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토욜날 밤낚시를 갔습니다.
채비:봉돌 7호나 8호
바늘:감성돔 3호 외바늘 채비
밑밥:지렁이
찌맞춤:케미 뻬고 봉돌 달아서 케미고무가 수면에 닿을정도로 맞춤
원줄:3호줄
이런 채비로 직공채비를 했는데,,,올리지는 못하고,,옆으로 살살 끄는 입질만 몇번 있었는데,,,
옆에 계신 조사님은 글루텐 직공채비로 잘 잡으신것 같던데,,,
여기에서 질문입니다.
이 시기에?
이 계절에?
지렁이 낚시를 조금 더 무게가 덜나가는 4호나 5호 봉돌로 채비해서 바늘도 조금 작게 감성돔 2호정도
찌맞춤도 조금 에민하게,,,,,,
어느 방법이 좋은지 추천내지 어드 바이스 부탁 드립니다.
글구 나의 직공채비가 어디가 잘못 되었는지,,아시는분 알켜 주세요.
참고로 아직은 글루텐 낚시 하고고픈 마음은 없고요,,,오월초까지는 지렁이 낚시만 하고 싶어요.
그럼,많은 팁 부탁 드립니다. 꾸벅!
서울에서,,,
월척 고수분들께 질문,,,
-
- Hit : 4468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2
캐미를 한마디 내놓으나 붕어아이님처럼 수평으로 맞추거나 또는 서서히 가라 앉게 맞추거나
물속에서 봉돌의 안착 모습은 모두 바닥에 닿는 동일한 상태를 보입니다
과학적인 이유는 고부력에 따른 완충작용 떄문 입니다
큰 배에 사람이 더타나 덜타나 별차이가 없는 정도로 이해 하시면 됩니다
한마디로 찌맞춤이나 채비는 모두 정상으로 보입니다
다만
설명이 부족한 부분이 있는데
직공채비의 찌가 ,관통찌인지 반관통 찌인지 일반찌를 응용한 상태인지 궁금 합니다
제 생각으로 보통찌를 직공(뽕)식으로 사용 한걸로 생각 합니다
아마도 붕어우리님은 글루텐같은 떡밥낚시쪽을 선호 않하는걸로 생각 됩니다
낚시 미끼중에 사용하기 가장 편한것이 지렁이 이지만
그에 반해 입질패턴 잡기는 미끼 중에 가장 어렵 습니다
그날 씨알이 크고 활성도가 좋으면 지렁이 낚시 도 패턴 잡기가 수월 하지만
님의 경우 잔챙이 붕어의 성화가 있는걸로 추정 됩니다
결론적으로 채비의 문제 라기 보다는
잔챙이가 잘 건들이고 입질 패턴을 잡기 힘든 지렁이라는 특성을 이해 하시고
헛챔질이나 잔입질을 당연히 받아 드리고 집중 하시면 짜증이 덜 날걸로 생각 합니다
저 같은 경우
어차피 큰 놈을 노리는 낚시라고 보고,
지렁이 여러마리 꽤기로 찌표현을 잘 읽고 타이밍을 잡습니다
찌도 고부력이 잔입질이 덜 나타나고 큰 바늘이 지렁이를 많이 끼울수 있어 더 낫다고 봅니다
바늘에 지렁이가 주렁주렁 매달려 있으면 시간도 벌고 잔챙이가 겁을 먹기도 합니다
만약 저부력,작은바늘로 가신다면 잔챙이 잡는데는 유리 하지만
잔입질이 더 많아지고 피곤해 지게 됩니다
지렁이 낚시~ 참 어렵습니다...
찌는 그냥 수초 대물찌입니다.
그럼,,님 말씀대로,,,그대로 느긋한 낚시로 가보겠습니다.
근데,,붕어 얼굴 보고 싶은 마음에,,,,
안절부절 입니다.
답변 ㄳ 합니다.꾸벅!
머 맘먹고 꾸역꾸역 삼키는 넘이야 머든 못먹겠습니까만.. 감3호 바늘이면 좀 커보이네요...
여름철 활성도 좋을때는 상관없지만.. 수온 찰때는 좀 작은바늘도 좋습니다.
전 보통 감1~5호 바늘 사용하는데요... 바늘은 작을수록 좋습니다.
제경우 바늘을 크게 사용하는건 바늘이 부러지기 때문인데요....
잉어꾼이라.. 원줄 최소 5호 진짜 둔탁한 채비는 7호까지도 사용합니다.
바늘크기는 목줄이 강도화 비슷하게 맞추는것이 좋습니다. 목줄이 강도 보다 조금 강한바늘...
얼마전 17kg 짜리 잉어도 지누 3호 바늘로 올렸습니다. 지누 2호로 잉어 향어 70~80까지는 바늘이 상하는일은 거의 없습니다. 지누 1호는 붕어용으로만 사용합니다.
가끔 지누 3호 바늘을 5치 붕어가 물고 나오는걸봅니다. 나온넘 입에 바늘을 다시 대봅니다. 이걸 어떻게 삼켰나....
참고만 하세요 ^^
또 지렁이 실한거 몇마리 달면 이넘들이 똘똘 뭉치서 크기가 엄청 커지죠
월척급 이상되야지 쉽게 먹을수 있지.. 좀 작은넘들은 다 삼기지 못해 헛챔질이 많이 나올수 있습니다.
작은넘도 달려들면 다 삼키기야하지만.. 시기상 아직 활성도가 매우 좋을때는 아닙니다.
지렁이는 잔입칠 피하고 확실한 올림이나 잠기는(끄는)입질에 챔질하는것이 좋습니다. 글루텐 같은 민감한 입질로 잡을수 있는 미끼는 아닙니다.
잔챙이들이 쭉쭉 올리고 끌고 그래서 큰 바늘을 사용해야하는 경우가 아니고, 예신만 보이고 본신을 못보여준다면 바로 바늘을 바꾸는것이 좋습니다. 좀 작은 붕어라도 얼굴은 봐야죠 ㅋㅋㅋ 감1~2호 바늘도 준비해두시면 좋습니다.
다이치 이두 8호 바늘로 잉어 90가까이 되는거 올린적도 있습니다. 바늘 크기는 다나고 약 6호 정도 보다 조금 클까요? 좋습니다 ~
이케라도 해서 허접 탈출 하고싶어요,,,
올 한해 비만붕순이로 대박 나세요.기원합니다.꾸벅!
서울에서,,,
단 깐죽대며 옆으로 툭툭 치는것과 꼼질꼼질거리다가 옆으로 지긋이 끄는 입질의 구별은 해야됩니다. 얕은 수심에서 자주 표현되는 대물입질 입니다.
역시,수심탓?아,궁금하네,,,이번주 다시 도전입니다.
찌 교체해서요,,
월님들 답변 ㄳ 합니다.꾸벅,,,,,,
거기서도 차이가 생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