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스위벨 채비 포인트 투척시

안녕하십니까 추운데 월척 선후배들 건강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다름이아니라 제가 요즘 스위벨 채비로 모두 바꿔 내년 시즌에 도전하볼까 합니다. 근데 아무래도 스위벨 채비가 가벼운데 물속 채비 안착이 과연 잘될지 걱정입니다. 수초지대를 공약해야 되는지 아님 맹탕지역을 노려야 되는지 이도저도 아니면 포인트만 수초제거 깔끔히 해서 투척하여야 되는지 월 선후배닝들께선 어떻게 어려움을 극복하시는지 조언을 좀 구해봅니다. 감사합니다~^^

저같은경우 수초에 바싹붙이지 않고 근처쪽에 부치려고 노력합니다..
확실히 원봉돌보다는 수초대에 붙이거나 구멍에 넣기는 조금힘들지만 그냥 저냥 만족하며 사용중입니다...
예전에 옥내림도 해보고 원봉돌 이리저리 채비 해서 낚시해보았지만 결국엔 고기 있는곳에 먹기좋게 놓는것이 결론이더군요
자기 채비를 믿고 수초지대나 맹탕지 도전해봐야지요

안되면 되게하라 말이 있듯이요 원봉돌과 비슷합니다

단 삭은 수초가 있을시 찌탑이 나올때가 있고 물속에 들어 갈때도 있습니다

입질시에는 지장없으며 스트레스받지 마시고 푹 잠기지 않고 찌탑중앙 위로
나온다면 재 투척하여 중앙 밑으로만 나오게 합니다....
그낭 지금까지 해온대로 하시면 돼요
몇번 출조하시다보면 자동적으로 께우치게 됍니다
건강하시구요~~^^
수초 있는 곳은 원봉돌에 지맞춤을 무겁게 가라앉는 맞춤으로 던져넣는 것이 최상입니다. 잦은 재투척이 가능한 미끼 활용으로요. (새우, 옥수수, 지렁이 등).
수초지대? 맹탕지역?
많은 사람들은 수초를 끼고 하면 수초낚시, 수초없는 곳에 던지면 맹탕낚시라고 착각을 하는데요...
엄밀한 의미에서 수초낚시라고 말하려면 빽빽한 수초에 구멍을 뚫어 그 가운데 찌를 세우는 정도는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따라서 수초 옆에 찌를 세운 낚시를 가리켜 수초낚시라고 하기에는 곤란하지 않을까요?
개인적으로는 수초 옆 맹탕에다 찌를 세우는 것, 이것은 맹탕낚시나 매한가지라고 봅니다.
낚시란 자고로 수초 옆에다 찌를 세우는 것이 원칙이고, 이것을 가리켜 수초낚시라고 함은... 곤란하다고 봅니다.
제 소견으로 보기엔 그냥 맹탕낚시일 뿐입니다.

스위벨채비의 찌를 수초 옆에 세울 수도 있고, 그야말로 아예 수초 없는 곳에 세울 수도 있습니다.
찌를 세울 곳의 바닥을 수초제거기 등을 이용하여 바닦을 깨끗이 할 것이냐는
깨끗한 입질을 받을 의도 여하에 따라 꾼이 선택할 문제로 보입니다.
즉 깨끗한 입질을 위한 바닥손질, 이 문제는 채비의 문제가 아니라 꾼의 의욕에 관한 문제입니다.
수초지역이라도 자연구멍이 있으면 최고구요.
없으면 인위적으로 말들어야죠.물론 바닥은 깨끗해야합니다.
낚싯대 보유칸수가 넉넉하시면 자연구멍에 넣기 편합니다.
장대의 경우 수초구멍은 포기하시고, 수초주변으로 널으놓고 하시는게 스트레스 덜받습니다.
확률적으로는 수초지역이 유리하겠지요 스위벨채비 바닦이 지저분해도 사용하는데는 지장이 없던데요 붕어만 있으면 찌는 올려줍니다
저도 스위벨 채비를 쓰는데요...
저도 그것이 궁금해서....군계일학에 소품을 사러 갔다가
마침 성제현씨를 만나서 같은 질문을 해봤습니다.
수초가 많은 지역에서 스위벨 채비가 바닥에 안착이 잘 되겠느냐고....
원봉돌과 스위벨이 단차가 20센치쯤 있어서...

수초가 많아서 스위벨이 안착이 안될 상황이라면
원봉돌 하나만 쓴다하여도 마찬가지라고 하시더군요.
오히려 채비 안착이 더 안정적이라고...
곰곰 생각해보니 그 말씀이 일리가 있었습니다.

자기 채비에 대한 믿음과 자신이 중요한 것 같아요.
그러고 나서 충주댐 물 차오를 때 수초구멍 사이로 스위벨 채비를 던져 넣었는데
봉돌 하나 쓰는거나 스위벨이나 큰 차이를 느끼지 못했습니다.
맹탕이라고 해도 물속에 수초가 잇으면 수초지역이라고 사료됩니다 ^^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