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외봉돌채비 유동봉돌,분할채비 유동봉돌,찌맞춤 목줄길이 등등..예민한채비와 수평찌맞춤의차이점??

요즘 예민한 채비가 대세인듯 한데요. 동동채비,리베로채비,방랑자채비,해결사채비,사슬채비,스위벨채비등등.. 다 사용해본 결과 비슷한채비에 찌맞춤과 목줄길이 유동봉돌 고정봉돌등을 약간 변형해서 채비 이름을 바꾸는듯한데요. 수평찌맞춤정도에서 올림입질을 볼수있는 채비를 봉돌에 유동을 주면 조과에 어떤차이가 있을까? 과연 옥내림 채비의 변형인듯한..바늘달고 수평찌맞춤을 하는채비들 목줄을길게주고 봉동에 유동을주고 안주고.. 바닥에봉돌이닿을락말락하는채비들....이 그만큼 챔질타이밍이을 잡기가 쉽고 조과가 좋을까?? 에 대해서 월척 고수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어서 글을 적어봅니다. 옥내림의 변형비슷한..리베로채비(고정봉돌)찌맞춤 바늘다고 수평찌맞춤정도 목줄길이 20cm이하,동동채비(유동봉돌)바늘달고 수평찌맞춤정도 목줄길이20cm~35cm 제가 경험한 결과로는.. 리베로채비에서는 올림입질빈도가 높은 반면 동동채비에서는 내림입질이 많이나타나고 가끔올라오는 올림입질시에는 헛챔질을 많이하고.. 조과면에서도 리베로채비나 동동채비나..바늘빼고 수평찌맞춤해서 목줄을 길게주고 저부력찌로 하는것과 큰차이가 안나는듯 한데요. 과연 올림낚시에서 예민할수록 조과면에서 큰차이가 나는지 참 의문입니다. 옥내림채비를 하면서 좋은 조과를 올리다가 올림낚시로 돌아온지3년이 지난지금도... 옥내림채비처럼 좋은 조과를 올릴수있는 올림채비를 찾다보니 별별채비를 따라해보고 공부도 해보지만 딱히 이채비다싶은 채비를 못찾는거 같네요. 제가 채비운용을 잘못하는지..올림채비의 한계인지.. 현재는 방랑자채비와 해결사채비를 주로 사용하지만.. 약간의 아쉬움이 있어서 여러가지 생각을 하게 되는군요. 월척고수님들의 의견을 듣고싶군요. 과연 올림채비중에서 예민할수록 조과가 좋을까?? 봉돌에 유동을 주는것과 봉돌을 고정하는것에 차이가 있을까?? 목줄을 아주길게가져가는것이..채비설명처럼 올림이 가능할까??

아무리 댕기 봐도 길국 제자리로 와있심더 머리아파 빠꾸 예민하고 싼 이화찌에 5호정도 영점찌맞춤 마이너스찌맞춤 중간정도 맞추고 바늘들면 찌 올라가면 고기 옆에오면 찌 꼼지락 꼼지락 올리주는것 잘 올리주고 땡임니더^^^^^^^^^^^^^^^^^^^^^^^^^^^^^
노지건 관리형이던 입질이 약할땐 확실하게 차이를 느끼실수있습니다ᆞ
저도 이채비 저채비 고민하다가 다해뿌자 이케서 낚시대만 60대 이상 가방만 4개 입니다...
뭐하는 짓인가 싶긴 합니다만....
결국엔 원봉돌로 돌아갈것 같습니다.
확실히 조과 차이는 있는데
복잡한건 인쟈 싫어유
낚시터의 여건이나 환경에 따라서 가장 확율적으로 잘 맞는 채비가 있겠지만, 다른 환경에서는 또 맞지않겠죠 그날의 온도, 기압, 포인터 여건, 물흐름, 등등에 전천후로 편한 채비는 원봉돌일겁니다.
채비법의 변화로 조과를 올리기 보다는
물밑 바닥을 읽는 능력을 키우고 미끼 운용술이나 그날 그자리 환경변화에 적응력을 키우는게 더 좋을 듯합니다
예를들어서
바다낚시의 경우 바닥2ㅡ30미터 반경의 수심이나 매시간 변하는 조류의 방향과 수중여의 위치 물도리 자리 등등을 그때 그때 파악하지 못하면 꽝 내지는 눈먼 고기가 전부입니다 물론 바다낚시는 현장서 다양한 채비법을 구사합니다만,(우끼대 한대만 사용하니까)
민물의 경우
여러대 사용하므로 현장서 가는 곳 마다 채비를 전부 교채하는 건 현실성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전천후로 가는한게 원봉돌이지 싶네요 속 편하고ᆞᆢ
낚시의 묘미는 여유와 스릴이 아닐까요
한 두마리 덜 잡고 여유를 즐겨야 또 쉬러 가죠
잡으려고 덤비면 그 날로 스트레스가 생기고 모든 장비와 채비를 가능한한 총동원하게 됩니다
벌써 즐기는 낚시에서 멀어져가죠 어부도 직업도 아닌데ᆞᆢ
그냥 기본 채비로 여유를 가지시고
낚시터 환경을 현장서 극복하여서 조과를 올려보시면 더 짜릿한 맛이 날 듯합니다
채비, 장비로 간다면 ᆢ장대 ᆢ배ᆢ작살ᆢ그 끝이 어딜까요?
조금은 지나친 말씀을 드린건지는 아닌지ㅡ그냥 원래의 초심으로 돌아가지 였습니다 ^^
아 ᆢ 유동봉돌은 심한 대류나 유속이 있을 때 극복용으로 사용하면 좋습니다
극심한 경우 유동봉돌로 끝보기를 하면 효과적입니다
일반 못에도 대류가 심할 땐 좀 극복이 되고
대류가 전혀 없고 바닥이 고르지 않으면 찌놀림에 불리하므로 보통 고정봉돌을 많이 사용합니다
기본적인 것만 이해하셔서 채비는 다양하게 응용하시면 될겁니다
유동봉돌은 입질시 유격이 있어서 챔질타이밍이 일정치가 않습니다
특히 바닥이 고르지 않을수록 더 심해집니다
방랑자, 동동채비 지금 현장에서 사용 중인데 공부 중입니다
네이버에서 검색 하시면 동동 채비 찌 맞춤이 동영상으로 자세히 나와 있던데?
수평 맞춤이 아니고요..바늘 달고 케미고무 하단까지 노출로 맞추라고 되어 있는거 같아요
먹이달고 수심 체크후 두목 (손가락으로 두 마디 맞추라고 동영상에 손가락도 보여주던데요....ㅋ)내 놓고 낚시시작
토욜 날 이렇게 4대 했는데 찌 올림 기가 막히게~~~옥수수 입질이 뜸 해서 구르텐으로 3~4치가 입질해도 예신 및 찌 올림이 예술~~~
동영상에도 나와 있는데 수평 맞춤 부터 시작하여 편납을 잘라 내어 (생각 보다 많이 잘라야) 케미 고무까지 노출..이렇게
찌 맞춤을해야 중후한 찌 올림을 볼것 같읍니다...방랑자도 지금 연구 중입니다 댓글 정성껏 달아준 조사님들께 저는 전화 걸려가
직접 물어 봅니다...옥내림때는 제 멘토가 댓글 잘 다시는 장교수님 이었는데??? 궁금할때는 전화가 제일 입니다 !!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