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은 이렇습니다.
수로의 폭은 약 20~30m
바닥은 맹탕으로 약간의 뻘상태
유속은 심하지 않음
수심은 대략, 60~70cm정도
미끼는 옥수수, 지렁이, 글루텐...다 잘먹는데, 굵은 씨알이 많지않은 탓인지 옥수수 입질의 빈도수가 가장 낮음
위와 같은 조건일때,
딱, 두가지 채비...
분할형태(좁살, 스위벨, 해결사...등등등)가 나을까요?
아니면,
중통채비가 나을까요?
단순히, 마릿수로만 승부를 본다면 말입니다.
당연히, 바늘호수와 목줄등은 동일하다고 가정하구요.
여러분들은 어떤 채비를 하시겠습니까?
어떤 채비가 더 효과적일까요?
-
- Hit : 7341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3
어찌됫던 봉돌은 바닥에 닿아야 하니까요.
그정도는 아니다 한다면 분할봉돌이 좋을것 같습니다.
채비는 달라도 먹이만 확실히 바닥에 안착되어 있을수 있다면 아무래도 무게를 분산시킨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중통은 봉돌의 유동을 주어 더 예민할것같지만 중통에서 봉돌은 말그대로 유속이 있는곳에서 채비를 잡아주기 위한 용도일뿐이기에
찌의 부력을 그대로 붕어가 부담하면서 흡입을 해야하는 부담감을 줍니다.
붕어입에 얻히는 이물감을 줄일수 있습니다 유속에 찌가잠수할정도만 아닌 저부력찌 예 봉돌 10푼 찌 9 8 7 6 5푼 푼수가낮을수록 이물감은 줄어들겟죠 흡입시
유속이 없는곳에선 찌밑 채비의 직각(사선금지)되도록 사선을 주면 빨채비랑 비슷하죠
붕어낚시도 중층화 되어가는것같네요
중통채비는 봉돌이 4호면 찌는 1~2호정도사용하기때문에 뻘이 심한 곳은 봉돌이 함몰 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험을 해보지 않아서 어느정도 함몰 될지는 모르겠지만 그정도 부력차이면 뻘속으로 봉돌이 함몰될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뻘층때문에 원줄이 어느정도 봉돌을 잡아 줄까요??그러면 원줄이 봉돌은 잡고 있다는건데 그렇다면 중통채비라 할수 있을까 ?? 생각됩니다
중통이 가장 효과를 볼때는
유속이 심한경우 그리고 원줄의 유동으로
이물감을 최소화 시킬때인데
옥수수에 뻘흙이 묻은채로 회수가 된다면
분할채비가 효과적일듯 하네요 ㅎㅎ
뭔가요?
중통채비는 유속이 심할때 효과가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