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스위벨vs 방랑자채비

방랑자채비 겨우하는 초보조삽니다 스위벨강의(군계일학)보고 따라할하구 구매했는데요 둘이 비슷한거 같아서... 카본줄3호쓰는게 두채비 호환가능할거 같기두 합니다 빨리 날풀려서 실전하구퍼용^^경험하신 고수님들의 고견부탁드립니다~~ 동출하시는 분이 갑자기 베스터에 feel받으셔서 저두 연구중입니다 옥내림보단 쉽게 구사할수있을거 같아서요^^ 두채비간의 이물감차이가 가장 궁금합니다 사각지대란 단어가 낚시에서 생소하긴 하지만 공감가구 여러가지 배울 기회가 있어서 참 좋았습니다 예전같으면 스승님과 1대1만가능헀는데^^ 요즈음 월척에서 열공중입니다 --;

저도 별짓 다해봤습니다....정도는 없는게 정석이군요...ㅎㅎㅎ ...얼마전 이곳에 올내채비라는 것을 만드셔서 무료분양 해주셨던 만월조인님의 채비가 있는데 이 겨울 양어장 노지에서 나름 깔끔한 입질 받았습니다...지식에 보면 사용기도 어느분이 올리셨더군요...채비엉김이 적어 좋았습니다
양어장에서 두가지 모두 사용해봤습니다.
민감도는 거의 비슷한거 같은데,,,
개인적 느낌으로 방랑자채비의 윗바늘(좁쌀 안물린 쪽)이 내림 형태로
찌 선택에 따라 스위벨보다 더 민감한 것같습니다.
그리고 방랑자채비가 바닥이 감탕 같은 양어장에서
윗바늘을 살짝 띄우는 경우 조과가 스위벨보다 좋았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빨리는 입질에 챔질 타이밍을 잘 못잡아서 스위벨채비를
더 선호하여 사용합니다.
헌호님 말씀처럼 방랑자는 바닥상황이 감탕인 곳에서 윗바늘 이용해서 미끼가 잠기는걸 방지하고 입질을 쉽게 받아내는게 목적이고
스위벨은 봉돌 분할로 이물감을 줄이려는게 목적입니다.
이물감은 스위벨 + 다분할이 더 유리할 것 같네요.
그리고 카본줄 3호면 수심 깊은곳에서는 줄무게가 찌맞춤에 미치는 영향도 상당합니다.
떡붕어 예민한 곳에서는 모노줄이랑 찌올림 차이가 제법 납니다.
스위벨채비과 방랑자채비의 기본개념은 같습니다. 다만, 다른점은 스위벨채비는 바늘교체가 시시때때로 상황에 맞게

바늘을 교체할수 있다는 점에서 편리하고요. 방랑자채비는 윗바늘과(가지바늘개념) 아랫바늘로 바닥지형이 지저분한 곳에서는

위바늘의 빠는입질을 기대할수 있고, 깨끗한 곳에서는 좁쌀봉돌에 안착되어있는 바늘을 붕어가 잡수고 찌오름을 연출하는걸

기대하는겁니다. 허나 활성도에따라 윗바늘에서도 찌가르즘을 볼때도 있습니다.

스위벨도 방랑자채비처럼 할수 있습니다. 본봉돌에 덧바늘하나 달아주면 둘다 똑같습니다. 목줄은 합사가 아닌 모노사나 카본사가

스위벨목줄을 감아서 채비가 엉키는 현상을 줄여줄수 있습니다. 상황에맞게 목줄교체나 바늘교체가 유리한쪽은 아무래두 스위벨채비가

훨씬 편할겁니다. 방랑자채비는 일체형으로 약간의 단차만 조절할수있지, 바늘교체나 목줄교환할때 방랑자 채비를 전체적으로

교환해야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좁쌀이 바뀌면 찌맞춤도 바뀌겠죠...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