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어제 밤낚시를 갔다 왔는데요..찌가 점점 잠겨요..

안녕 하세요..횐님들..어제 저녁 관리형 저수지에 밤낚시를 다녀 왔는데요..도착 시간이 오후 1시 정도에 어제 날씨가 상당히 더웠고요(내비에 찍힌 온도가30~31도 정도)..원봉돌에 목줄은 당줄3호(원줄도 3호)이봉이고요.. 길이는 약 7.5cm 정도 이고요..바늘은 7호 붕어바늘 사용 했습니다..유동폭은 30cm 정도 주었구요..찌맞춤 할때 캐미 고무 중간 노출로 맞추고 찌탑 1마디 내놓고 낚시를 하였는데 밤이 되니 찌가 점점 잠겨서 찌멈춤 고무를 조금씩 위로 올린게 다음날 아침 까지 거의 6cm 이상 올린거 같아요.. 제 생각에는 바닥 상태가 뻘이 많아 붕어를 잡고 난다음(거의 40수 정도는 잡았어요..)뻘이 파여 그자리에 다시 봉돌을 집어 넣으면 그만큼 찌가 내려 간거 같은데 그렇다고 찌멈춤 고무를 6cm나 올린다는게 의아 하거든요..그렇다고 붕어가 찌를 안올리는냐 하면 그것도 아니고 찌는 주욱 올리더라구요..이런 현상은 그냥 찌멈춤 고무를 계속 올려가면서 낚시하는 방법 밖에는 없을까요?..아니면 제가 모르는 어떤 현상이 있을까요??..긴글 읽어 주셔서 감사 하고 답변에 먼저 감사의 말씀 올립니다..꾸벅..(_ _*)

제일 기본인
수위가 상승한 건 아니었는지요??
아니요..아침에 봤더니 특별한 수위 상승은 없었습니다..좌대에서 낚시해서 바가지로 손씻을 물을 게속 퍼다보니 수위 상승이 있었으면 알아 차렸을 거에요..
좌대는 수위가 올라가면 좌대도 부력때문에 같이올라가서 손씻는 위치는 변함이 없습니다.
아..그건 미처 생각 못했네요..낚시터 사장님 한테 한번 물어 볼걸..아침 부터 돌아 다니면서 "고기 많이 잡았어요?"만 묻고 돌아 다니든데..근데 좌대가 저수지 가운데 있는
게 아니고 연안에 걸쳐져 있는 그러니까 다리랑 연결(?)되어 있는 좌대라고 할까요..그런곳도 수위가 올라가면 좌대 부력도 같이 올라가나요??..그러면 궁금증 완전 해결 인데요..^^**
유료터의 시설들..
좌대 잔교 배터 등은 수위에 따라 떠오르고 가라앉는게 당연하구요..
배수 가뭄 홍수 등.. 저수지의 수위는 몇 미터가 차이나기도 하니까요..
수위가 올라간게 맞는것 같네요..
찌가 투척후 스르르 잠기는 현상이라면 채비의 문제인데 정상적인 낚시를하면서 스토퍼만 조금씩 올렸다는건 수위 상승이겠죠
뻘층에서 40수 잡으셨으면 바닥이 당연히 파쳐서 찌고무를 올려서 합니다 그널은면적의 저수지에 수위상승6센티이상 되려면 비가내려야맞겟죠 그래서갠적인 견해로는 바닥펄이 파인것으로 판단됍니다
찌 부력을 너무 가볍게 맞추어서 그러는 겁니다 이때는 추를 깎지 마시고 쇠 링을 채워보세요 찌가 원 줄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여 자꾸 잠기는 현상입니다
찌는 몸통이 EBS 재질이어서 물은 먹지 않습니다..
관리형 저수지도 대류현상 및 기후나 바람의 영향도 많이 받지요~~
케미 고무 중간에 부력을 맞추었다면 낚싯대 칸수 및 원줄 등 전체적으로 영향을 받겠지만
일단 가벼운 찌 맞춤에 그런 현상이 일어나죠~~
유료터이다 보니 채비를 아마 가볍해서 처음에 바늘이 닿고 봉돌이 뜨게 세팅 하신거 같습니다.
해가 지고 밤이 깊어짐에 따라 물의 대류 현상이 일어나고 물의 비중은 4도시일때가 가장 크고 밤이 깊어 짐에 따라 물의 온도가 떨어짐에 따라 물의 부력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서 바늘만 닿은 가벼운 채비가 시간과 더불어 점점 커브를 그리며 내려가다가 마침내 봉돌이 바닥에 닿은 것 같습니다.
혹 바늘과 봉돌 사이가 6센티가 아닙니까?
양수형저수지 비 안와도 수위 오를수 있습니다..

확인해 보시고요.

바닥이 뻘이여도 고기 여러마리 잡는다고 수심이 깊어지지는 않을거 같습니다..
케블라님 봉돌을 바닥에 닿기 하기 위해서 찌탑을 1마디 내놓고 낚시를 했거든요..캐미 고무 중간 찌 맞춤에 찌탑 1마디 내놓으면 봉돌이 바닥에 닿지 않을까요??..
그리고 목줄 길이가 이봉인데 바늘 두개다 7.5cm 입니다..저도 대류 현상을 생각 했는데 찌가 잠기는거 보면 대류 현상은 아닐거 같고요..뻘층이라고 옆의 조사님이 얘기를
하더라구요..그분 얘기가 고기 잡을때 마다 뻘이 파여 그런것 같다 라고 얘기하는데 찌를 6cm 나 올리기에는 뻘이라고 보기도 그렇고..에쿠스님 얘기가 가장 신빙성이
가긴 하는데 에쿠스님 얘기는 제가 이해가 조금 안되어서요.."찌 부력을 너무 가볍게 맞추어서 그러는 겁니다 이때는 추를 깎지 마시고 쇠 링을 채워보세요 찌가 원 줄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여 자꾸 잠기는 현상입니다"중에서 추를 깎지 말라는게 어느단계에서 깎지 말라는건지 이해가 안갑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