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경기권 조사님들께 안타까운 소식을 하나 전합니다.
방금 전 뉴시스 이승호 기자의 보도에 따르면 경기도 시흥시 과림저수지에서 떡붕어 수만마리가 집단 폐사했다고 합니다.
폐사한 떡붕어 수거량만 4.5톤에 육박한다고 하네요. 조사결과 독극물이나 악성폐수 유입같은건 아니고
이번 겨울 과림 저수지가 얼면서 용존산소량이 부족한데 떡붕어 개체수는 급증해서 집단 폐사한 것 같다고 합니다.
전문가에 다르면 떡붕어가 다른 붕어 종에 비해 예민해 주변환경에 민감하다고 하네요.
폐사한 떡붕어 사진을 보니 4짜 넘어가 보이는 것도 보이는데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붕어들의 명복을 빕니다.
http://media.daum.net/society/nation/metro/newsview?newsid=20130307133508132 [기사 출처]

어렸을 때, 과림저수지 인근에 살면서 저수지 옆 학교도 다녔었는데...
여름엔 우렁이도 잡았던 곳이고, 겨울에 얼음치기 하며 놀고 얼음 언 저수지 가로질러 학교에 오가곤 했었네요 ;;
그러다 빠져 죽을뻔도 했지만 ㅎㅎ
안타깝네요 저에겐 더욱 이소식이....ㅠㅠ
고개가 갸우둥 해지네여
붕어들이 ㅠㅠㅠㅠ
토종은 한마리도 죽지 않았구요.
떡붕어가 민감한가 봅니다..
안타깝습니다...^^
직원분에게 어떻게 된거냐고 물었더니 너무 추워서 다 죽은거 같다고... ㅡㅡ 이번 주말까지 다 치울거라고 하더군요..
집에서 가까워.. 작년 수차례 출조했던 터라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지만... 한편으로는...
.... 이렇게 많았는데.. 나는 왜 갈때마다.. 낱마리 조과였을까.. ㅜ.ㅜ
이런일이~정말 안타깝네여
집바로옆저수지라서 자주가서놀고오는곳인데,,,,,
안타깝고도. 나의낚시실력도 의심이되네.고기가엄청난데...
그렇다면... 음.... 4-6치가 주종으로 죽었다면.. 큰것들은 아직 남아있다는 것이고..찬슨데요?? 함드리대러 가야겠네요^^
안타까운 소식입니다
낚시하러가시지마여
동네분들이나 주위분들 분위기 아주 안좋을거 같은데요
과림지 에선 토종만 낚아봐서 떡붕어는 없나 했는데
참 안타깝군요.
떡밥그릇에 물 한그릇 부어넣고, 붕어 댓마리 밤새 담궈놔도 산소부족으로는 어지간해선 죽지 않는 이 계절에
산소부족으로 죽었다는 결론을.......
현재 저수지가 담고 있는 물의 양이 얼마쯤인지 물에 녹아있는 산소량이 얼마나 되는지 검측은 해보고 결론을 내린건지....
낚시꾼들이 쓰레기 많이 버려서 죽었다고 안한게 천만 다행입니다.
그랬으면 바로 낚시금지 간판이......
정말 긴가민가 합니다..
낚시인들 땜에 그랬단 이야기 안나오게...
예전에 용존산소량부족으로 베스나 잉어때죽음을 강화 어류정수로에서 봤었는대 ㅎㅎ
동네 신평지도 작년초에 떡붕어가 엄청 죽어서 지역뉴스에 나왔던 기억이 나네여
붕어가 저렇게 많이 죽었는데
낚시인으로서 정말 황당 하네요
하루빨리 어족자원을 보충하여
그나마 손맛보는 저수지 인데
월척님들 건강 하시고 행복하세요
기왕 새로 넣으실거면 토종으로 넣으시길..
외래어종 없는 건강한 생태계 나중에는 엄청난 부가가치를 불러올지 모릅니다
그래도 배스나 불루길이 먼져 때죽음 당했음 좋겠습니다.
그게 녹으면서 다 떳군요....자주 출조 하는 곳인데 안타 갑내요...
당분간은 과림 못가긋네요....에고 안탑깝네요..,
안타까운 마음이 드네요
그곳 수질이 너무 않좋아져서 가본지 20년이 넘었습니다.
결국 또 터지는군요 ~~~
오래전엔 저수지 위에 축사가 문제가 됬었는데... 지금은 주변 식당들이 문제인지... 왜인지는 모르지만.. 그곳 수질은 최악이라는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주변 시흥권 유료터에서는 고기잡아서 가져가는분들이 많은데.. 유독 과림지에서는 고기를 가져가지 않으니 아마도 개체수가 엄청 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잉어 비스므리 한것도 보이는것 같구요..
안타깝습니다.
토종이 아니라 다행입니다
이왕사리 죽을꺼믄 손맛이라도 안기고 죽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