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요즘들어 찌를 옆으로 끌고 갑니다...

동네 낚시터에서 옥수수 미끼에 바닥낚시를 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수심이 얕은 곳에서도 찌를 거의 올렸는데 요즘들어 찌를 옆으로 끄는 입질만 합니다. 챔질을 하면 5번에 4번은 헛챔질이고 한번정도 물리는데 어째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도저히 알 수가 없어 고수님들의 고견을 얻고자 글을 올립니다. 저의 채비는 원줄 카본3호 목줄은 카본2호(17Cm / 12Cm, 바늘은 후지츠 경기용 8호바늘을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찌는 약 5호 봉돌정도 먹는 대물찌입니다.

우리가낚시를하면서 찌를통하여
예신이라는것을 보게됩니다
본신전에 붕어들이먹이를 흡입과뱉음을반복하는과정속에서
찌가움직이는것을 느끼게되는데 이것을우리꾼들은
예신이라하지요
예신은 미세함으로올렸다내렸다하는것도있지만 옆으로끄는것또한
예신이라볼수있으며
이런예신이일어나는과정속에 김이사님께서챔질을하다보니후킹이안되고
헛챔질만되신것이아닌가하는생각이듭니다
김이사님채비로봐서는 큰문제는없다고보여지기에
이러한경우에는 시간적인타이밍을두고 좀더기다리셨다가 챔질을해보시는것또한
방법중의하나라고 감히말씀드려봅니다
보름달이휘양찬란하게 비추는날 수심3미터권에서 낚시를
하시다보면
징거미가모여드는경우가종종있는데
붕어입질처럼2~3마디의찌를올려주는것이
징거미입질이기도합니다
이렇게
꾼들을속이고
징거미도붕어만큼 입질을해주는시기가있습니다
초봄해빙기전후로볼수있는징거미의입질이지요
제가아산의봉재지에서 겨울낚시를즐기면서 징거미에게 여러번속은
경험이있어 말씀드려봅니다
징거미
찌를정말잘올림니다~~ㅋㅋ
바늘에징거미가달려나올때보면 웃음이절로나오더군요
고수님들의 댓글감사합니다.

스모그님 분납은 안쓰고 원봉돌채비입니다.

찌만보다님 징거미일 수도 있겠지만
요즘 끌리는 입질만 보니 환장하겠습니다.ㅎㅎㅎ

하나만주라님 헌데 1년여 그곳에 다녔는데
예전엔 그런 적이 없었거든요...
참 찌맞춤은 수조에서 케미끼고 바늘없이
수평맞춤하거든요...
자꾸 그런 현상이 일어나니
저의 채비에 문제가 있나 의구심이 생깁니다.ㅎㅎㅎ

끌구가는게 징거미라면 다행(?)입니다.ㅋㅋ
미꾸라지나 올챙이들도 제법 굴리죠
베스터 유입구에서 가벼운 찌맞춤으로 글루텐으로 낚시하다가 하도 끌고 다니길래 궁금해서 채집망넣어 봤더니 미꾸라지가 풍년....
제주도에서 제가 경험한 일입니다.
아무것도 바꾼게 없는데 어느날 부터 약 2주간 그런 현상이 있었습니다.
옥수수 미끼였구요... 징거미라 생각하고 후킹을 했는데 붕어가 나옵니다.
아무것도 바뀐게 없어 희한하다 생각했는데
약 2주후 언제 그랬냐는듯 다시 그런현상이 없어진 적이 있습니다.
정확한 원인은 모르지만 환경변화에 반응하는 붕어의 행태가 그럴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참, 그시기는 여름철 배수로 수심이 극도로 낮아진 상태에서 였습니다.
봄에 1미터 수심이 나오던곳이 40센티 이하가 되었었지요...
그런데 그 수심에서도 월척붕어가 잘 나왔었네요...
1.찌부력변화 확인. 채비점검
2.배수 등 붕어민감요인 발생 확인.

같은 장소에서 옆으로가는 찌는 윗 둘중하나.
극복방법은. 더무겁게, 더가볍게 채비변화로 테스트
1년여 같은곳을 동일한 채비로 다녔는데 그런적이 없다는건 채비의 이상때문이 아니란 것이죠...
(찌가 깨져서 물먹은 상태가 아니라면 말이죠...)
찌맞춤을 수조에서 케미끼우고 수평맞춤을 했다면 부력때문에 그런일이 생길 확률은 0.00000000001% 미만일겁니다.
자연노지 붕어의 빠는힘 생각보다 셉니다.
징거미나 아주 작은 잡고기일 가능성 99% 입니다.
수심이 낮은곳에서 그런 현상이 많더군요..

목줄길이도 한목하구요..
현장에서 바늘달구 찌고무를 약 40cm내리고
상태를 보니 케미끝과 수평이었습니다.
제생각으로는는 오로지 붕어만님의 의견이 맞지않나
싶습니다.
며칠뒤 연휴에 결과 보고하겠습니다.
모든 분들 오짜하십시요!
저수심 대물낚시 치곤 목줄이 다소 길어보입니다.
채비의 변화가 없는데
찌올림이 다른것은 자연의 몫(붕어,현장상황)입니다
저의 채비에
거의 예신없이 3마디 이상 올리는 입질이었거든요
헌데 2주전부터
올리는 입질은 못보고
끌다가 물속으로 숨는 입질만
그것도 5번중 3-4번 헛챔질...

그러니
뭐가 잘못인가?
미낀가?
채빈가?
아님
산후조리에 따른 변환가?

혼자 끙끙 앓았습니다...ㅎㅎㅎㅎ
징거미도 그렇군요
저는
조그마하고 까만색의 작은 게
정말 낚시 힘들게 하더군요
저도 가끔 그러던데,밤에 물가에 후레쉬비춰보니 징거미가 많더군요
징거미일 가능성이 있는것 같네요
목줄 길이가 원래 그정도로 기셧나요? 저도 목줄 길이를 길게 20센티가량으로 바꾼뒤로 입질형태가 많이 바꼇습니당
살짝올려서 끄집는 입질을 많이 받습니다~
그래서 요즘은 보통 3마디 정도만 올리면 채버립니다
그거 민물장업니다, 완전 대박인데 퍼뜩 잡아땡기세여,,,
붕애입니다 옥수수를 먹지 못해 끌고 다닙니다 그ㅡ러다가 갑자기 월이가 폭! 하고 끌고 들어가던지 본신이 쭈욱 올라오기도 합니다
만일 쓰시는 찌가 오동이나 스기찌라면 한대만 목줄길이를 17정도 쓰실때 찌맞춤은 조금 가볍게(다 달고 케미 반노출 ) 맞추고 해보셔요. 속는 셈 치시고....

현 상황에서는 환경적인 요인으로 예민해진 듯 보이고...또는 붕애라고 보여지긴 합니다만....
목줄을 짧게 써보시죠,,옥수수라면 외바늘로 하심이 좋을듯 하네요 ㅋㅋ
우리가정확하게보지못하는
아주미세한예신을통하여
그러한현상이잇을수있습니다
이러한경우 거미라면
낚시대를슬그머니들어올리는
방식으로 챔질을하면 한번쯤은 징거미가바늘에걸려나오는것을
경험하신조사님들도 계실거라봅니다
짐작한건데 전자에서 말씀드린것처럼 챔질타이밍조절을통하여
답을찾는것또한 방법일수있을것같습니다
징거미도붕어입질만큼2~3마디정도올리는것은예사입니다
어제 저녁에
같은 채비를 가지고
같은 장소로 오후에 나섰습니다.
비가 내리기 전이라 바람이 조금 세게 불고 있었습니다.

헌데
이게 어찌된 일입니까?

찌가 스믈스믈 올라 오는 것이 아니겠습니까...ㅎㅎㅎ
예전에 보던 그 찌올림입니다..
잔잔한 수면에 멋진 찌올림
붕순아 고맙다!!!

이렇게
오랫만에
멋진 찌올림을 보여준 9치 붕어는
인증샷을 찍고 얼른 도루 놔주었습니다.


몇번의 찌올림을 보고싶었지만
비가 내리기 시작하였습니다.

파라솔을 챙기지 않은 탓에
아쉬움을 뒤로하고
장비를 챙기고 말았습니다.

찌올림을 보기위해
오늘은
파라솔을 챙겨가지고
출발하려고 합니다.
약20일동안 물속에 어떤 일이 일어났던걸까요?
요상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