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영점찌맞춤

궁금한게질문이많습니다 이해바래요ㅎㅎ 예민한찌맞춤하다가 피곤해서 덜예민한영점찌맞춤으로돌아가려는데 바늘과캐미안꽂고 캐미꽂이끝과 수면과 일치하는 찌맞춤하시는 계십니까??

바닥이면 찌가 서서히 가라앉으면 약간 무거운채비 안되는지? 전 옥올림이라 케미끝만 수면에 보이는 채비인데 봉돌만 살짝 바닥에 서서 닿이더군요.노지에 맞춘걸 수조통에 넣어 확인해보니..
보통 무거운 맞춤 그렇게 합니다
그것도 피곤하면 서서히 잠기는 풍덩으로 가세요
제가말한게 영점찌맞춤인지요??ㅎ
캐미는 꽂은채로 찌맞춤 하시는게 좋습니다.
낚시하실때는 어차피 캐미를 꽂은채로 낚시할 것이구요.
정확한 낚시를 구사하시려면 주로 쓰시는 캐미를 찌에 꽂은채로 찌맞춤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캐미를 꽂지 않은채로 찌맞춤 했다가, 실제 낚시할때 화학캐미든, 왕방울 주간캐미를 끼우든
찌맞춤값이 정확히 어느 정도의 가변량이 생기는지 아실 정도의
수리학에 통달하신 분이라면 문제 없습니다만......
영점찌맞춤은 개인별 생각하시는 기준이 조금씩 다르더군요.
제 기준의 영점찌맞춤은 모든채비 다 하시고 케미끝 수면일치 입니다.
영점 찌맞춤은 위분 말씀되로
개인의 기준 이지만 저는
케미달구봉돌에 도래 두개달구
영점찌 맞춤 하네요 도래 하나는
원줄에 찌 교체할때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요 하나는 원줄 끝부분
바늘을 교체할때 용이하기
위해서요 이영점찌 맞춤은 요즘에는
무거운 찌맞춤 으로 들어 가네요
지금은 케미안달고 찌톱을 몸통
바로 위까지 내놓고 맞추면은
가벼우면서도 무거운 찌맞춤이 되네요
맞습니다

봉돌만달고 서서히가라앉다가
잠시멈춘후상승 수면과일치

거기에캐미를달고맞추시면
영점보다예민
바늘까지달고맞추시면
더 예민한찌맞춤입니다
영점 찌맞춤...... 윗분 말씀처럼 각자 기준이 다르죠
생각에 차이 일수 있지만 ... 언제 부터인가 <내림낚시 > 영점 찌맞춤법이란 단어가 전통 바닥낚시인들 한테서 사용이 되곤 합니다
영점..... 가볍지도..무겁지도 않은상태 ?? 이정도로 해석해도 될른지요..
단어 자체만 놓고 본다면 참으로 좋은 찌맞춤이죠 가볍지도 않고 무겁지도 않은 예민한 맞춤법
언젠가 낚시인들 사이에선 유명한 한분이 영점찌맞춤 후 낚시 하는 모습을 봤습니다..... 한데 맞춤은 1목에 실제 낚시할땐 2목을 내어놓고 하더군요 <<<<< 이게 영점맞춤일까요?? 제가 생각할땐 영점 이란 1목으로 맞추었으면 1목만 내어놓고 낚시를 하는게 영점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영점에 기준점은 각기 다른 케미꽃이나 1목 또는 2목이 될수 잇지만 실제 내어놓고 사용하는 상태는 본인이 찌맞춤 할때 내어놓고 맞춘 상태 이상태가 영점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br/>
본인이 맞춤이 케미꽂이 부분이였을때 사용시 2목을 내어놓고 한다면 약간의 무거운상태 반대로 케미꽂이를 수면과일치 상태라면 좀더 가벼운 상태 입니다
질문자 께서 의도하는 무거운 찌맞춤을 원하시는 방법은....질문내용을 보면 과거 전형적인 바닥맞춤법으로 생각됩니다 질문상태에서 케미를 꼽아도수면과 일치됩니다
물론 케미를 어떤것으로 사용하는냐에 따라 약간에 차이는 잇을수 잇으나 찌맞춤 방법은 전통바닦낚시 찌맞춤법 입니다

예민함의 피곤함을 없애기 위한 찌맞춤법 을 추천드리자면 과거 방법처럼 바늘달지 않고 케미는 달고 맞춤시 ...물속으로 케미가 들어 갓다 서서히 올라 오면서 수면과 일치하는 방법 ,,,,,저는 이것을 올려 맞추는 방법 이라고 정의 하고 십습니다... 올려맞춤법을 추천드리구요

반대로 내려 맞춤법으로는 ... 케미끝부분이나 1목에 맞출시 찌가 서서히 내려가면서 원하는 부분에 <케미꽂이 시작부분이나 1목 또는 2목 > 맞추는 방법.... 이방법을 내려 맞춤법이라고 생각 합니다 이 방법은 요즘 모든 분들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찌맞춤후 사용 방법만 잘 맞추신다면 영점이든 아니든 충분히 가볍게 도는 무겁게 사용할수 잇으리라 생각 합니다....

글로서 표현할수 잇는 부분이 한계가 잇다고 생각 합니다
글재주가 없어서 표현이 잘되었나 조심스럽구요 날이 무척이나 덥습니다 낮낚시 자제 하시고 밤낚시 위주로 출조 하시기 바랍니다
많은 분들이 수평찌맞춤과 영점찌맞춤을 같은 의미로 사용하시는데 다른 겁니다.
수평찌맞춤이란 말씀하신 찌 끝을 수면과 일치시키는 바닥 표준 찌맞춤이고 영점찌맞춤이란 봉돌은 떠 있고 바늘만 바닥에 닿아있는 형태에서 바늘을 들었을 때 목줄의 접힘현상 없이 들어올린 바늘만큼 찌가 상승하는 상태의 마이너스 맞춤 직전의 찌맞춤입니다.
영점 찌맞춤 에서 "영점"이 무슨 뜻 일까요? 찌를 영점에 마춘 다는 뜻 같은데,,,
영점? 영점이 어디지?,,, 무슨 기준이지?

표준찌맞춤 이니 영점 찌 맞춤이니 이런 단어는 기준 없이 그냥 만들어낸 말 입니다.. 사전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전혀 근거가 없는거조,,

바닥 피싱꾼님이 오늘은 찌를 케미 반노출에 맞추셧으면 그게 영점 입니다.
바닥 피싱꾼이 내일은 찌를 케미 꽂이 바로 밑에 에 맞추셨으면 그게 영점 입니다.
ㅋㅋㅋ 붕어낚시 오래하다보면 결국에는 영점찌맞춤으로 회귀하게 되지요....
영점 찌맞춤 정확히는 잘모르지만 제가 글쓴분처럼 합니다.현장에서 바늘빼고 주간.야간케미 빼고 케미꽃이 잠길락말락~~근대 케미꽃이 잠길락 말락...낚시대 20대 넘게 모두 똑같이 맞출수는 없어서 어떤건 살작 케미꽃이 나오구 어떤건 잠기는데요....노지 대물낚시에서는 찌맞춤 그게그거 같다는 결론~~많은분들이 이야기하는 올릴놈은 올려준다는 믿음으로ㅎㅎ
세상에나... 표준/영점맞춤 헷갈리는 분이 많군요. 질문자님 문의하신 부분에서 영점맞춤은 아주 예민한 맞춤입니다.
바늘과캐미안꽂고 캐미꽂이끝과 수면과 일치하는 찌맞춤은 다소 무거워서 대물낚시에 흔한 맞춤이며 표준맞춤보다 약간
무거운 맞춤입니다. 바늘과 캐미꽂으면 수조에서 찌가 가라앉게 됩니다.
아마도 예민한 영점맞춤하시다가 피곤해서 덜예민한 표준맞춤으로 가시려고 질문하신거 같아요.

*표준맞춤 : 수조에서 바늘/캐미달고 캐미끝이 수면과 일치하는 맞춤(전통적으로 가장 오래되고 흔한 맞춤법)
*영점맞춤 : 수조에서 바늘/캐미달고 캐미와 캐미꽂이 경계선이 수면과 일치하는 맞춤

상기 맞춤은 현장에서 낚시시에는 아래와 같은 현상으로 낚시하게 됩니다.
*표준맞춤 : 봉돌이 바닥에 닿고 바늘목줄은 지면에 늘어진(누워있는) 상황.
*영점맞춤 : 봉돌은 떠있고 바늘만 바닥에 살며시 닿은 상황.(봉돌과 바늘은 수직으로 펴진 상태이고 입질시 목줄이 봉돌을 밀어올릴 정도의 예민함)

그 이상은 설명하기 너무 길어져서 이만 줄입니다.
90년대 까지 붕어낚시 맞춤법은 표준맞춤법만 있었지요. 당시는 그냥 찌맞춤법이라 하고 다른 맞춤은 존재하지 않았구요.
90년대 초중반부터 좀더 예민하게 맞추는 방법인 영점맞춤법이 개발되어 기존맞춤법을 표준맞춤법이라 구분해서 부르게 된겁니다.
또 그이후에는 일본에서 중층,내림 등을 상업적 의도로 소개하게 되면서 지금은 갖가지 변형된 맞춤법이 생겨난 겁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