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조 찌맞춤이 현장에서 다시 던지면 약간 무겁게 작용합니다.
이유는 수온과 수압 탁도 등과 줄의 눌림으로 인하여 대부분 야간 무겁습니다.
현장에서 약간만 감해 주시면 완성되오니 뙤약볕의 현장에서 처음부터 맞추는 것보다
미리 수조 찌맞춤 후 현장에서는 조금 감하는 방식이 좋을 듯 합니다
방법은 수조 찌맞춤시에 오링 대자2개를 스냅핀에 끼운상태로 맞추고
현장에서는 오링한개,또는 두개 감하거나,또는 대자를 중자로 바꾸는 방법을 쓰면
현장에서 니퍼질을 하는 미련함은 없을 듯 합니다^^*
수조에서 스위벨달고 바늘만빼고 32대까지 캐미반 나오게 하고 32대이상은 캐미가 보이기만 합니다
바늘달고 실전낙시에서 찌한매디만 내놓고 하면 바닥에스위벨이 닫아서 중후한 찌올림 보거든요
캐미끝에서 한매디 사이가 나올시 그냥 합니다
수조 찌맞춤이 가볍게 나타납니다
현장에 가서 해보면 조금더 무겁읍니다
탁도 원줄에 무게가(호수클수록)더무겁게 들어갑니다
수조에서 약간 가볍게 맞출때 오링같은것을 걸고 하고 현장가서 빼세요
이보다 더가볍게 하시려면 캐미꽃이끝까지 나오게 하세요
그리고 찌2매디 이상 내놓고 해야 됩니다
스위벨채비의 찌맞춤은 바늘을 달고 맞추는 방식이 아닙니다.
바늘은 무게에 작용이 되지않는 스위벨의 바닥안착을 주안점으로 두고 설명이 됩니다.
그래서 성재현사장의 스위벨 찌맞춤법은 바늘은 어느 바늘이나 개이치 않는 것입니다.
모든채비를 장착하고 (바늘만 빼고) 대의 길이에 따른 지맞춤을 전부 끝낸 후에
케미꼿이밑 한마디,또는 한마디반,또는두마디로 맞추어놓고 최종바늘을 달고 미끼를 끼우고
낚시를 하게 되는 방식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일학레져 홈피 방문 후에 스위베채비의 찌맞춤법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이유는 수온과 수압 탁도 등과 줄의 눌림으로 인하여 대부분 야간 무겁습니다.
현장에서 약간만 감해 주시면 완성되오니 뙤약볕의 현장에서 처음부터 맞추는 것보다
미리 수조 찌맞춤 후 현장에서는 조금 감하는 방식이 좋을 듯 합니다
방법은 수조 찌맞춤시에 오링 대자2개를 스냅핀에 끼운상태로 맞추고
현장에서는 오링한개,또는 두개 감하거나,또는 대자를 중자로 바꾸는 방법을 쓰면
현장에서 니퍼질을 하는 미련함은 없을 듯 합니다^^*
수조찌 맞춤을 맹신은 하지 마시고, 보조 역할로만 하시고,,,
위에서 말씀하신,
현장 찌 맞춤을 하시기 바랍니다.(조과 차이도 큽니다)
바늘달고 실전낙시에서 찌한매디만 내놓고 하면 바닥에스위벨이 닫아서 중후한 찌올림 보거든요
캐미끝에서 한매디 사이가 나올시 그냥 합니다
수조 찌맞춤이 가볍게 나타납니다
현장에 가서 해보면 조금더 무겁읍니다
탁도 원줄에 무게가(호수클수록)더무겁게 들어갑니다
수조에서 약간 가볍게 맞출때 오링같은것을 걸고 하고 현장가서 빼세요
이보다 더가볍게 하시려면 캐미꽃이끝까지 나오게 하세요
그리고 찌2매디 이상 내놓고 해야 됩니다
현장찌맞춤과 비슷하게 나오는것 같습니다..( 개인견해임을 밝힘)
저또한 그렇게 사용하는데 지장은 엄네요.
현장에서는 무조건 캐미노출로 찌맞춤하고있네요.
바늘달구요^^
바늘은 무게에 작용이 되지않는 스위벨의 바닥안착을 주안점으로 두고 설명이 됩니다.
그래서 성재현사장의 스위벨 찌맞춤법은 바늘은 어느 바늘이나 개이치 않는 것입니다.
모든채비를 장착하고 (바늘만 빼고) 대의 길이에 따른 지맞춤을 전부 끝낸 후에
케미꼿이밑 한마디,또는 한마디반,또는두마디로 맞추어놓고 최종바늘을 달고 미끼를 끼우고
낚시를 하게 되는 방식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일학레져 홈피 방문 후에 스위베채비의 찌맞춤법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찌+찌고무+스냅도래+찌고무+본봉돌+찌고무+스위벨로
줄은 연결하지말고 스냅도래에 오링 중자나 대자 2개를 끼워놓고
본봉돌을 깍아 맞추고
현장에서는 대자를중자로 또는 오링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맞추면
찌맞춤이 엄청 쉬워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