인장강도가 더 좋은 카본줄을 선택하게 되는 것이지요. 덜커덩의 손맛을 즐기는 분이라면 순간인장강도가 더 우수한 모노줄을 선택할 것이며, 매번 출조전 원줄체크가 성가신 분이라면 내구성이 좋은 카본줄을 선택하게 되는거지요... 그렇게 여러가지 이유로 카본줄과 모노줄을 선택하게 되고, 때론 쎄미플로팅을 선택하게 되는거지요..정답이 있는걸까요?
물론, 때론 잔꾀를 부려, 32칸 5호깍 부력에 2.5호 카본과 2호 모노의 찌맞춤 차이는 3목이다..라고 경험칙으로 현장찌맞춤을 생략하게 되는 나쁜 방향으로 굴러가기도 합니다만.. 그건 또 다른 얘기가 되겠습니다.
카본3호에 스위벨은 다소 안맞는 조합이라 생각 합니다.
스위벨 사용의 제일 목적이 예민함을 갖추려는 것인데
3호원줄은 좀 둔하지 않나 싶습니다.
스위벨 채비에 모노 2.0 쓰다가 조금더 가는 원줄을 쓰고 싶어서 1.5호로 내리려고 카본 1.5로 바꿨습니다만
모노줄로 찌마춤 된 상태의 채비 그대로 달았더니 엉망이 되더군요
제 생각엔 굵기가 더 가늘어져서 대류와 유속에 의한 영향도 덜받을거 같았는데
의외로 모노줄보다 더 심하게 영향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1.5호 카본사를 다 제거하고 다시 모노 2.0으로 바꿨습니다.
찌마춤상태와 찌올림상태도 카본사보다 훨씬 정확하게 움직였습니다.
가능하다면, 최소한의 굵기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거 같네요
카본3호 2.5호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본인도 모노 및 카본줄을 각각 오랜기간 사용해 봤지만 노지는 카본줄이 갑입니다~ㅎ
찌맞춤이 관건이고 스위벨의 카본줄 찌맞춤은 조금 무겁게 맞춰주는게 정석입니다~
2분할 이기 때문에 이론처럼 둔한 채비가 되지는 않으며 오히려 안정감을 유도합니다~
카본줄은 2~2.5호 정도를 권장하며 스위벨은 5~6호 정도면 됩니다~ㅎ
스위벨 5호 사용해서 약간 무겁게 맞추어 사용하는데
지장 없습니다.
논리적으로 보면 비중이 무거운 카본줄을 사용하기 위해 더 무거운 찌 맞춤을 한다면
원래 스위벨 채비의 목적에서 한참 벗어난 채비가 될 수 밖에 없고
당연히 찌 올림도 바닥낚시 특유의 느릿하고 유연한 찌 올림을 보기 어려울 텐데.....
처음 스위벨 채비로 전환하면서 카본 원줄 사용하여 무수히 헛챔질했고,
그 무수한 헛챔질과 총알 입질의 원인을 못찾아서 몇 달을 고민했고
결국 원줄 교체로 문제를 해결한 경험에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기필코 카본 원줄을 사용하셔서 정상적인 입질을 보고 싶으시다면
귀찮터라도 현장 찌맞춤이 필수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현장에서 카본 원줄까지 전부 달고 찌맞춤을 하셔야
헛챔질과 총알 입질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언젠가 그런 적이 있었어요
입질이 없어서 왜 그럴까 곰곰히 생각해보니 지난번에 갔던 해안가부근의 염도가 높은 물에서 쓰던 채비를 그대로 던진겁니다
다시 바늘을 제거하고 찌마춤을 확인해보니 무척 무거운 채비에 스위벨을 달아서 썼던겁니다.
해서 다시 찌마춤을 정확하게 하고 바늘을 달았더니 그제서야 찌가 올라오더군요
붕어가 입질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그게 찌로 표현이 되지 않고 있었던 겁니다.
저는 주로 노지만 다닙니다. 풀어놓은 고기들이 힘도 안쓰고 이리한번 저리한번 뒤집고 놔줄거지? 하면서 나오는것도 같고
강붕어의 힘을 한번이라도 느껴보신다면 아마도 양어장 고기들 잡고 싶은 마음 사라질겁니다
이런 이유로 저 역시 무료터 노지를 주로 다니는데
수로같은 경우는 유속도 있고 대류도 심해서 스위벨 채비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까지 생깁니다.
이럴때는 스위벨을 빼내고 원봉돌로 해결하지만 그외의 포인트에서는 스위벨 특유의
우아한 찌올림을 만끽할 수 있게 되죠
노지를 자주 다니신다니 비중이 높은 카본줄을 쓰는 것보다는 물 표면에 살짝 가라앉는 모노줄을
쓰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고 말씀드리고 싶구요
물론 사이트 마다 조사님들 마다 양어장은 모노줄, 노지는 카본줄을 쓰라고 하시는 분이 대부분입니다
그 이유는 제압시 원줄 보호차원에서 입니다. 하지만, 구지 굵은 줄을 써서 제압하고 랜딩하는 것은
나 자신의 실력을 너무 무시하는 것 일수도 있습니다
최소한의 굵기로 최대한의 대상어를 잡아보세요
나름대로의 성취감도 느껴질겁니다.
이론적인 부분에만 의거하지 마시고 뭐가 잘못됐는지 다시한번 생각하고 되짚어 보셔야 합니다~
조력이 많고 확실하게 이해한 듯 보여도 실제로 살펴보면 엉뚱하게 채비를 운용하는 반전이 있습니다~
남들은 아무런 문제없이 잘만 운용하는데 나는 왜 피곤하고 어려움을 겪을까?~~뭔가 잘못된 것 같지 않습니까?~ㅎ
좀 더 이해를 충족시키고 싶지만 글 적인 한계도있고 시간도 없어서 아쉬움을 뒤로하고 물러갑니다~ㅎ
물론 모노줄이 좋겠지만, 노지라면 카본줄 써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양어장 붕어, 잉어와 노지 붕어 잉어 힘에서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맹탕이라도 모노줄 나가는 경우 종종 있습니다.
카본줄 2.5호 이상 사용시 스위벨 1g 사용하시고, 찌맞춤 조금 무겁게 하시면 대류와 2중입수 모두 해결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찌 올림도 좋다고 생각하는 1인입니다.
모노줄이건 카본줄이건 찌맞춤의 방식의 문제이지, 극복할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피곤한 낚시보다는 본인의 스타일에 맞는 채비가 좋겠죠.
구지 이런 저런 생각을 하게 만드는 카본줄을 써야할 이유가 있을까요?
제 경우는 모노 2.0으로 75Cm 잉어까지 무난히 랜딩시키며
원줄이 약해서 문제가 되었던 적은 한번도 없었습니다.
챔질도 부드럽게 하고 억지로 랜딩시킬려고 하기보다는
손맛도 봐가면서 천천히 랜딩하는 것이
원래의 낚시의 목적중에 하나 아닌가요?
고기를 잡으려는 것이 목적이 아니고
잡는 과정을 즐기는 것이 목적 아니였던가요?
제 생각을 말씀드려 봅니다.
해서! 저는 최소한의 굵기로 최대한의 사이즈를 잡아내려고 합니다.
어딘가 채비셋팅과 운용에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이제는 수많은 낚시인이 스위벨을 사용함에 따라 검증도 되었으리라 생각듭니다..
그리고 스위벨에 카본, 모노원줄의 선택 문제보다는 낚시터 환경부터 고려하고 원줄을 선택해야하지 않을까 생각듭니다..
예를들어 장애물도 많고, 유속도 있고, 부유물이나 바람의 영향도 받고 수심도 낮다면 모노줄이 적당하지 않을겁니다..
성제현대표는 스위벨 선택시 원줄종류에 따라 스위벨을 선택한다고 하더군요 하지만 저는 낚시터 환경을 보고 정합니다..
그래서 카본채비와 모노채비 둘을 가지고 다니면서 환경에 맞게 운영하니 편하더라구요 물론 대물 다대편성은 아닙니다..
저도 스위벨 접하면서 몇개월 동안은 시행착오를 격었지만 이제는 어느정도 경험이 있다보니 어렵지 않게 잘 운용하게 되더군요..
유속과 바람, 대류, 부유물이 있는 곳이면 카본줄이 좋을 것이며, 안정된 수면과 맹탕, 침수수초 더미, 쌍포위주의 떡밥낚시에는 모노줄 만한게 없는거지요. 비중이 높은 카본줄의 특성과 찌맞춤의 원리를 이해하고 있다면 모노줄 사용시보다 무겁게 맞춰, 왜곡되는 찌맞춤을 보정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 2.5호 이상의 원줄을 사용하려면 굵기 대비 인장강도가 더 좋은 카본줄을 선택하게 되는 것이지요. 덜커덩의 손맛을 즐기는 분이라면 순간인장강도가 더 우수한 모노줄을 선택할 것이며, 매번 출조전 원줄체크가 성가신 분이라면 내구성이 좋은 카본줄을 선택하게 되는거지요... 그렇게 여러가지 이유로 카본줄과 모노줄을 선택하게 되고, 때론 쎄미플로팅을 선택하게 되는거지요..정답이 있는걸까요?
물론, 때론 잔꾀를 부려, 32칸 5호깍 부력에 2.5호 카본과 2호 모노의 찌맞춤 차이는 3목이다..라고 경험칙으로 현장찌맞춤을 생략하게 되는 나쁜 방향으로 굴러가기도 합니다만.. 그건 또 다른 얘기가 되겠습니다.
1.현장찌맞춤 필수!
2.원줄과 스위벨 호수의 벨런스!
3.예민한 하우스낚시나 딱지터,손맛터,저수온기를 제외하고는 굳이 1~2호 스위벨을 쓸필요는 없다!!
4.한대만 펼거 아니면 모노줄은 처다보지도 마라!!!
5.카본 2호줄은 스위벨 4호부터...
저는 이렇게 결론을 내렸습니다..그리고 님이물어보신 찌를눌러 방해가된다는건 모든 올림낚시의 영원한숙제입니다 ... 이상 허접한답변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