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낚시할때 쌍포로 주로 하는데요.
낚시줄을 맬때마다 줄 편차가 있어서
찌를 던져놓으면 나란히 이쁘게 서야되는데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고 차이가 항상 납니다..
자를 대서 신경써서 매어보아도 결국 편차가 생기고..
인간이 매는거라 완전똑같이 맬순 없어도 거의 비슷하게
맬수있는 뭔가 쉬운 방법이나 노하우가 있으면 가르쳐주세요~~
원줄 매실 때 낚싯대를 실내 바닥에 다아 뽑아 놓고 원하는 길이(여유분 포함)를 손잡이대를 기준으로
자른 다음 케이스에 먼저 감고 (유동 찌라면 멈춤고무를 다아 끼고) 알맞는 길이의 바늘 걸이에 봉돌을 달고 바늘을 겁니다.
다른 낚싯대도 동일하게 이런식으로 채비를 매면 오차가 1cm 미만으로 정리됩니다.
현장에서 일정하게 투척하셔야 길이가 같아 집니다.
님께서 같은 방향으로 일정하게 투척을 하신다면 같은 길이의 찌가 예쁘게 안착될 것입니다.
같은 낚시대라도 펴보면 차이가 납니다.
저도 한때 그거에 꼽혀 낙수대 구입하면 먼저 집에서 두대를 펴보곤 합니다.
아무리 같이 마춰도 길이가 다른 경우라면 낙시대 길이가 다르다에 한표 던집니다..
낙시대 길이 확인하시고 줄길이 대충 가감 하시면 던죠 놓으시면 같이 찌가 설겁니다.
걍 눈대중으로 월줄메고있는데 편차가 거의없습니다
그리고 몇cm차이는 그냥 사용하고 있습니다 채비가 생미끼대물 채비랍니다
다른 좋은방법이있으신 고수분들께 패~~~~~~~~~~~~~~스합니다
자른 다음 케이스에 먼저 감고 (유동 찌라면 멈춤고무를 다아 끼고) 알맞는 길이의 바늘 걸이에 봉돌을 달고 바늘을 겁니다.
다른 낚싯대도 동일하게 이런식으로 채비를 매면 오차가 1cm 미만으로 정리됩니다.
현장에서 일정하게 투척하셔야 길이가 같아 집니다.
님께서 같은 방향으로 일정하게 투척을 하신다면 같은 길이의 찌가 예쁘게 안착될 것입니다.
“쓰레기를 버리지 않으면 청소할 필요가 없습니다.”
펼친길이로 맞추어야합니다
그리고 찌는 반드시 길이와 부력이 같은걸 쓰십시요
저도 한때 그거에 꼽혀 낙수대 구입하면 먼저 집에서 두대를 펴보곤 합니다.
아무리 같이 마춰도 길이가 다른 경우라면 낙시대 길이가 다르다에 한표 던집니다..
낙시대 길이 확인하시고 줄길이 대충 가감 하시면 던죠 놓으시면 같이 찌가 설겁니다.
저의 경우는 신경 끄고 낚시합니다..
제가 잘못 배웠나요?
저는 쌍포이상 낚수대를 절대 같은 길이로 맞추지 않읍니다.
떡밥 집어시 낚시대 바꿔가며 x 자로 투척하는게 집어에 효과가 있다고 배웠읍니다.
물론 지금은 떡밥낚시 잘 안하지만요.
거의 오차가 없던데요 ..ㅎㅎ
32대 기준으로 보통 20센티 정도 짤게 맵니다
윗분들 처럼 실내 바닥에 내려 놓고 초리대가 구부러 지지안는 한도에서 손잡이대 기준으로 20센티 짤게 매고
두번째 줄도 같으대로 같은 방법으로 매서 사용하면 줄길이의 오차가 거의 없습니다
대의 길이의 오차는 어쩔수 없죠 ^^
저같은경우는 한대맞춰놓고 줄감개에 몇번감아지는지 세어본담에 7바퀴반이면..
담낚시대는 꺼내지않고 낚시집에 있는상태에서 줄감아서 7바퀴반에 똑같이정리합니다..
은근이 간단하던데요..
편차 전혀없읍니다..
일일히 꺼낼필요도없구요..
도움되셨으면합니다..
바루옆이라 해도 수심차가 있지않는한
제 경우는 똑같이 옆에 떨어지던데요
저도 항시 32대는 쌍포로 펼치는데..
원줄, 찌, 수심 이 삼박자에 앞치지(입수지점) 까지 더해져야 정확한 길이가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두대 펼쳐놓구 원줄 매시고 봉돌이나 도래 다실 때 잘라내는 길이 까지 같구
찌까지 똑같은데 차이가 난다면
바닥지형, 입수상태, 앞치기시 투척상태 까지 고려 해야 할 사항 같습니다..
전 일부러 한대는 약간 짧게 줄을 매어 약 10~15cm 격차를 둡니다.
집어의 효과를 좀더 넓게 하려는 의도지만.. 수로 같은 노지에선 더 좋은 거 같습니다.
양어장은 틀리겠죠..
1. 찌부력 같은것 길이 같은것을 구한다
2. 길이가 같은 낚시대면 원줄을 1대에 맞추어 약간길게 2개를 자른다
3. 원줄에 초릿대 묶을 매듭, 멈춤고무, 찌고무장착후
4. 낚시대 편길이에 적당한 길에 봉돌 매듭을 한다(2개의원줄 길이 같이...)
5. 봉돌을 달고 미리맟어 놓은 목줄을 답니다
6. 낚시대길이, 찌길이, 찌부력, 원줄, 목줄이 같습니다
7. 물밑 사정만 같다면 멋진 쌍포 되겠죠...
예전 양어장이나 노지에서 떡밥 쌍포를 할때도
약간의 편차를 주었습니다
꼭 맞추신다면 방법은 있지만
걍하셔도 무난하실겁니다...
안출하시고 낚시로 인하여 행복하십시요...
보통 신품 두대을 구입하여도 앞 몇절 꺼내어 편심정도와... 혹 사용했던 대인지 초릿대만 확인하기에...
두대를 펴놓고 대길이를 확인하는 행위는 믿고 넘어가는데....
신품중고도 같은 맥락에서 위~ 자연자연님 댓글처럼 대 상태만 확인하고 기존에 구입한 동일 대의 줄감개 위치에 맞춰 장착 후
줄을 감으니..... ㅠㅠ
결국.... 두대(신품과 중고품)의 절번을 서로 바꿔가며 대길이를 맞춰놓고..... 두대 줄감개 위치를 조정해야했습니다.
그런데.... 신품도 마찮가지입니다. ^^;
각 절번을 분해하면 절번 별 길이차는 없지만 이음부분에서 차이가 나기에 사람이 하는일에 일부 오차는 어쩔수없다란... 생각.
어제 26,28 쌍포를 두대씩 주문한상태에서.... 재차 전화로 대길이를 확인하고 발송 부탁했는데.....
퇴근해서 보면 어떨지.... ^^:
만약 좌우 수심이 다르다면..???
- 전 대충 할렵니다..
줄 매실때 거실에 바닦에 놓구 해보세요.
낚시대 휘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줄 자르면 일치할겁니다.
전 뭐 대충합니다만..
줄을 똑같이매어도 낚시대 길이가 조금씩 틀리더군요..
확인해보세요..
그정도 차이는 붕어 꼬리짓 한번에 왔다가는 거리라고... ㅎㅎ
저도한 바닥에 펼쳐놓고 대길이 차이만큼 짧은쪽 원줄을 길게하지만...
큰 의미는 없더라구요...
현장에서 약간 긴쪽대를 살짝 당겼다 놓으면 해결되구요~
길이가 틀립니다
그리고 같은 길이의 찌를 쓰셔야 되고요
위 두가지의 조건이 안맞아도 투척시
찌의 위치가 다르게 되지요
좋은 도움 되었습니다^^
그중에 한낚시대에 두번 줄을 묶어서 길이조정하는게 좋은 방법인거 같네요.
다른 방법도 좋아 보여요.. 감사합니다.
바닥이 고른지형이 아니라면..어쩔수 없는 부분이지만..
바닥지형이 고른곳이라면...우선 약간씩 길게 매서 찌를 세워 보시고...긴쪽걸 조금씩 짤라나가면서
맞춰여.ㅋㅋㅋ 귀찮더라도...눈이 거실리면 아무리 고기많이 잡아도..낚시가 재미가 없어요..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