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양어장 초보꾼으로서 좀 의아하기도 하고 도저히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손맛터에서 현장 찌맞춤을 하는데, 제가 던지고자 하는 포인트 즉 찌를 세울 자리에 찌를 넣어 찌맞춤해 보면 찌 두마디가 노출되는 상황이구요. 그 주변 좌우 앞 등으로 던져보면 모두 서서히 내려가서 찌꽂이 하단에 딸깍맞춤이 되는 상황입니다. 수심도 일정하고 장애물이나 수초도 전혀 없는 상황인데도 수십 번을 던져봐도 결과는 같았습니다. 원래 양어장이나 손맛터에서의 현장 찌맞춤이 이렇게 힘든가요? 그리고, 이런 현상이 흔한가요? 그동안 노지에서 찌맞춤 별로 신경도 안 써오다 예민하고 정밀한 찌맞춤에 처음 신경 쓰다보니 너무 어렵게만 느껴지고, 양어장 고수님들이 새삼 참 대단하게 느껴집니다.
첫번째 질문입니다.
왜 이런 경우가 발생하는지 그 원인이 궁긍하네요?
그리고 두번째는, 이런경우에는 내가 던지고자 하는 투척지점에서의 찌맞춤을 기준으로 삼아야 하는지, 아니면 다른 투척지점에서의 찌맞춤들은 다 동일하게 나왔으니까 그걸 기준으로 삼아야 하는지요?
안 그래도 날씨가 차가워지면서 입질도 까칠한데다 찌맞춤을 의심하며 계속해서 우왕좌왕 갈피를 못 잡다보니 초보의 한계를 뼈저리게 느끼고 돌아 올 수밖에 없었네요.
환절기에 모두들 건강하시고, 많은 조언을 부탁드리겠습니다.
이런 경우엔 현장 찌맞춤을 어떻게
-
- Hit : 7021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2
봉돌이 무거운 상태서 수심을 찾으시고 30센치정도 찌를 내려 찌맞춤을 하시믄 댑니당
찌를 20 ~30 cm 더 내리고 투척해보시면 더 정확하지 않을 까 합니다..
또 한가지는 매번 현장찌맞춤하기가 사실 쉽지만은 않습니다.. 시간도 그렇고요..
자기만의 경험적인 수조와 현장찌맞춤의 부력차이 (예를 들면 수조3목맞춤해서 현장에서 봉돌까지만 단 전체 채비로 확인했더니 케미하단 바로 아래라더라.. 등등)
를 만들어 놓으시면 낚시가 보다 쉽지 않을까합니다.. 그러면 계절/장소에 따라 수조맞춤목수 조절만으로 보다 쉽게 현장목수를 비교치로 조절하능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를 기준으로 보다 무겁게, 가볍게 등을 보다 수치(계량)적으로 하게 되고, 출조해서 바로 찌맞춤 확인 만하고, 낚시하면 되는 것이죠.
주변에 던졌을때 서서히 내려가서 찌꽂이 하단에 딸깍맞춤이 되는 상황" 이라 하셨는데 찌맞춤은 제대로 된거로 보여집니다.
우선 낚시할 포인트에 대충 수심을 찾은후(찌맞춤되어있는경우나 봉돌이무거운경우를 전제하에 찌가 5~6목정도 노출되게 )
찌를 봉돌방향으로 30~40cm 내린후에 투척하면 찌맞춤이 되어있는경우라면 서서히 내려가서 찌꽂이 하단에 딸깍맞춤이 되는 상황" 되는것입니다.
찌가 잠길경우나 노출될경우 봉돌을 가감 해서 찌맞춤 해주시면 됩니다. (요기까지가 찌맞춤되겠습니다 )
이후에 낚시할 포인트에 던져 찌가1~2목정도 나오게 하고 낚시하심되겠습니다.(요부분이 정확한 수심이 되는것입니다.)
님들께서 말씀하시는 기본 요령대로 찌맞춤을 했구요.
다만, 수심측정할 때 전후좌우 바닥높이 탐색을 하잖아요? 그것과 비슷하게, 찌맞춤을 위해 찌를 던지는 위치를 조금씩 변경시켰을 때 위와 같은 결과값이 나왔다는 얘기입니다. 수십번을 던지고 던져도 똑같은 현상인지라 그런 현상은 왜 발생되며, 그렇다면 기준점을 어디에다 두고 딸깍맞춤을 해야 하는가 하구요. 결국 찌맞춤의 기준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찌 두마디 차이로 무거울수도 가벼울수도 있는 상황이라는 말씀.
찌 맞춤을 위해 바닥 탐색을 하신다는건 불필요한 행위가 아닐까 합니다.
봉돌이 바닥에서 떠 있다면 찌맞춤이 가능한것이고요. 정밀한 찌맞춤을 한다고 봉돌을 2~3CM띄워놓고 찌맞춤을 한다면 어려울수있습니다. 그렇기에 30~40CM 찌를 내
려서 찌맞춤을 하는것입니다.
2번질문) 찌 맞춤은 낚시 할 포인트에 던져서 수심체크후 찌를 30~40CM 내리고 찌맞춤합니다.
그런데, 바늘은 안 단 상태에서 스위벨 봉돌을 바닥에서 50cm가량 띄워서 찌맞춤 했습니다. 바닥여건이 고른 곳이라 봉돌이 혹여라도 바닥에 닿을 일은 전혀 없구요.
그렇다면, 봉돌이 분명히 바닥에서 충분히 떠 있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어떤 다른 이유로 인해 찌맞춤시 찌를 집어넣는 위치에 따라(위치만 다를 뿐 수심은 같습니다) 찌의 목수가 다르게 표현되는 것인지 그게 궁금합니다.
바닥을 읽는능려
물속바닥상황이 너무 고르다만생각하지마시고
수심이왔다갔다하면 높낮이가 틀린거라고생각하시어요^^ 스위벨이 바닥을 잘읽습니다~
다른 찌가 안착이 잘 됐다하여 다른 찌도 그렇게 맞아떨어지는것이 아니니까요...바닥을 잘 파악하는것이 그날의 조과를
좌우하오니 한가지로 고집하지마시고 봉돌의 조율을 잘해서 손맛을 느끼시기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