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허접조사입니다.^^ 제가 조력이야 얼마 안 되지만... 요즘에 낚시를 하다 보면 붕어가 입질 후 찌 놀림 와중에 찌가 스물스물 올라오다가 멈춘 상황에서 콱! 챔질을 하면 윗턱에 제대로 꼽혀서 올라오기도 하고. 아랫 턱에 꼽혀서 올라오기도 하고 입 옆쪽에 꼽혀 올라오기도 합니다. 그런데 윗턱에 제대로 꼽혀 올라오면 "캬~ 제대로 입걸림에 제대로 챔질을 했구나.!" 라고 하고, 아랫턱에 꼽히면 "어 내가 챔질이 좀 늦었는가보구나." 이렇게 말하시곤 하십니다. 도대체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어차피 붕어가 물고 끌고가다 찌가 올라오게 되고 그 상태에서 챔질이 일어나는건데.. 그 상황에서 바늘 끝이 입천장이라면 입천장이 꽃히겠지만..바늘은 선배님들도 아시다시피 챔질시 회전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그게 제대로 챔질 했을 때 입천장에만 꽂혀야 하고 좀 늦게 챔질하거나 비정상적인 챔질시에는 아랫턱이나 옆턱에 꽂힌다고 하는데..그렇다고 할 이유를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먼가 제대로 된 챔질에 윗턱에 꽂히게 된다는 정확한 메카니즘이 있는건가요?

어디선가 본 내용이 있어 몇자 적습니다.

간단한 원리로 보면 중력의 법칙이라나..

바늘 끝쪽은 뚫려 있고 바늘귀쪽으로는 닫혀 있어서 붕어 입속에서

바늘이 움직이면 중력의 영향으로 바늘끝이 붕어에 윗 입술을 향한다...

라는 글을 본적 있습니다.

근데 어디까지나 붕어의 입에서 좌우대는 부분이라 전뭐 크게 신경 안쓰고 합니다.
바늘이 수초 같은거 위에 살짝 올려져 있는상태에서 붕어가 입질을 하면 아래턱에 걸려나오기도 한다는 예기를 한번 들은 적이 있는거 같습니다.
윗 아래 옆 손 발 꼬리 어디라도 걸려 올라오면 훌룡한거 입니다. 낚시하면서 그려려니 하고 넘어가도 되는 부분같습니다 깊게 생각하면 낚시 정말 어렵고 귀찮아 집니다 기다리고 쪼이고 아싸 손맛 보면 그게 정말 좋은거 같습니다 정확한 타이밍이라고 생각하고 훅킹해도 옆지르러미 악수하고 나올때도 있어요 정말 웃기지만, 마냥 낚시는 즐거워 지는거 같습니다.
윗분들 대답 감사드립니다.^-^
맞네요ㅎ그냥 낚시 자체를 즐기면 되는건데요ㅋㅋ
좋은 하루 보내세요^-^
정타로 까면 위에 정학하게 박히는게 대부분입니다 늦거나 가져갈때 까면 아랫턱이나 옆에 박힙니다

내림 낚시해보시면 그렇다는거 더 잘알게되고 옥내림만 봐도 윗턱 중앙에 박히는 빈도수 올림 낚시보다확연히 적습니다
tv에서보니까 아주 옛 시절에도 낚시가있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이나 그때나 바늘의모양은바뀌지않습니다. 물고기가 흡입할때 바늘이 다른방향으로 있어도 중심때문에 돈다고 그러더라구요 그래서 윗입술에 걸릴확율이 높다고 합니다 .조상의지혜가 신기할뿐이네요
윗입술이든 아랫입술이든 입에만걸리면 후킹됐다고봅니다
윗입술이정타고 아랫입술이나 옆입술은 정타가아니라고하시는건 너무 심오한낚시같네요ㅋ
원래낚시라는건 즐기기위해하는거아닌가요?
너무 심오하게 들어가시지말고 다들즐기는 낚시하시기 바랍니다^^
바늘끝이 안쪽으로 굽은바늘은 고기가바늘을
삼켜도 자동빵이 잘안되고 챔질에의해서만
고기 입술에 걸리도록 고안된것입니다
바늘의 비틀림은 흐르는 물이나 수초위로 고기를
스키태우듯이 끌어낼데 고기가 발버둥칠데 바늘털이를 줄이기 위해 고안된 것입니다
저도 어디서 들은 얘기인데 맞는지는 모르지만
아런 얘기를 들은적이 있읍니다
그분 말로는 바늘을 멜때 줄매듭이 바늘귀 앞으로 오면 위입슬
뒤로매면 아랫 입슬에 걸린다는 군요 그래서 매장에서 파는 바늘을
봤더니 매듭이 앞으로 메어져 있더군요...그래서 요는 챔질시
앞으로 멘 바늘은 바늘이 위로서고 뒤로멘 바늘은 아래로서서 그렇다고
합니다...맞는지는 모르겠네요
챔질시 물리력이 중력을 압도한다 생각됩니다 따라서 바늘의 형태에 따라 어느부분이 아래에있고 어느부분이 윗쪽에 있어서 그렇다는 이야기는 아닌것같습니다.. 제생각은.. 찌의 부력에 의해 채비가 수직으로 서있는상태에서 입질이오면 챔질을 하겠죠.. 당연히 바늘끝이 어디에 있던지 간에 입천장쪽으로 향하게 됩니다.. 논리적으로야 당연히 입천장에 걸릴 확률이 높지만 낚시가 어디 그런가요.. 수많은 변수가 있죠.. 입놀림을 하다 바늘끝이 어딘가에 살짝 걸려있다면 그쪽에 박히겠죠.. 또한 바늘묶을때 바늘끝의 위치도 영향을 미치겠죠.. 챔질시 바늘끝이 아랫턱 위치면 높은확률로 아랫턱에 꼽힐수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렇다고 윗턱에 꼽히게 해야지 하고 원줄부터 목줄 뒤틀림까지 계산할순 없지않나요.?ㅎ 결론은 바늘이 윗입술에 박혔다고 타이밍이 맞았다라는 결론은 굉장히 무리수입니다.. 어디까지나 제 짧은 소견입니다.
1) 침이 안쪽으로 많이 휜 바늘 : 대상 어종이 바늘을 삼키는 것을 방지하고, 미끼를 물었을 때 바깥으로 바늘 털이를 하는 과정에서 입술 언저리에 후킹이 될 확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하지만 여기에도 단점은 있습니다. 자동 후킹이 아닌, 챔질 과정에 의해서 후킹이 완성이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입니다.

 

2) 침이 바깥쪽으로 휜 바늘 : 대상 어종이 먹이를 먹이 위해 공격을 했을 경우에 가차 없이 걸리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런 형태의 바늘은 대상 어종의 입질이 매우 약을 때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깊게 바늘을 삼켜 고기에 생명을 짧게 하여 신선도를 유지하는 시간이 짧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3)  폭이 넓고 목이 짧은 바늘 : 고활성도를 보일 때 사용합니다. 이 바늘은 폭이 넓어 깊숙히 삼키지 못하고 입 언저리에 걸리게 끔 설계되어 있습니다. 활성이 좋은 벵에돔이 바늘을 계속 삼키게 되면 뒷 처리에 시간이 많이 들어 마릿수 조과에 악영향을 끼치므로 폭이 넓고 목이 짧은 바늘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4) 폭이 좁고 목이 긴 바늘 : 저활성도를 띄거나, 깊숙이 삼키도록 유도해 바늘 털이를 하지 못하도록 하는 완전 후킹을 위한 것입니다.
끌고가다찌가올라오는게아니라 붕어신체조건상 흡입후에 평형을 유지하면 찌가올라오는것으로 알고있 습니다 붕어 신체와 주디를 보시면 약간감이오실듯 합니다 근데 챔질이 늦어도 저는 거의 윗턱에 걸리던데 아래턱걸리는거야 그때그때다르지않은가 사로됩니다 저도초짜주제에 몇자적어서 죄송합니다 참고만해주십시요 극히 제생각만을 말씅드린겁니다
중어는 먹이활동시 머리가 바닥을 향해서 있기때문이 아닐까요 ? 챔질시 반드시 바늘은 위로 올라갈거고 그렇다면 대부분 붕어의 윗입술에 꽂히지 않을까요? (순전히 제생각....)
저의 얇은 지식으로는 물고기가 먿이를 취하고 부상을 할때 챔질을 하게되면 당연히 바늘귀가 당겨지면서 윗잎술에 걸리게 되고 붕어가 먹이를 취한후 자리를 이동하게되면 즉 찌가 옆으로 흐르거나 찌가 내려갈때는 챔질을 하면 물고기의 그당시 자세에 따라서 옆잎술혹은 아랫잎술에 걸리지않을까요?
이러하다보니 붕어 습성상 먹이를 취하면 가장먼저 먹이를 물고 머리를드니 이때 챔질을 하면 윗잎술..먹이를 취한후 자리를 이동할때 챔질을 하면 그 당시 낚시대와 물고기 주둥이 방향에 따라 옆잎술혹은 아랫잎술에 걸리는듯합니다.
앎은 지식을 가진 낚시꾼들이 하는 소리 라고 봅니다

붕어가 먹이를 흡입 했을때 챔질 하면 바늘이 돌면서 어디든지 꼽힐 수 있다고 봅니다
이러하면 어떻하리 저러하면 어떻하리 붕이 얼굴보는 것 만으로도 행복한것을....
중층이나 내림에서 떡붕어 상대로 챔질타이밍을 맞추기 위해서 후킹 위치를 확인합니다
떡붕어 특성이 회유성에 중층에서 아랫쪽으로 흡입하기 때문에 그렇고
바닥낚시 경우 그 날의 활성도를 보기 위해서 정확한 타이밍에 챔질 시에 가끔 바늘 위치를 확인합니다
그 날의 수온이나 기압 등의 환경에 따라서 토종도 약간 떠오르거나 활성도가 약한 경우
후킹바늘의 위치가 윗입술 외에 다른 곳에 위치한 경우가 가끔 생깁니다
이 경우 챔질타이밍은 같게하고
떡밥을 더 작게하거나 더 무르게 투입하면 정훅으로 챔질됩니다 또 챔질타이밍을 더 빠르게합니다
바늘위치를 보고 그날의 활성도를 짐작해봅니다
물론 10번 낚시하면 1번은 이런 날이 생기느까
뭐 대단히 민감하게 생각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그날의 활성도를 짐작하면서 낚시하면 재미가 더 배가되는 그 정도 ᆢ생각하는 낚시가 조과 만큼 재미있지 않을까요 ^^

참고로
지누바늘이 휘었고 날이 날카로운 이유는
중층에 띄어서 끌고가는 놈을 챔질하므로
감성도의 특성이 상어같이 입이 통뼈이기 때문에
후킹위치를 뼈사이 즉, 옆입술이나 이빨사이에 뼈에 박히도록 설계하기 때문이기에 날이 생명입니다

벵에돔바늘의 경우
감생이에 비해서 입질 수심층이 얕고 아주 예민하고 바늘털이가 있어서 바늘목이 짧고 안으로 많이 휘어져서 쉽게 흡입되게 튼튼한 바늘로 설계합니다 튼튼한 만큼 무겁습니다

바다낚시용 바늘은 중층계념으로 설계된 것인데
민물 바닥용으로 사용한다면
지누는 후킹에 유리하고
벵에바늘은 상대적으로 후킹은 불리하지만
바늘털이에 대응하긴 좋습니다

물론 후킹이 가장 좋은 것은
다나고형이죠 바늘날이 일자라서
큰 넘이 걸리면 바늘털이에 아주 취약합니다
예전 낚시 tv에서 홍창*님께서 하신 말씀에
정확한 타이밍에 챔질을 하면 붕어 왼쪽 코구멍으로 바늘끝이 나온다고 했던 것 같습니다.
바늘을 입에 물고 한번 당겨봐야겠네요 ㅋㅋㅋ 내입술 어디에걸리나 ㅋㅋ
챔질 방법에도 차이가 있는가요? 질문...
위로 드는 챔질...옥내림 경우 챔질을 부드럽게 위로 듭니다...
바닥낚시의 경우 순간챔질할때 내쪽으로 당겼는데(옛날 어린시절 20여년전)
요즘은 바닦낚시도 두손으로 위로 챔질을 하더군요..
당기는게 챔질이 빠릅니다
잉어치기나 대물치기 시에 대를 세워서 초반에 제압하기 위해서 위로 처올리는 겁니다
절대발명 더이상진보할수없는 발명품중에 하나가낚싯바늘요

물속에서 물고기가흡입시 아무데나있어도 흡입하는순간중력 작용어로

바늘끝이물고기 입술11시에서1시방향어로돌려줘서흡입됩니다

청소기로 한번혀보세요 ^^

장어나메기는 입질때늦게체면 거의삼키거나 아무곳에 걸리듯이요

붕어낚시는 우리나라 정통바닦닦시요 아주과학적어로 체계화댄 낚시라고보심되요

입질패튼을보고 어종맞추기는 우리나라 최고일걸요
바늘흡입의 방향이. 핵심이 아니고
챔질의 원리가 핵심 입니다

챔질 하면
찌가 먼저 딸려 올것이고
바늘은 자연스레 찌방향을 향하게 됩니다
그래서
당겨채든, 들어 채든
윗입술 쪽에 박히게 됩니다

옆이나 아랫쪽에 박히는 원인은?....
고기맘입니다 ㅎ...
목줄이 바늘귀 앞쪽으로 나오게 해서 묶어야... ㅎㅎ
많은 분들께서 답글을 주셔서 너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어디물리든 무슨상관이냐 즐기면되지라는분들은..정말 즐기는것만 생각하시나봐요...
그런데...알고 즐기는것이 모르고 즐기는것보다 좋지 않을가요? 비린내 시르면 낚시하지 마란소리나 다를바 없지싶네요..
알 기회가 있을때 알고 가면 좋지요~ㅎㅎ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