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비 투척시 접어치기 방법을 사용하시면 사선은 줄어듭니다.
투척 시 풀스윙하지 마시고, 찌와 봉돌이 거의 같이 착수되도록 약간 덜 던진다 생각하시면 되구요, 만약 그게 좀 어려우면 풀스윙 후 로드 손잡이를 살포시 귀 옆까지 당겼다가 찌가 직립한 후에 스르륵 밀어 받침대에 올려두시면 도움이 될 겁니다. ^^
라인의 특성은 사선과 큰 연관성이 없습니다. 오히려 찌맞춤의 경중, 조사의 투척방식 그리고 수심에 좌우되지요.
분납(ex.스위벨채비)의 경우 본봉돌과 스위벨사이에 대부분의 사선이 반영되므로 이를 최대한 잡아주는 게 헛 챔질을 방지하는 데 유리합니다. 하지만 외봉돌의 경우 사실 사선이 그리 큰 영향을 주지 않는 다는 것이 제 의견입니다.
어쨌든 사선을 잡아주는 (사실 최소화 시키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투척 후 목내림이 완료되어 채비가 정렬된 상태에서 낚시대를 조사쪽으로 3~40cm 정도 당겨주면 되지요. 이는 풀투척을 했을 경우이며, 중층이나 내림에서 많이 행하는 하프스윙(소위 끊어치기)의 경우는 그 자체로 마무리됩니다.
단, 하프스윙에 지나치게 신경을 쓰면 정작 중요한 채비 정렬을 놓칠 수가 있습니다. 내림이나 중층은 봉돌이 떠 있기에 여하간의 경우에도 가장 긴 목줄의 미끼가 조사 기준 가장 멀리 위치합니다. 즉 채비 정렬이 잘 된다는 뜻이지요.
하지만 바닥(올림)의 경우, 특히 합사를 목줄로 사용하는 경우에 하프스윙을 하면 자칫 미끼와 봉돌이 거의 동일한 위치에 놓이게 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풀스윙까지는 아니더라도 '목내림이 끝난 후 찌가 위치하는 곳 보다는 멀리' 투척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카본줄과 달라서
인위적으로 가라앉히는
모션을 취해야하네요 ^^
미끼가 바깥쪽 위치하게됩니다
붕어가 예신만해도(봉돌 들리면) 찌는앞쪽으로 이동하겠지요(포인트 벗어납니다)
2단입수하시게 찌맞춤하시면 사선 조금은 줄어요
감사합니다
2단입수 찌맞춤은 먼가요???
아직...초보라서요ㅋ
투척 시 풀스윙하지 마시고, 찌와 봉돌이 거의 같이 착수되도록 약간 덜 던진다 생각하시면 되구요, 만약 그게 좀 어려우면 풀스윙 후 로드 손잡이를 살포시 귀 옆까지 당겼다가 찌가 직립한 후에 스르륵 밀어 받침대에 올려두시면 도움이 될 겁니다. ^^
라인의 특성은 사선과 큰 연관성이 없습니다. 오히려 찌맞춤의 경중, 조사의 투척방식 그리고 수심에 좌우되지요.
분납(ex.스위벨채비)의 경우 본봉돌과 스위벨사이에 대부분의 사선이 반영되므로 이를 최대한 잡아주는 게 헛 챔질을 방지하는 데 유리합니다. 하지만 외봉돌의 경우 사실 사선이 그리 큰 영향을 주지 않는 다는 것이 제 의견입니다.
어쨌든 사선을 잡아주는 (사실 최소화 시키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투척 후 목내림이 완료되어 채비가 정렬된 상태에서 낚시대를 조사쪽으로 3~40cm 정도 당겨주면 되지요. 이는 풀투척을 했을 경우이며, 중층이나 내림에서 많이 행하는 하프스윙(소위 끊어치기)의 경우는 그 자체로 마무리됩니다.
단, 하프스윙에 지나치게 신경을 쓰면 정작 중요한 채비 정렬을 놓칠 수가 있습니다. 내림이나 중층은 봉돌이 떠 있기에 여하간의 경우에도 가장 긴 목줄의 미끼가 조사 기준 가장 멀리 위치합니다. 즉 채비 정렬이 잘 된다는 뜻이지요.
하지만 바닥(올림)의 경우, 특히 합사를 목줄로 사용하는 경우에 하프스윙을 하면 자칫 미끼와 봉돌이 거의 동일한 위치에 놓이게 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풀스윙까지는 아니더라도 '목내림이 끝난 후 찌가 위치하는 곳 보다는 멀리' 투척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참고로 수심에 따른 사선을 계산한 그림을 보시려면 다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unixlee&logNo=221526877360&categoryNo=8&parentCategoryNo=0&viewDate=¤tPage=1&postListTopCurrentPage=&from=postList
참고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