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시간상 노지는 생각도 못하고 아직까지는 주로 가까운 유료터만 출조하는 조사입니다..^^
가는곳이 워낙 잡탕이라 이것저것 다 나오는데요..ㅋㅋ
얼마전에 향어 60정도 걸어올렸는데 향어입에 아래사진같은채비가 걸려있더라구요..ㅎ
분명 어느조사님 채비가 터져나간듯싶은데...
제가 처음보는채비여서 무슨채비인지 또 이채비에 장,단점이 있는지 알고싶네요
지금현재 저의 셋팅은...
다이아플렉스 신수향 3.2 쌍포 주력대이구요 (해마2마리)
원줄은 시가에이스 3호 사용하며
찌는 나루예 50센티 (고리봉돌3~4호)유동으로 사용하고
목줄은 당줄 2호 (목줄만 터짐채비)
바늘은 붕어바늘 5~7호 (2봉채비) 단차이 2센티 입니다
이채비로도 아슬아슬하게 렌딩후 걸어올리는 재미가 솔솔하더군요...ㅋ
아무튼 알고싶습니다...




원봉돌 변형채비..
크게 장점은 없어보입니다만...
불편하고 복잡하고.
유료터 저수온기(동절기)에 찌맞춤만 잘해놓으면
반에반마디~한마디에 제대로 윗입술에 입걸림돼서 나오는
아주 예민한 동절기 짜장붕어 승부할때 효과적입니다...
바늘묶음은 양쪽 철사편대식으로 하면 더욱 더 진가를 발휘하죠...
아마도 위코프 편대채비인가?? 고넘과 비슷한 원리라고 보면 됩니다...
그런데 노지에서는 별로 추천은 안드리고싶네요...
아직 검증은 돼지않은것 같습니다.
위 사진과 비슷한 채비같습니다.. 참조해보세요..
스토퍼가 있는걸본니까 유동으로 분납을 하려는거 같네요.
양재 낚시박람회에서 위코프에서 본 기억이 나네요 부분적으로 팔면서 복잡했어요
찌를 많이 올려주고 예민하다고 하는데 ....투척시 엉키고 힘들것 같아서 저는 밑부분 반달형같은 편대만 구입했어요
구입은 했지만 사용을 못하고 보관만 하고 있읍니다 장단점은??????????????
위코프도 해보고..
얼레벌레도 해보고..
내림도 해보고..
개인적으로 원봉돌이 제일 깔끔하고 편했습니다. ^^
지식채비는 그야말로 종류가 무한대에 가까워서 동네마다 그 기원이나 스타일이 천차만별인것이 특징이죠
어떤 학자는 물고기 지식을 많이 겸비한 노조사들의 전유물이라는 이상한 학설을 펴기도 하는데 알고보니
학계에서 연구논문 한편없는 뜬금없는 헛소리로 밝혀져 지식채비와 지식인들과는 아무런 연관성이
없다는게 일반적인 시각입니다
지금은 대중화된 슬로프 낚시도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 보면 원래 지식채비에서 파생됬다는걸 알수있듯이
지식채비를 무조건 부정적인 시각으로 볼수도 없으므로 앞으로 많은 조사님들의 끊임없는 연구와 노지에서의 실험으로
검증된 채비가 탄생하길 기다려 봅니다
자신만의 채비를 연구하고 잡는 재미도 쏠쏠하답니다.
저 또한 남들과 틀린 채비로 하고 있지만 조과는 비슷하네요.
나름대로 궁금합니다.
지금 그림에 나와있는 황동 분할추와 본봉돌(편납)의 무게배분으로는 9:1~8:2 정도의 배분 같은데 잔챙이 없이 오로지 붕어만있다면 상당히 예민합니다 .. 요즘같이 활성도가 좋을때는 작은바늘 보다는 좀 크고 경량인 바늘이 후킹이 더 잘 되더군요
잉어나 향어 대물이 물면 목줄보다 원줄이 터지겠네요. 아님 대가 부러질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