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스위벨채비 좋은 해결책이 아니다

스위벨 채비를 많이 써보는데요 헛챔질이 많아 좋은방식이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좁쌀방식의 시작은 완봉돌로 좋은 찌올림이 되지않는데서 시작되었다고 나름 생각하는데요 만약에 완봉돌에 찌올림이 좋다면 누가 불안한 분할방식을 쓰겠습니까 떡밥연구에 도움을 얻어 완봉돌로 좋은 찌올림을 보고 있습니다 우리선조들 방식이 좋은 것이여

그럼 결국 채비가 아니라 떡밥이 문제였다는 얘기신데......

저는 스위벨 채비, 사슬 채비 등등 분할 채비 잘 쓰고 있읍니다.

특정 채비가 좋지 않다라는 식보다

연구하신 떡밥을 공유하시는게 월님들의 호응을 얻을겁니다.
낚시기술은 점점 진화하고 있지요 옛기술이 않좋다는건 아니지만
헛챔질은 풍덩체비의 입질이 반마디라면 스위벨 또는 옥내림은 세마디 정도의 입질형태로 나타나므로 그이상의 찌의 움직임일때
또는 제2의 찌 동작이 나올때 챔질을 해야겠지요
스위벨 채비에서 헛챔질이 많다라는것은 칵돌이님께서 분할채비에 대해 정확한 이해가 없으시거나 아니면 윗분 말씀처럼 챔질 타이밍을 못잡으시는 거라 생각됩니다..
분할 채비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막연히 분할이니까 예민해서 많이 올려주겠지라는 생각만을 가지시고 원봉돌처럼 찌가 다올라온다음 챔질을 하시는데 활성도가 좋거나 토종탕에서는 거의 후킹이 되지만 기후나 주위 환경에 의해 활성도가 떨어진 날이거나 베스터에서처럼 붕어들이 예민하게 반응 할때는 얘기가 달라집니다. 또한 원봉돌보다 관성이 크게 작용해 붕어가 이물감을 느끼고 뱉은 다음에도 찌맞춤에 따라 많게는 두세마디 까지도 더 상승을 하게 됩니다.. 밤낚시 상황이라면 물표면의 케미 불빛 반사에 의해 훨씬 큰폭의 찌올림이 있겠죠.. 찌는 다올라왔는데 헛챔질이 난다 라는 말씀들을 이런 상황에서 많이들 말씀을 하시는데요..
주위에도 보면 같은 채비인데도 누구는 잘걸어 내고 누구는 계속 헛챔질을 하곤 합니다... 그것은 분명 채비의 대한 이해도와 낚시장소에 따른 그날 붕어들의 입질 패턴을 읽어내는 기술의 차이일 것입니다.. 스위벨 뿐만이 아니라 모든 채비에 해당될수 있는것이겠죠..
막연히 이래서 이채비는 안좋다라는것보다 나는 이런데 다른 분들은 어떠신지? 왜 헛챔질이 나는것인지? 내가 쓰고 있는 채비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 쪽으로 접근하시는게 보다 나은 입질을 보는 방법일 것입니다..
요즘 대세가 스위벨(좁쌀)채비인데요,
스위벨채비의 가장큰단점은 작은봉돌의 불안정적인 안착에 원인이 있습니다.
봉돌이 닻처럼 안정적으로 안착이 되어있어야하는데 작은봉돌로인하여 쉽게 균형이깨져 작은 입질에도 찌가 상승하여
헛챔질의 가장큰원인이 됩니다.
특히 요즘같은 고수온기에는 유독 많이발생합니다.
요즘같은 시기에는 원봉돌채비가 더좋을수 있습니다.
스위벨채비는 한정적으로 활성도가 않좋은시기에 사용하면 효과를 볼수있다 생각합니다.
모든채비가 만능은될수없음으로 장단점을 잘파악하여 시기나 장소에밎는 적절한 채비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좋을것같습니다.
테클은 아니고요.....
스위벨이 불안정적인 안착이라고 하시는데 스위벨은 바닥 상황을 정확히 찌에 표현을 해주어
오히려 무거운 봉돌로 눌르는 것 보다 정확한 바닥 안착을 할 수 있어 더 유리합니다.
정확한 바닥 안착은 붕어의 입질 표현에도 상당히 좋은 조과로 이어집니다.
어떠한 채비 이던지 그 채비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믿음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__^
요즘같은 배수기에는 스위벨채비가 좋지요... ^^
저도 입질이 약할때는 스위벨 채비합니다
음~~쌍포로 피시고 하나는 원봉돌 하나는 스위벨채비 해보세요
몇번이고 해보시고 결론 내리시길^^
헛챔질 나오는 경우는 거의 가볍게 맞추신거 같습니다
쇠링 추가하셔서 사용해보세요^^
스위벨 채비에 맞는 챔질 타이밍을 잡아내는것도 기술이 아닐런지요?
물론 매일매일 달라지지만 그걸 적응하는일은 비단 스위벨 채비에서만의 일은 아닐듯 싶습니다.
좋다 안좋다는 그채비를 그만큼 활용하지 못한다는것이고요. 모든체비가 그렇듯 체비를 운용하는 능력에 따라 달라지는것입니다. 헛쳄질도 그중하나고요 상황에따라 쇠링을 가감해서 운용해야만 그때그때 상황에 맞는것입니다.
전통 바닥채비에 비해 스위벨채비는 상당히 찌올림이 예민해서 가을부터 초여름...물이 흐르지 않는 곳에서는 매우 효과적인 채비라 생각합니다. 다만 요즘처럼 배수기철에는 어쩔수 없이 물이 흐르게되고 또한 낮과밤의 온도차에 의해 대류가 생길때는 애를 먹지만 저의 경우엔 이럴때는 스위벨 봉돌위에다 편납을 달아주어 조금 묵직하게 채비하면 찌도 안정되고 역시나 찌올림도 좋더군요...
암튼 효과적이고 만족스러운 채비라는 생각입니다.
스위벨 채비 잘 사용하면 좋은데 넘 번잡해서 본봉돌로 다시 복귀했습니다..
스위벨채비가 만능채비는 아니다
그렇지만 요사이처럼 토종붕어가 아닌 중국붕어,일본붕어(떡)의 낚시에서는
확실히 진일보한 채비임에는 틀림이 없다
결론1: 어떤채비던지 개발자의 의도(발명)되로 사용하여야지만 그채비를 십분 발휘할 수가 있다.
토종붕어낚시에서는 초봄이나 예민한 겨울낚시,양어장,손맛터,관리형등에서는 효과를 발휘한다고 보지만
기온이 17도 이상인 일반 노지에서는 원봉돌의 깨끗한 찌놀음이 그리워져 다시금 예전의 원봉돌채비로 귀환하고 있는
조사님들이 많이 늘고 있는 현실이다.
결론2: 나만의 채비로 운영하시기를 바랍니다~~~
근데 정작중요한건 그곳에 고기가 있냐 없냐 문제가 더욱 큽니다.
입질이 많을때는 어떤채비가 좋다 말다 우월을 가릴수잇지만 적은개체수나 빈번한입질을 받는 경우는 좀틀리다고 봅니다.
그빈번하게 오는입질때문에 예민한채비가 유리하다는건 아니라고 봅니다. 어떠한채비라도 깔끔한 안착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길가다 동전을 주어도 줍기쉬운곳이나 흘린돈이 확띠는 곳에 흘린돈이 줏어가도 빨리줏어 가듯이 시궁창에 빠진돈이 큰돈이라한들 사람처럼 생각할수없는 붕어가 가보치를 판단하여 헤짚고 가져가질 않는다는게 저의 짧은 생각입니다.
먹느냐 마느냐 하는 붕어 관심에 다가가야 어떤채비든 좋다 말다 하는게 성립하는거 같습니다.
스위벨(분할)채비의 장점은 바닥상황을 나름 잘 읽을수 있는데 있죠.....
바닥에 아무 이물질 없이 스위벨(분할)채비가 안착이 되었다면 기존 봉돌채비보다 찌올림이 좀더 좋을 수 있습니다.
정석은 아니지만 상황에 맞게 채비를 운용하는것 역시 낚시인들의 몫이 아닐까 싶네요^^
직업에 귀천이 없듯이...채비에도 좋고 나쁨이 없다고 봅니다...어떤 직업을 가지고 돈을 버느냐와 어떤 채비로 붕어를 잡느냐...결국 만족 하느냐 못하느냐 겠죠 ㅎㅎ 님의 높은 연구 결과에는 박수를 보내 드리지만 낚시의 진정한 의미를 찾지 못하신 것에는 아쉬움을 전달 합니다. 항상 연구하며 정진해 나가시는 낚시전문가가 되시길 바랍니다. ^^
전 스위벨 채비 이해하는데 1년 정도 걸린것 같습니다.
중간에,,,내가 귀찮게 왜 이걸 하나,,,포기하고 싶은 마음이 중간 10번 정도는,,,,
잔챙이와 큰놈 찌놀음으로 어느정도 구별이 가능해질때 쯤, 확신이 들었습니다. 그게 1년 걸렸습니다.
양어장에서 스위벨까지 띄어 바늘만 닿게해서 다른분들 전체 몰황일때 대박친 경우도 있었지만,
(바늘만 닿게 한다고 항상 잘 나오는것도 아닌,,,그날만 잘나온,,,)
지금은 노지를 주로 다니기도 하지만, 스위벨을 가급적 닿게 합니다.
조과는 떨어질지 모르지만, 예신 보는데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이번 봄에는 생각대로 고기가 나오다보니,,,, 흥미가 반감되네요. 봄이라 큰놈을 잡아야 한다는,,너무 잡는낚시에 열중했나 봅니다.
요즘 밤에 혼자 하다보면 수초속으로 큰놈이 들어오는게 보입니다. 갈대가 귀신 들어오는것처럼 조용히 부스스,,,
이젠 수초구멍에 외봉돌로 뽕치기가 하고 싶어지네요. 낚시가면 요즘,,,수초구멍만 보입니다.
좀더 노력해보시고 결정해보셔도 늦지않을꺼같은대염~_~;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