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전통바닥낚시채비로 낚시하다 스위벨채비로 전환했습니다.
손맛터(잡어탕)에서 낚시를 했는데요.
찌를 올리진 못하고 빠는입질이 나와 답답한 마음에 글 올립니다ㅠㅠ
두가지 질문을 정리해서 올립니다.
채비는
낚시대:2.1칸,2.9칸
찌:군계일학 물방개
원줄:모노1.2호
목줄:당줄2호
스위벨:2호
바늘:5호
목줄길이:윗목줄 30cm,바늘목줄 5cm
먹이:떡밥 2~3종류 섞어사용(글루텐은 조황이 별로라 사용않함)
그외 핀도래 소자,쇠링 중자2개,편납홀더사용
찌맞춤은 캐미전부노출 했구요.
1.빠는입질
-위 채비로 낚시하니 반목에서 1목정도 빠는입질이 나오구요.찌맞춤후 낚시할때 1목반~2목정도 내놓고 했는데요.
살짝살짝 빠는입질이 나오거나 던진후 캐미만 노출되게 내려가서 그상태에서 한참동안 있다 원상태로 돌아오는 형태입니다.
2.찌맞춤순서
-기존에 제가 하던 찌맞춤은 찌를 봉돌위까지 내린후 낚시지점에 던져 찌맞춤(캐미전부노출)하고 찌를 1~2목올려 바늘.미끼달고 낚시했는데요.
스위벨찌맞춤은 수면체크->찌맞춤->바늘,미끼달고 낚시하던데...
위 두가지 찌맞춤시 낚시할때 무슨 차이점이 있는지요?그리고 수면체크시 왜 찌톱10cm노출하는지,왜 찌를 40~50cm내리는지 이해가 가질 않네요ㅜㅜ
어수선한 시국에 건강관리 잘하시고 고수님들의 조언부탁드립니다.
스위벨채비시 빠는입질과 찌맞춤순서에 대해...
-
- Hit : 7576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3
다르게 하시고 이상하다 하시기전에 똑같이 해보세요
익숙해지면서 조금씩 변형 하시는걸로....
군계일학 홈페이지에 가셔서 동영상 많이있으니
보고 하시는게 빠를겁니다
이런것 때문에 수심 체크후 4~50내려서 찌맞춤 하고 바늘 달고 미끼 달고 10 내놓는것이 봉돌을 바닥에 안착시키기
위한 맥락이라고 생각하시면 될듯합니다..
캐미고무까지 노출하면 수심별로 가벼워지거나 무거워지거나 현장마다 무거워지거나 가벼워지거나 하는데요.
카본줄로 세팅하는 저로서는 2m 수심에 캐미노출 맞춘채비는 80cm 수심엔 5cm 정도 뜨는 가벼운 맞춤되서 g3,g4 좁살 물려가며 낚시합니다..
2.1칸과 2.9칸 모두 동일한 찌를 사용하셨다면 같은 홋수의 스위벨을 써도 무방하겠지만
만약 그렇지 않다면 두대 모두 다시 찌마춤하셔서 찌탑을 가라 앉힐수 있는 정도의 스위벨 홋수로
하시는 편이 좋을거 같습니다.
순서
1. 바늘이 없는 상태에서 원봉돌을 달고 몸통에서부터 찌탑이 시작되는 부분에 수평마춤을 합니다.
2. 적당한 스위벨을 달고 찌탑 끝이 수면에 마춰지도록 원봉돌 무게를 조정합니다(무거운 마춤)
3. 찌를 올려서 스위벨이 바닥에 닿고 찌탑의 10센티 정도 수면위로 올라오도록 조정하여 수심을 측정합니다.
(수심이 얼마나 되는지 알아보고 스위벨이 바닥에 닿은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10센치 정도 수면위로 나오게 함)
4. 찌길이가 만약 50센치라면 그보다 조금 더 긴 약 60센치 정도 찌를 위로 올려주어 찌탑이 수면과 일치되는지 확인합니다.
(봉돌과 스위벨이 바닥에 닿지 않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찌길이보다 조금 더 길게 찌를 위로 올려주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좀전에 마췄던 무거운 찌마춤이 그대로 맞는지 다시 한번 확인해보기 위함입니다)
5. 미세조정 - 원봉돌(편납홀더)을 조금씩 조정하여 케미고무 중앙과 수면과 일치시킵니다.
6. 낚시하고자 하는 원하는 포인트에 던져서 수심을 마춥니다 (수면위로 케미 아래 첫번째 마디의 중간쯤과 수면일치 시킴)
7. 바늘과 미끼를 달아 낚시 시작합니다.
위 순서대로 찌마춤하시고 낚시 하시면 보다 정확한 입질을 보실수 있습니다.
원래 붕어의 습성상 약 20%정도는 내림입질을 하고, 잉어는 습성상 약 20%정도는 올림입질을 합니다. 하지만 위처럼 찌마춤 하신다면 내림입질 보다 올림입질이 훨씬 더 많아집니다
스위벨채비라고 해서 봉돌(스위벨)이 바닥에 닿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찌올림을 천천히 하게 하고, 경계심을 줄여주며, 이물감을 없애주기 위해 스위벨을 쓰는 것입니다.
하지만 지나치게 가벼운 찌마춤 상태에서는 내림입질이 나타나게 되며 예신상황에서 챔질을 하게 되어 헛챔질이 유발되기도 합니다.
스위벨 채비의 장점도 있지만 단점도 또한 있습니다.
목줄이나 바늘의 꼬임이 잦다
수심이 지나치게 낮은 곳에서는 사용상 매우 불편하다
유속이 있는 곳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
카본줄을 사용할 시에는 스위벨 홋수를 한홋수 위의 것으로 사용해야만 하여 예민성이 필요한 곳에서는 입질의 정확도가 떨어진다
참고가 되셨길 바랍니다. ^ㅠ^
전통바닦낚시 시작하면서 빠는 입질은 거의 없었습니다.간혹가다 어쩌다 가끔씩은 빼구요
전통바닥낚시가 많이 무거운 채비이다 보니 스위벨이 바닥에 안착해야됩니다.
그리고 현장찌마춤하는거보다 수조찌마춤하셔야 됩니다..군계일학이나 어느 프로 낚시하시는분들을 보면 일단 수조찌마춤하고 낚시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현장찌마춤을 했다고 하여도 그대로 수조에 넣어보면 3목에서 4목이상 떠 있는걸 볼수 있습니다..그래서 빠는 입질이되는걸로 알고있습니다.수조찌마춤하면 현장에서는 찌마춤할필요도 없드라구요..수심마추고 그냥 낚시 바로 합니다..
그래서 수조도 저는 만들었구요...지역이 가까우시면 직접 가르쳐드릴수도 있는데..(참고로 전 수원입니다..)
아니면 지금 그대로 하시고 찌마춤 했다고 했을시에 오링대자나 중자를 3개정도 끼워서 투척해보세요 그럼 찌가 내려갈껍니다..(제 예상으로는..)
그리고 그상태에서 찌를 올리시는것도 한가지 방법입니다..
많은 정보 못드려서 죄송하네요.
채비와 셋팅을 정확히 했는데 자꾸 빠는입질 째는 입질
빠르게 치솟고 흔들리고 정신이 없더라구요.
저도 초보지만 저보다 더 초보인 친구는 제가 해준 채비가 이상한거 아니냥? 이상한거 같다?X100ㅜㅜ
이러다 보니 자꾸 채비만 의삼하게 되고...
그렇다고 안잡히는건 아닌데 말이죠...
그러다 우연치 않게 붕어전용 손맛터를 가겠됐습니다.
결론은 채비에 대한 의심를 떨쳐버리게 됐고
찌올림에 신세계?를 보게 됐네요...그렇다고 변칙적인 입질이 없는건 아니지만...
올려줄때는 정말 찌뽕~을 맛보게 되더라구요...그리고 올려줄 놈들은 올려준다...느낌!
그래 내 채비가 이상한게 아니었어 라는 믿음이 들게 해주더군요...
정확한 셋팅 바른 투척 후 나머지 반응은 물속에 있는 애들의 취향?이라 생각 됩니다.ㅋ
........윗목줄 길이 10cm~15cm로 조정해 보세요.
스위벨:2호
......한호수 이상..3~4호까지 올려 보세요.
지금과 같은 시기엔 가벼우면 까부는 입질형태로 나타나요.
현 채비 그냥 쓰시려면 오링소 하나 추가하셔 해 보심이...
던진후 캐미만 노출되게 내려가서 그상태에서 한참동안 있다 원상태로 돌아오는 형태입니다
......떡밥에 의한 사선 입수후..밥이풀리면서 수직으로 돌아 오는 현상입니다.
1. 낚시할곳에 스위벨까지만 달고 투척 찌톱 반 나오게
2. 40~50cm 봉돌쪽으로 내려서 원하시는 찌맞춤
3. 바늘달고 낚시 시작
빠는 입질은 붕어 맘입니다 겁나게 무겁게 하면 아마 올릴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