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쌀봉돌채비를 사용하구요. 원줄: 카본 2호, 목줄: 당줄 2호
유료터 말구요 저수지에서...
찌맞춤하고 찌톱을 한마디만 내놓고 사용합니다.
글루텐 집어제 짝밥낚시를 하거나 양바늘다 글루텐을 달아서 사용할때...
찌가 천천히 내려가서 케미고무갔지 내려갔다가 또 천천히 한목만 올라옵니다. 한번더 그럴때도 있고요. 이번에는 천천히 찌톱 한목만 올라와서 다시 한목만 내려갑니다. 그러기를 여러번 합니다. 한번에 2마디만 쭉 올라와도 챔질을 하겠는데...
천천히 한목씩 내려갔다 올라왔다 합니다. 챔질을 몇번 해봤는데 헛챔질 이구요.
그렇게 참다가 2마디 쭉 올라왔을때 챔질을 했을때는 봉순이 얼굴을 봤구요.
시원하게 2마디 쭉 올라올때가 별로 없고 한목씩 천천히 내려갔다 올라왔다 하는게 먹고 있긴 한건가요?
그래서 글루텐을 바늘만 가릴정도로 작게 달아서 투척해도 역시 마찬가지 입니다. 천천히 한목씩 올라갔다 내려갔다. 한 2~3분을 그러다가 찌가 가만있으면 글루텐만 다먹은것 같아서 다시 글루텐달아 캐스팅 합니다.
이게 왜 그런건가요? 입질이 예민해서 아주 조심성 있게 먹는 건가요?
이런 입질시에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
- Hit : 7954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3
좁쌀이 안착이 되어 있지 않은것 같습니다
좁쌀채비 역시 바닥에 좁쌀이 반드시 닿아 있어야만
멋진 찌올림을 만끽할수 있습니다
해결책은 찌를 한두마디 더 내어놓고 낚시 하시거나
조금더 무거운 맞춤으로 전환 하시면 깔끔한 입질 받아 내실수 있을거라 생각 합니다
좁쌀 채비시 좁쌀이 바닥에 안착되는지 확인하고 싶으시면
좁쌀에 떡밥은 달아 투척해 보시거나 좁쌀에 편납을 살짝 감아 투척해보시면
바로 답 나오실겁니다
제 경우 무바늘 상태로 캐미 끝이 수면일치 되도록 다소 무겁게 하더라도 찌 올림 좋았습니다..
찌맞춤을 언제나 너무 정확하게 맞출려고만 노력했었는데 조금 무겁게 맞춰봐야 겠습니다.
너무 정확하게 맞출려고 하다 좀 더 갂아서 쇠링을 추가 했었었는데.
약간 무겁게 맞춰야 겠네요. 좁쌀봉돌도 작은거 하나를 더 달아서 해봐야 겠네요..^^
좁쌀봉돌을 좀 크게가거나 찌맞춤을 무겁게 가는것 찌톱노출을 두마디 하는방법 여러가지가 있겠고 원줄을 모노로 바꾸는것도 추천드립니다
저수온기에 서리가 내리면 서리무게때문에 두마디 세마디를 내놔도 가라앉기도합니다
원봉돌이 떠있는채비의 단점중에하나입니다
바늘만 바닥에 닿으면 입질형태가 그렇게 표현이 됩니다...약간 무겁게 채비를 맞추시면 해결됩니다...그리고 떡밥낚시는
무거운 카본사말고 모노줄을 추천합니다...^^
일반적으로 노지는 너무 가벼우면 이런 현상이 생깁니다
늘 저도 한수 배우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