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스위벨채비 현장찌맞춤 출조때마다 다시 해야하나요?

원줄 카본 2.5호 정도에 노지 낚시만 하는데요...스위벨 5호쓰구요 스위벨채비는 무바늘찌맞춤으로 알고 있는데요 찌맞춤을 장소를 옮기면 항상 다시 하라고 배운거 같은데요 그럼 찌맞춤 할때마다 바늘 제거하고 찌맞춤하고 바늘 다시 달고 해야하나요? 바늘 달았다 뗏다 귀찮아서 그냥 달고 하면 않되겠죠? 아직 배우는단계이다보니 배울수록 낚시가 어려워지는거 같습니다^^;; 추운날씨 항상 안출하세요~

바늘제거 하시고 다시 맞추시는게 좋습니다
조금 귀찬더라도 버릇처럼 그리 하시는게 좋습니다^^
그때 그때 귀찬아도 하는게 좋아요 전 전부 무시하고 바늘 빼고 케미 수면 일치로 하기 때문에 일정한 수심은 그냥하구요 3~4m나올때만 다시 체크 합니다 어차피 대류현상 있으면 풍덩도 앞으로 밀려옵니다 ^^
각 지역,저수지마다 물성이 다르다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래서 장소가 바뀔때마다
당연히 체크를해야 하는걸로...
안하면 꽝!..이 기둘리고 있을수도 있다 라고 말씸드리고 싶습니다.
관리터나 동절기 하우스낚시의 경우 낚시터에 따라 또한 그날 그날에 따라서도 찌맞춤을 확인 합니다.
하지만 노지낚시라면 굳이 한번한 찌맞춤을 저수지에 따라서 다시 할 필요가 없다고 보는 일인입니다...ㅋ
그것보다는 스위벨채비란 좀 더 예민한 입질을 받아내기 위해서 사용하는 채비인데 원줄을 카본 2.5호 사용하신다면
아무리 노지라도 스위벨채비의 의미가 없어집니다...
수초밭이 아니라면 모노 2호면 충분합니다...
댓금감사합니다 바늘 달았다 뗏다 하기 싫어 꾀를 쓰게 되네요 ㅠㅠ;
원줄이 카본 2.5이상되면 스위벨채비의 의미가 없어진다구요?
정말 미세하게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말씀드린다면
개인적으로 모노줄 사용이시라면 굳이 다시하실 필요까진 없어보입니다 (비슷한 수심일시)
하지만 카본줄이라면 줄 무게때문에 약간은 영향이 있지 않겠나 싶구요
일반적인 수심(1.5~2m 정도?)에서 약간 가볍게(반목정도) 마춰 놓으신다면 전천후로 사용해도 무방하지 싶습니다
수심 깊은곳으로 가서 하게되면 자연스럽게 거의 딸깍 마춤정도로 무거워지게 되기때문에 굳이 다시 하지않아도 되지 싶습니다

추가로 스위벨 채비에 카본줄이 별 의미없다는 댓글이 있어서 개인적인 의견 적어본다면,
스위벨이라는 방식에서만 본다면 어떤줄이던 민감하게 되는건 맞다 보입니다
하지만 스위벨이라는게 찌맞춤이야 딸깍이건 수평이건 반목이건간에 대부분 한두목 내놓고 낚시를 하라고 하지요..(스위벨의 확실한 안착을 위해서..)
카본줄을 사용시에 이 한두목 내놓고 하는부분이 1~2분사이 가라앉게 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왜냐하면 초릿대와 찌사이에 위치하는 원줄의 무게가 작용하게 되어서 생기는 현상이구요(수심이 낮을수록 그 사이의 원줄의 길이가 길어짐으로 더 빨리 가라앉는 현상을 목격하실겁니다 ㅎ)
쉽게말해 모노줄은 거의 수면에 떠있거나 찌고무의 위치보단 대부분 위쪽에 떠다니게 되지만
카본줄은 찌고무의 위치보다 원줄이 더 가라앉게 되면서 찌가 무게를 추가로 받으며 덩달아 약간의 내려감이 발생하게 되는거지요
이부분을 감안하고 찌탑의 위치를 체크하신다면 카본줄이건 모노줄이건 스위벨의 장점을 살리는건 같다고 보여집니다
ㅎㅎ 알렌님 말씀 천당 지당한 말씀 입니다 ^^
저두 카본 3호에 스위벨 1호 봉돌 5~7정도 사용 합니다
알렌님 말씀처럼 한목 올려놓고 하면 다시 내려않는 것을 몇번 경험 햇습니다
찌맞춤 번거롭게 저수지마다 할필요성은 별루 없다고 생각한 인입니다
무 귀찮게 갈때마다 찌맞춤을 ㅜ.ㅜ 전 한번 찌맞추음 영원한 찌맞춤 입니다 ^^
물고 올린놈은 올리고 찍하니 끌구가는놈은 찍 하니 갑니다 ^^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