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유동채비와 사선입수 ??

안녕하세요..^^ 제가 유동채비를 사용하고있는데 질문드리겠습니다. 유동찌채비의 간격이 넓을때와 짧을때 어느쪽이 사선입수가 적어지나요?? 제가 질문을 잘 적은것인지 ... ^^

유동채비의 장점중 하나가 사선입수가 적다는것입니다.
유동거리가 길다면 사선입수의 확률이 적어집니다.
물론 찌맞춤은 0점일때를 전제로요~~
수면을향해 던진 채비가 일자로 펴져서 수면에 떨어진뒤 봉돌이 먼저 가라앉게되는데
찌의 부력이 그것을 잡아줍니다.
고정찌의 경우 수심 2m일때 봉돌이 먼저 가라앉는 범위가 큽니다만,
유동채비의경우 아래쪽 스토퍼가잇는 5~60cm정도를 먼저 봉돌이 가라앉고
그상태에서 찌가 버텨주면서 윗스토퍼까지 이동합니다.
찌가 이동하면서 찌밑 수직부분에(혹은 그에 가깝게)봉돌이 따라오면서 2m위치에 왔을때
봉돌이 바닥에 닿습니다.
이런이유로 사선입수가 줄어드는것인데
유동폭이 크면 사선입수는 거이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단 지맞춤이 0점이나 가벼운 맞춤일때요`~
대물낚시할때의 무거운채비는 부력보다 침력이 강해서
사선입수를 피할수 없씁니다
그래도 조금은 줄일수 있겟지요`~^^
케미의꿈67님이 자세하게 답변해 주셧네요.
채비를 들었을때 밑의 찌고무가 찌캐미가 봉돌에 닿을만큼,
그리고 윗멈춤고무는 수심에 맞추심 어느정도 유동거리가 나올겁니다.
밤낚시할때도 캐미만 잡으면 봉돌높이와 같기때문에 편안하게 잡을수있는 잇점이 있습니다.(대물낚시일경우)

반면 흔히들 떡밥낚시 예민하게 하시는분들이 유동채비인데도 떡밥을 빨리가라안게하려고 거의 유동을 주지않는분들도 있습니다.
님의 낚시 스타일에따라 유동간격은 차이가 나리라봅니다.
내림이라면 모를까 걍 0점 맞춘
찌로 바닥하시면 미끼가 엄청무거운거 아니면
사선은 거의 생기지않습니다
사선은 염두안하고 낚시하셔도되겠네요
답변주신분들 감사드립니다.
또하나 배우고 갑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