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이봉채비vs스위벨채비

안녕하세요^^ 이봉채비만을 고집하다가, 스위벨채비로 1년정도 사용을하고있습니다. 물론 좋은 채비인건 맞습니다만.. 깔끔하지 못한입질.. 채비의 번거로움.. 등등이 겹치면서 이봉채비로 다시가야하나.. 하는 고민에 빠졌습니다. 본인의 채비에 믿음을 가져라.. 저또한 그리마음가짐을 가지지만.. 왜 자꾸만 혼란스러운지.. ^^ 이봉을 가자니.. 요샌 너무들 분할을 사용하니.. 붕어도 그만큼 예민한 입질에적응되어있어서 혼자만 뒤쳐지는 느낌이들고.. 스위벨을 가자니.. 예전 그 편하고 시원했던 입질이 그리워지고.. 100%로 춘천 댐낚시만을 합니다. 여러분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어찌하오리까~~~

죄송합니다만...
이봉채비가? 어떠채비를 이봉채비라하나요?
저도 스위벨채비 합니다. 입질이 약한 시기에는 스위벨쓰고요. 여름과 가을에는 이봉채비 무겁게 씁니다.
주로 강원권만 다니다 보니간 나름 터득한 것입니다.
스위벨 채비 찌맞출때도 케미만 살짝 보일정도로만 간단 모드로 합니다.
올해는 댐출조해서 재미를 못봐서 갈등중입니다.
평택으로 갈까???ㅎㅎ ㅎㅎ
나름 최대어 기록을 가지고 있습니다. 배스71센티
아마도 국내최대어 일거네요.ㅎㅎ 혹부리 한수하세요 ㅎㅎ
저두 가끔 그런 고민을 하는데요...
스위벨채비가 입질이 이봉채비만큼 시원하지 않은 느낌입니다.
특히나 2마디쯤 올려두고하니 그만큼 찌 올라오는 구간이 줄어 들어서 그렇게 보이는것인지?
아니면 찌올림 자체가 시원하지 않은것인지 그게 궁금하던데요,,
관리형 저수지의 경우 입질을 받아내어 고기를 잡는거 자체로는 스위벨채비가 더 확율이 높은것 같습니다만,,
시원하고 깔끔한 입질만 본다면 이봉채비가 좋은거 같습니다.
이봉VS스위벨

양방이나 노지 저수온기 어류들의 활성도가
떨어진 시기는 스위벨이 조금은 나은것 같고요

고수온기 어류들의 활성도가 왕성한 시기에는
이봉 바닥안착 채비에도 무리는 없는것 같읍니다

스위벨 찌마춤 의외로 까다롭고 정확한
찌마춤을 하여야 하고요

스위벨이 정확히 바닥에 안착 되어야
스위벨의 깨끗하고 시원한 찌오름을
볼수 있읍니다
옛날에는 별의별 채배 다 써봤지만 지금은 이봉채비만 씁니다
양어장 다닐때에는 왜 내찌는 안올라오지,꿈틀거리기만하고,무거워서 그런가 별의별 생각 다했던 그런 시절이 있었지요
저는 이렇게 채비를 합니다
입질 좋을때에는 무겁게해서 중후한 맛을 보고요 ,입질 약할때에는 저푼찌를
분할봉돌채비는 노지에서 쓰기엔 버가로움이 많읍니다
채비 안착 시키느라 식음땀이 흐릅니다
낚시는 단순해야지 복잡하면 안되지요
즐기는 낚시이어야지 고기를 잡는 어부가 되서는 안된다는 말이지요
저는 이봉채비를 추천 합니다
저도 스위벨쓰는데 할때마다 믿어야하는데 할때마다 불안하고 스위벨이 바닥에 닿나싶기도하고 낚시가 점점 피곤하더라고요 이봉으로 바꿀려고요
답변주신 모든분들 감사합니다.. 즐거운 한주시작하세요^^
스위벨은 찌맞춤을 편대마냥 아주 세밀하게 오링으로 맞춤하면 이봉채비 버금갈정도로 훌륭한 찌올림 표현이 나옵니다.

이봉체비 방랑자채비 좁쌀분할채비등등...자신에게 맞는 채비가 분명있는듯 합니다...

너무 스트레스받지마시고 제일 잘 맞는 채비를하심이 좋을듯합니다~^^
스위벨 또는 좁쌀 봉돌 모두 깔끔한 찌올림을 원하신다면

찌맞춤시 본동볼과 스위벨 달고 바로 찌맞춤하시지말고 본봉돌만 달고 찌탑 모두 나오도록 찌맞춤하신후

찌탑을 잠기게 할수있는 스위벨 적당홋수를 달고 하시면 다소 해결되긴 합니다.

스위벨이 무거워도 상관없습니다. 그럴경우 본봉돌을 더 깍아도 무방합니다...

예민함을 선호하다보니 스위벨이 점점 작아지는 분들이 많은거같습니다만.....

부력에 맞지않게 너무 작은 스위벨을 다시면 오히려 찌올림은 좋지않은거같습니다 (목줄과 당줄의 휨 현상때문)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붕어님 말씀하신거 동감합니다.
예민하게 맞추기 위해 스위벨이 비율이 너무 작아지면 피곤해집니다. 특히 두꺼운 원줄일경우

전 관리터에서 스위벨 체비가 찌올림이 더 시원했던것 같습니다.
너무 예민하게 맞춰서 찌 올라갔다 떨어지는 표현이 자연스럽지 못한 부분은 있지만.. 올라가는 모양은 참 맘에듭니다
저도 이번에 고삼지로 4박5일 낚시가서 스위벨채비를 주력적으로 사용하고 두대만 방채비 하고 사용 했는데, 방채비에서만 몇번 입질들어왔습니다..
수심 은1m이내였고 버드나무 포인트 였습니다. 스위벨채비는 바닥이 고르지 못한게 심하다 보니 투철할때마다 찌높이가 달라서 짜증나 죽는줄 알았습니다.. 더군다나 입질이 너무 안들어오다 보니 별생각 다되고 스트레스 완빵입니다.. 다른분들은 토종4짜에 월척에 떡5짜에 몇마리씩 잡고 나오시는데... 철수 하시는분 중에 4짜한수에 39한수 턱거리2마리 잡으신분 혹시나 찌맞춤을 물어보니 기냥 기본채비인 바늘빼고 수면과 일치하는 수평마춤으로 하셨다고 애기들으니 정말 까스이빠이 받더군요.. 그분말씀이 노지에서는 너무 예민하게 맞추면 오히려 입질안한다고 안정적인 찌맞춤이 좋다고 애기하니 저도 앞으로 노지에서는 그냥 예전에 내가 많이 사용하던 바늘달고 수면일치 찌맞춤하는 기본 맞춤으로 하려구요..그러고 케미만 내놓고 하는게 제일 좋은것 같다 생각되더군요..
스위벨채비 찌맞춤만 잘 맞는다면 찌올림 좋습니다..
이상적이라 생각되는 스위벨은 일단 원봉돌만 달았을때 찌 몸통 윗 부분이 살짝 잠기는 상태에서..
스위벨 달았을때 케미가 잠기는 녀석으로 하시면 좋습니다 그 상태에서 원봉돌을 깍아서 찌맞춤하시면 되구요..
필요에 따라 현장 찌맞춤하시되 입질 패턴을 보시고 부력 가감용 오링을 적절히 사용면서 대처하세요..
주로 노지 출조하시니 스위벨은 4~5호를 사용하시면 좋겠네요 수초공략 위주가 아니라면 원줄도 필요이상으로 굵게 사용하지마시고요..
네.. 모든분들 답변덕분에 많이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스위벨 계속 빠는 입질 나오면 정말 짜증나요
이게 바닥에 스위벨이 안닿아서 빠는 입질이 나오는건지 고기가 빠는입질만 하는건지
도통 모르겠더라구요 그래서 찌를 두목 세목 내목 올리다보면 이게 낚시인가 하는생각도들고요
거기다가 그렇게 올려 놓으니 당연히 움직임도 잘 안느껴지고 바람불면 기우뚱 거리고
정말 낚시같지 않아서 그냥 외봉돌 예민한 찌맞춤으로 돌아왔습니다
외봉돌 예민한 찌맞춤이 예신 본신 중우한 찌올림까지 삼박자 쿵짝쿵짝쿵짜자쿵짝 아차 이건 내박자내요 지송...
ㅎㅎ.. 간당님에게 맞는 외봉돌채비로 즐거우신거같아 좋아보이네요^^
노지 수초권, 저수심에서는 분할, 스위벨 채비 불편하죠.
분할, 외봉바닥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지만, 분할의 장점은 있는것 같습니다.
저 같은 경우, 편의성때문에 노지에선 분할채비가 꺼려집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