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벨이 안정적으로 안착? 하라고 1목 내놓으라고 하는데요..
저도 찌맞춤후에 한목내놓고 바늘 달고 낚시 합니다.
근데 바닥이 평평한곳이 아닌 경사진곳은
떡밥 달면 그 무게로 인해 찌가 쭉 가라앉아 버려서
추가로 찌를 더 올리는 편인데요..
대신 떡밥 떨어지면 찌가 그만큼 쭈욱 올라오고요..
찌 1목 내놓고 떡밥달고 던져도 떡밥무게떄문에 가라앉는거 최소화시킬수있는 방법 없을까요??
가끔씩 떡밥 떨어져서 찌올라오는걸 입질로 착각해서 ....
그렇다고 찌를 안올려놓으면 찌 케미도 물속으로 가라앉은상태이니 ...
스위벨채비로 낚시할때 찌 1목을 내놓고 하라고 하던데요..
-
- Hit : 5604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9
분추도 안착이 우선이고 올림시...대충보니..떡밥이신데 옥내림도 아니고...무거워도 올립니다...조과에 영향이 있을수도 있겠습니다
대류가 밤뿐만 아니라 낮에도 일어납니다..목표지에서 목표지 이탈이 일어나는걸 보셨을텐데 ..많은 생각을하게하는 채비네요....^^
분할 구리추 무게 1g정도는 써야
안정적인 채비구사를 할 수 있을것 같더군요
분할추 무게가 0.5g이하이시면 좀 더 무게를 늘려보심이
분할추는 항상 바닥에 닿아있어야 정상인 메가니즘인데
미끼상태에 따라세 찌가 오르락내릭락 한다는것은 분할추가 바닥에서 떠있을 확률이 높아보이네요
1. 착지오차
착지 오차는 찌의 입수 속도가 빠를 경우 미끼가 먼저 착지하면서 찌와 추가 수직의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약간 사선이 된 상태
즉 떡밥이 너무 크게 달았을때 나타나는 현상
조치
1.스위벨 채비 일때는 스위벨과 본봉돌 거리의 2배 정도 대를 몸쪽으로 일정하게 당겼다가 안착이 되기전과 후에 대를 밀어 준다.
2. 떡밥의 크기를 작게 해준다.
3. 목줄 길이를 현재의 길이보다 2배 가량 더 길게 사용한다.
2. 찌맞춤이 가벼운 경우
찌맞춤이 너무 가볍다 보니 스위벨이 안착이 안되고 바늘만 바닦에 닿은상태로 발생할 수있는 현상,
즉 마이너스 맞춤이 된 상태이거나 너무 가벼워서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다시 찌맞춤을 한다.
조치 수심이 깊을수록 찌를 무겁게 맞춘다.
3. 대류현상
물의 대류현상으로 인해 찌가 올라오거나 내려가는 현상이 발생하면
조치
스위벨 채비이면 본봉돌을 밑으로 가게 뒤집어 사용하거나 조금 더 무겁게 맞춤을 해야한다.
위의 현상 일때에는 저는 이렇게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셧나 모르겠습니다.
어느정도 경사가 있더라 하더라도 떡밥에 스위벨이 밀리는 경우는 드물다고 생각 됩니다.
또한 떡밥이 떨어지면 스위벨이 움직이는 것 또한 마찮가지고요]
원봉돌 5g 정도면 1g 정도의 스위벨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채비가 가볍고 카본원줄 사용시 줄 무게로 인해 찌가 내려앉았다가 올라오는 현상이 발생되기도 합니다.
평지에서도 오차는 발생합니다.
분할채비에서는 좀 줄일 수도 있겠지만 떡밥 이탈시 찌 오름은 분할 채비가 더 클 수 있지요
원봉돌채비 찌 맞춤 잘 되어 있는 경우도 경사지는 물론 평지에서도 착지오차로 인한 찌오름 발생하지요
찌부력, 수심 맞추고 포인트에 던져서 안착 후 낚시대를 앞으로 계속 밀어주면
찌가 스르르 올라오다 멈추는 지점 만큼의 착지오차가 있는거죠!
떡밥 크게 달수록 그 오차는 더 커지구요
위 방법으로 오차 측정하고 미끼 달고 투척 후 안착까지
낚시대를 본인쪽으로 당겨놓고 안착후에 정위치로 밀어 주면 오차 줄일 수 있고요
떡밥은 찰지게 개서 크기는 작게 달으면 오차 줄이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더운날 안출하세요
찌 맛 만을 위한 낚시가 아니라면 말이지요.
(본봉돌 무게를그만큼 줄이시고)
스위벨이 너무 가벼우면 바늘목줄의 직진성으로인해
본의아닌 슬로프가 생기기도 합니다.
그리고 떡밥무게로인한 사선입수로인해
스위벨은 떠있고 떡밥만 닿아있다가
떡밥이 풀어지면 스위벨이 찌쪽으로 다가오면서 안착하기때문에
바늘목줄 길이에 따라 한두목정도는 찌가 올라올수가 있겠네요
본봉돌로 눌러줄수도 있습니다만
그러면 떡밥이 풀어지면서 찌가 올라오지 않을뿐더러
붕어가 바늘먹고 올라와도 기둥목줄만 휘고
찌올림을 보시려면 붕어가 본봉돌까지 들어줘야하는
젠장할 경우가 발생합니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