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물원줄에서 카본은 침력이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 카본, 나이론(세미)원줄의 장,단점에 대한 것은 알고계시리라 믿고 언급을 하지 않겠습니다
침력극복을 위한 방법을 제안해봅니다
찌와 초릿대사이에 생기는 원줄침력을 해소하기 위해 그 위치에 소부력 찌를 하나 더 추가하면 해결되지 않을까요?
- 정밀하게 맞춘다면 세미줄 처럼 표면 약 20~30cm에 위치하도록도 할 수 있겠지요
소부력 찌도 되고요, 아니면 알갱이로 된 스치로폼(칼로깍아도 될 듯) 등등
* 봉돌 -- 찌 ----( 침력방지 극소부력 찌: 위치는 연구필요) ---- 초릿대
ㅋㅋ 어떨까요, 돈키호테 같은 발상인가요
아니면 이렇게 하고 계신분이 있는지요
의견 여쭈어봅니다
-
- Hit : 3034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9
분명 침력에 의하여 다소 둔감할 수 있으나 물이 많이 흐르는 곳이나 대류가 심한곳에서는 모노나 세미플로팅보다도 장점이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물론 위에 제시해주신 방법은 좋은 방법이지만 수심에 따른 길이변화와 부력 변화를 해결해야 할듯 하고 굳이 카본라인의 특이점이라라 할 수 있는 침력을 없앨 필요는 없다고 생각되네요..
하지만 아트피셔님같은 생각이 낚시계의 새로운 혁명을 이루리라 생각합니다.
조력 짧은 초보조사의 의견입니다. 선배조사님들은 어찌 생각하실지 모르겠네요 ㅎ
노지에서는 동 방법이 단점일 수 있구요
아마 양어장에서는 어떨까해서요?
하도 신기해서 여쭤보니, 님이 말씀하신 부분과 상당히 일치합니다. 제가 봤을때 카본원줄이 가라앉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는 있는 것 같더라구요.
아마 바다낚시에서 사용하는 스텔스? 부력체를 찌와 초리실 사이의 원줄에 달아 놓은 듯 보였습니다.
제 짧은 생각이지만, 소부력체를 사용해서 카본줄이 수면과 가까워지게 되면, 바람이라도 불게 되는날엔 소부력체가 수면에서 슬슬 표류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렇게 되면, 바람이라도 부는 날엔 수면에서 떠다니는 부유물과의 엉킴현상도 발생하지 않을까용? 그냥 제 짧은 소견이였습니다.ㅠ_ㅠ
님의 아이디어에 추천을 ~!
498하시옵소서~~^^
벵에돔용 목줄찌 채비로 연구해봤던 일인~ ㅠㅠ
연주찌 검색해보시면 이해가 빠르실듯하고요.
원줄 뿐아니고 바닦상황 안좋을시에 바늘을 부상시키기도 합니다.
침력도 작고 기타 예민한 채비 상황에 맞게 응용하면 개인적으로 만족하고 사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