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봉돌과 스위벨 사이의 중간목줄에 대한 질문입니다.
상황에 따라 중간목줄의 길이를 조절해 주어야 하는데
매번 교체하는 것이 불편하여
본봉돌을 유동으로 사용해 볼까 합니다.
이경우 본봉돌과 스위벨 사이의 중간목줄을 별도로 달지 않고 원줄과 스위벨이 바로 연결되는데
이부분에서 의문점이 생깁니다.
중간목줄을 부드러운 합사를 사용해야지만 붕어의 입질이 바로 전달된다는 글을 본 적이 있습니다.
만일 중간목줄이 카본사나 나일론(모노사)일 경우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입질전달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는 내용이더군요.
실제 군계일학 동영상을 보아도
당줄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보니 신뢰감이 가는 이론인 듯 합니다.
---------------------
왜곡현상이 무시해도 좋을 정도인지
아니면 반드시 합사를 사용해야 하는지 궁금하구요,
중간목줄을 편하게 조정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스위벨채비 중간목줄 질문입니다.
-
- Hit : 5714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7
실제 그렇게 사용해본적이 있는데 입질이 형태가 이상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그래서 자신도 없고해서 그냥 하라는대로 합니다.
보트낚시하는 박현철님이 사용하는 해결사채비같은데여
본봉돌을 유동으로하고 예민한채비로가면 15-30cm간격을 두면되고요
일반적인 낚시를 하실때는 본봉돌과 스위벨을 붙여서 사용하면 된다고하네요..
네이버에 해결사채비 치시면 잘나와있습니다....^^
중간목줄이 모노나 나일론 줄을 사용한다고 입질표현이 달라지진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단지, 합사줄 보단 채비 만들기가 살짝 번거로와 질 뿐이죠.
아...중간 목줄로 사용중인 물론 카본이나 모노줄이 엉켜 꽈배기 처럼 꼬여 있거나, 직각으로 눌려 펴지지 않는 상태라면 말이 달라집니다.
현장에서 중간 목줄이 일자로 펴져 있는 상태로 사용 중이라면,
오히려 합사보단 휘어짐에 대한 저항이 있는 줄이라 잘못된 분할 비율등으로 인한 오류를 미세하게나마 상쇠시켜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는 원줄 끝에 핀도래를 두고, 봉돌은 고리봉돌을 사용하며...
원봉돌 바늘채비와 좁쌀봉돌 바늘채비 2가지를 찌통에 준비해서 가지고 다닐 마음은 항상 하고 다니나, 귀차니즘으로 항상 채비를 대충하고 다닙니다.
너무 복잡한 채비는 오히려 준비물도 많이 들어가고 그만큼 오류도 많이 생긴다는 경험상...
중간목줄이 휘지않게 분할맞춤하시거나 스위벨을 무겁게 쓰면 중간목줄이 휘지 않습니다.
중간줄은 카본이나 나이론줄 처럼 어느정도 직진성이 있고 가늘수록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