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각지대는 허상 입니다
실제로 있긴 하지만 3센티 목줄과 10센티 목줄의
사각지대 차이는 1센티도 안납니다
봉돌이 땅에 박혀있고 바늘이 사각지대만큼 원을 그리면서
입질하는 그런 상황은 없습니다
10센티가 넘는 목줄을 써도 바늘이 10센티 뜰 필요없이
바닥에서 조금만 떨어져도 바로 입질이 나타납니다
왜냐하면 목줄 펴진 상태에서 붕어의 입질은 수직이 아닌
횡방향에 더 가까운 힘으로 작용합니다
사각지대를 줄였다는 좁쌀채비는 사실 사각지대는
낚시꾼용 미끼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대신 좁쌀봉돌을 사용해서 횡이동에 대한 이물감을
확 줄였기 때문에 예민한 양어장 붕어에 효과적입니다
분납없이 본봉돌 하나만 사용할때엔 목줄이 길어지면
사각지대가 발생하는게 아니고 오히려 붕어가 미끼를
입에 물고있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챔질 타이밍이 더욱
여유가 있어집니다
목줄 길이에 따른 사각지대가 발생하려면
붕어가 봉돌이 고정된 상태에서 바늘이 움직이는 범위의
반원 사이에서 절묘하게 입질을 해야하지만
그 정도 지능의 붕어라면 사각지대 광고에 낚이는
낚시인보다 지능이 높기 때문에 애초에 입질을 안하겠죠^^;;
겨울 바람님!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목줄 길이에 따른 조황보다도 사람들은 잘 느끼지 못하지만 붕어들은 예민하게 느끼는 기후의 변화에 따라 조황이 더 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목줄의 사각지대가 절대적이진 않다는 것이지요.
또 무슨 채비, 무슨 채비 하는데 그 채비가 조황에 결정적이냐는 것이죠.
제 생각에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붕어가 먹지 않겠다면 인간으로서는 별수 없지 않겠습니까?
출조하기까지의 기대감과, 낚시할때의 흥분감, 결과가 좋으면 기쁨이여. 않좋으면 다음으로 연기되는 또다른 기대감이겠지요. 마음이 통하는 동행인이 있으면 더욱 좋구요.
다만 여러 채비가 나오고, 여러 방법이 등장하는 것은 사람들의 또다른 경쟁심이라고 생각합니다.
인간들이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따라해볼 수 있지만 그외의 것들은 또다른 세계라고 생각하시는 것이 어떠신지요.
요약하면 내가 편한대로 하자는 것이죠.
여러 채비가 등장하고 있지만 만약 절대적인 방법이 등장한다면 모두가 그 방법을 따르겠지요.
하지만 지금 등장한여러채비 중에 절대적인 것은 없고, 다만 사람 기준으로 생각하고 결정해버리 ㄴ하나의 논리일 뿐이지 않나 생각합니다.
수초에 바짝부치려면 목줄 긴 것이 불리할 것이고, 바닥이 감탕인 곳에서는 반대로 목줄 긴 것이 유리하고요.....
참고로, 옛부터 전해지던 전통바닥낚시에서의 목줄 길이는 5~7cm 정도 였다고 전해집니다.
붕어가 입질을 했을때 사람이 시각으로 인식하고 챔질했을때 훅킹의 성공율이 가장 높은 길이이지 않았을까 합니다.
낚시는 취미이니까 편하게 하시는 것이 좋을 듯 싶어 글을 올렸습니다.
저와 생각이 다른 분들에게 죄송의 말씀 전합니다.
뻘층이나 늦가을 퇴적층이 쌓일때 쯤엔 15cm상회할 정도로 교체합니다
미끼함몰 때문에..
실제로 있긴 하지만 3센티 목줄과 10센티 목줄의
사각지대 차이는 1센티도 안납니다
봉돌이 땅에 박혀있고 바늘이 사각지대만큼 원을 그리면서
입질하는 그런 상황은 없습니다
10센티가 넘는 목줄을 써도 바늘이 10센티 뜰 필요없이
바닥에서 조금만 떨어져도 바로 입질이 나타납니다
왜냐하면 목줄 펴진 상태에서 붕어의 입질은 수직이 아닌
횡방향에 더 가까운 힘으로 작용합니다
사각지대를 줄였다는 좁쌀채비는 사실 사각지대는
낚시꾼용 미끼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대신 좁쌀봉돌을 사용해서 횡이동에 대한 이물감을
확 줄였기 때문에 예민한 양어장 붕어에 효과적입니다
분납없이 본봉돌 하나만 사용할때엔 목줄이 길어지면
사각지대가 발생하는게 아니고 오히려 붕어가 미끼를
입에 물고있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챔질 타이밍이 더욱
여유가 있어집니다
목줄 길이에 따른 사각지대가 발생하려면
붕어가 봉돌이 고정된 상태에서 바늘이 움직이는 범위의
반원 사이에서 절묘하게 입질을 해야하지만
그 정도 지능의 붕어라면 사각지대 광고에 낚이는
낚시인보다 지능이 높기 때문에 애초에 입질을 안하겠죠^^;;
종은 정보 감사합니다
참고하겠습니다......
이물감을 없애주는것이 훨씬 입질이 좋았습니다
외바늘의경우 봉돌에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약 10센티 정도면 충분하지 않을까요?
dlwkdnjs 님 의견에 100만표 던집니다!
dlwkdnjs 님 댓글 보고 ...님이 쓰신 글들 쭉욱 보았습니다~
개파이 톤으로 말씀 드립니다 ^^ 이 분 정말 고수다 ㅎㅎ
앞으로 좋은글들 많이 부탁 드립니다
상황에 맞게 사용합니다.
누가 좀 자세하게 쉽게 설명해줄 사람 없나요 .....이해가 안되니깐 무슨 뜻인지 무지 궁금하네요....ㅎ
5cm ~~15cm 사이 사용 합니다
모노 외바늘엔 10~15cm로 합니다.
직접 바늘 묶음 하는데 조금이라도 차이나면 다시 가위로 짤둑하고 다시 메어 길이 똑같이 합니다.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목줄 길이에 따른 조황보다도 사람들은 잘 느끼지 못하지만 붕어들은 예민하게 느끼는 기후의 변화에 따라 조황이 더 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목줄의 사각지대가 절대적이진 않다는 것이지요.
또 무슨 채비, 무슨 채비 하는데 그 채비가 조황에 결정적이냐는 것이죠.
제 생각에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붕어가 먹지 않겠다면 인간으로서는 별수 없지 않겠습니까?
출조하기까지의 기대감과, 낚시할때의 흥분감, 결과가 좋으면 기쁨이여. 않좋으면 다음으로 연기되는 또다른 기대감이겠지요. 마음이 통하는 동행인이 있으면 더욱 좋구요.
다만 여러 채비가 나오고, 여러 방법이 등장하는 것은 사람들의 또다른 경쟁심이라고 생각합니다.
인간들이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따라해볼 수 있지만 그외의 것들은 또다른 세계라고 생각하시는 것이 어떠신지요.
요약하면 내가 편한대로 하자는 것이죠.
여러 채비가 등장하고 있지만 만약 절대적인 방법이 등장한다면 모두가 그 방법을 따르겠지요.
하지만 지금 등장한여러채비 중에 절대적인 것은 없고, 다만 사람 기준으로 생각하고 결정해버리 ㄴ하나의 논리일 뿐이지 않나 생각합니다.
수초에 바짝부치려면 목줄 긴 것이 불리할 것이고, 바닥이 감탕인 곳에서는 반대로 목줄 긴 것이 유리하고요.....
참고로, 옛부터 전해지던 전통바닥낚시에서의 목줄 길이는 5~7cm 정도 였다고 전해집니다.
붕어가 입질을 했을때 사람이 시각으로 인식하고 챔질했을때 훅킹의 성공율이 가장 높은 길이이지 않았을까 합니다.
낚시는 취미이니까 편하게 하시는 것이 좋을 듯 싶어 글을 올렸습니다.
저와 생각이 다른 분들에게 죄송의 말씀 전합니다.
입질은 깔끔해지고 자동빵이 많아지더군요.
한번 해보셔요~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