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이붕어떡인가요?ㅋ

아까잡은건데요 떡인지토종인지궁금합니다~
이붕어떡인가요ㅋ (월척지식 - 전통바닥낚시)
이붕어떡인가요ㅋ (월척지식 - 전통바닥낚시)

토종 맞고요, 요렇게 머리크고 저런 턱모양의 붕어가 크면 정말 참한 체형이됩니다.
보통 산속 깨끗한 소류지에 서식하는 붕어종류인데 좋은 못이니 잘 간직하세요~^^
땟깔좋구. 자~알~~생긴 토종붕어입니다 ..
머리부분 사진이 있으면 더 정확히 알수 있을듯 합니다.
눈하고 입부위만 빼고 나머지 부위를 보면 100%토종입니다.
튀어나온 눈알을 보면 잡종의 냄새가 약간.....
하지만 눈이랑 입쪽을 정확히 찍은 사진이 없어서.... 입 위치도 정확히 봐야 판별이...
계측자 입대는 부분에 눌려서 입이 위쪽으로 올라간 것 처럼 보일수도 있고, 눈이 바늘에 후킹되서 약간 튀어나왔을수도 있고요 ^^
위 사진만으로는 토종이라해도 이상하지는 않는 정도 입니다.
9치급 이하의 어린붕어들은 체형이 제대로 잡히지 않아서 얼핏봐서는 긴가민가한 경우가 꽤나 있죠.
얼굴은 영아닌데
몸매는 그럴듯한
어찌보면 희나리같기도하구
그넘참~~
헷갈리게생겼넹
소중한답변들감사합니다~ 밤하늘의별님 산속소류지맞추시다니 대단하셔요 정말감탄했습니다~ 참여긴떡붕어도같이있데요~
눈알모양과 크기로보니 떡순이(토종은 눈알이 떡보다 작고 튀어나온 것이 덜합니다)

아래턱선이 각이 진 것으로 보아 떡순이

(1)주둥이부터 아가미까지의 길이 대 (2)아가미부터 등지느러미까지의 길이 비교해보아도 떡순이
(토종은 1번 길이보다 2번길이가 더 길지만 이 붕어는 1번길이가 2번길이보다 더 길거나 같아 보임)

채색도 떡순이(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꼬리지느러미의 형태가 갸름하고 날카롭게 생겼으니 떡순이(토종은 둥그스름 합니다)

체형이 전체적으로 날렵하고 체고가 높지 않은 걸로 보아 숫놈같아 보임(암놈이라면 뱃속에 알이 들어 체고가 높아질 시기임)

전체적으로 여러가지를 보았을때 본인 생각은 떡붕어가 맞는것으로 판단됩니다
떡인데요
저희 동네 떡과 똑같이 생겼네요
초반의 댓글을 다신분들은 토종이라 하셨는데, 제가보기엔 떡붕어같습니다.
전체적인 체형보다도 일단 눈이 큰게 토종쪽보다는 떡붕어쪽에 가까운것같습니다.
위의사진을 여러각도에서찍어올려놓으셨더라면
비교분석하기가쉬웠을것같은데 좀아쉬운면이있네요
육안으로 구분하기쉬운 방법몇가지올려봅니다
비교해보시고 판단하시는데 도움이되셨으면 하네요

토종붕어
금빛황갈색이나청갈색을띠고 주둥이는 바닥먹이를 흝어먹기에 좋게끔
길게뻗어있음
주둥이를손가락으로 당겨보면 알수있으며
입을다물었을때 안쪽으로 살짝경사져있음(대략10도정도)
비늘의 측선수는 평균 28~30개입니다

떡붕어
은색이나황갈색을띠며 머리가큰편이라는거 다들아시죠?
눈은 입을기준으로 약간 아래쪽에위치해있어 토종붕어의눈위치와 구별됨
비늘의 측선수는 토종붕어보다많은 30~33개라는거 저만아는사실은
아닐것같네요

희나리
토종붕어와떡붕어의 혼합물인거죠
한마디로 짬뽕이라할수있겟습니다
머리는 떡붕어어비슷하며 채색은 은빛색이대부분입니다
외형상 떡붕어와구분되는 가장큰특징은 측면상단에 세로줄무늬가 비늘을따라
선명하게 있다는점이고요
크기는토종보다크며 떡붕어보다는 작고 비늘이작아 토종과확연하게
구분되는대목이라 할수있겠습니다

꽃샘추위가기승을부리고있지만 그래도 붕얻들의 산란을 막지못할거란생각이드네요
산란이임박해져있는 대박포인트를찾아
오늘도 열씨미 달려볼까합니다
운칠기삼의뜻을 되새기며하루를 출발합니다
어복충만하시길...






`
함안낚시님께서 올리신저넘은
떡이라는생각입니다
언뜻보기에
저도처음에는 희나리로착가을하였는데
떡이맞는것같네요
완전하게 떡으로 보이지는 않네요~
제 경험상 계곡지 토종붕어로 보입니다.

충청북도 산골 계곡지에서 낚시하면

이런 붕어가 올라오더군요.
입 모양은 제가아는 계곡지 처럼 같은데 꼬리 모양이 좀 특이하네요..

산속 소류지인데 토종인데 입이 저 붕어와 같아요.. 입ㅈㄹ도 쑥올렸다가 빨고 들어가는 입질도 많았고...

붕어가 굉장히 단단하고 힘이 좋지 않던가요..

토종 같은데 애매하네요...
거기 어딘지 알려주시면 제가 잡아서 확인해보겠슴당ㅎㅎ고놈 알쏭달쏭하게 생겼네요ㅎ토종같은디ㅋ
얼굴이 떡같아보이는 토종같아보입니다
토종입니다.. 아주 못생긴 토종이요.. ㅎㅎ

그러나 힘은 끝내줍니다...수심 2미터권에서 6치에서 피아노소리가.. ㅎㅎ
눈알 내리깔면 떡으로 알고있습니다
..
떡이라 하신 분들....참 어지간하네요..
척~! 봐서 토종인지 떡인지 분간 못 하시는 분들
낚시를 땔 치세요..ㅋㅋ흐~
이놈들 도 좀구분해주세요^^





세놈 어떻게 보이시나요^^
요즘 토종인것처럼 위장한 중국붕어에 익숙한 많은 분들이 토종은 턱이 반듯하고 꼬리지느러미가 부채처럼 둥근줄로만 아는분들이 많아서 그런것 같습니다.

사진의 붕어종류는 일반 평지형에서는 보기 힘들고 주로 사람 발길이 잘 닿지않는 깊은산골 소류지에 서식하는 보기드문 종입니다.

위에 몇분이 말씀하셨듯이 꼬리지느러미가 크기에 당길힘 또한 장사이며, 머리와 주둥이또한 커서 먹이를 취이할때 상당히 공격적입니다.

일반 노지에 무분별하게 퍼져 토착화 되어있는 중국붕어에 익숙한 분들은 토종을 정확히 분별해 내기가 어려운 게 사실입니다.

보통 떡붕어, 희나리는 상대적으로 분별이 쉽다고 자신하는 분도 오류를 범할때가 많습니다.
그리고 사진의 붕어처럼 쉽게 접하기 어려운 종류는 더욱 그러하겠지요.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먼저 토종붕어와 중국붕어를 구별하는 안목을 기르는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미디어에서조차 인지도 있는 분들이 중국붕어를 토종붕어인양 의기양양하게 들고 있는 모습을 볼때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길 없더군요...
위 사진중 맨밑에넘은 떡이 확실하네요.. 위 두넘은 토종같습니다..

눈 깔면 떡이라시는분들... 좀....ㅋㅋ;;;
희나리사진이없어서 못올렸네요 제사진두분답주셨는데 다르네요

붕어낚시 하면 붕어구분은 다는몰라도 희&떡:붕어정도는구분하심이

희나리와떡은 구분하기가 저도몰라요 비슷한넘들은 중국붕어도 산란한 2세대붕어는 전구분못합니다

성어만대충 중요한부위만 붕어와다르다는정도 입술이주름이두개 붕어는세개 나머진비늘등등요

산란을지이어갈수록 토착화되겠죠

붕어낚시하시는 분들이 모르신다면 붕어에대한 예의가 아니죠^^ 붕어도사람입니다 물속에사는 물사람요^^

아시진은 붕어(모단못)붕어(신지)떡(신지)입니다 2번아리송하나요 전 잘생긴붕언데요
원글 붕어는 히나리~

댓글 붕어는
1.토종2.히나리 3.떡~
이십년 전 군위 산속 소류지에서 잡은 사짜붕어입니다.
꼬랑지보니 떡 같습니까?
1번 붕~어 , 2번 붕~~어 , 3번 붕~~~어 입니다~~~
참고로 올려드립니다~^^
1995년 11월 중순경 처음 못을 발견하고 며칠 후 첫 밤낚시때 함안낚시님께서 올리신 저렇게 똑같이 생긴 녀석들로 7~8치로 삼십여수를 했지요.
.
.
.
그리고 그 다음해 4월초에 두번 째 공략해서 사진에 있는 비슷한 놈으로만 세수를 했습니다.
물론 잔챙이는 전혀없이요.
주댕이보니 확실히 토종 맞지요~^^

우리 월척 회원님들 답이 다 다르네요
물론 정답도 있겠고 오답도 있겠지요
물론 자기 생각을 말한다는것은 흉이 아니지만
질문 하신분 이나 진짜로 모르시는분이 배울수 있게
잘모르시는분은 댓글 을 자제 하여 주셨으면 합니다
토종이 확실할 겁니다.

집에서 차로 5분 거리 산속에 자리한 2천평 남짓한 소류지에 저런 붕어가 많이 잡힙니다.
턱이 크고 세서, 생미끼에 강세를 보이는 곳입니다.
물론, 검튀튀한 4짜도 튀더군요.

새우만 넣으면 4치~8치 정신없이 물어줍니다.






그리고, 쉿할말만님께서 올려주신 붕어 세마리는,
토종, 토종, 떡인 것 같습니다.
저도 집근처산속자그마한소류지에 저런토종많이 봣어요
거기는 새우도많고 참붕어도많은데 못먹은것처럼 대가리만크고 몸은홀쭉하데요..ㅎ
낚시하시는분들 똥고집 다들 아시죠~~??!!
달보고 해라고 한다고 달이 해가 될수
있는가요~~??
아...토종이라 생각 했지만....
글읽다가 딜레마에 빠집니다
체구나 체색을보면 토종이 맞는것 갑습니다
그런데 눈을 보면 토종은 눈이 저렇게 뒤집혀 지질않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 경험상으로 봤을때는 교잡으로 보입니다....
얼마전 함안수로에 낚시를 하였습니다
70%가 저런형태 였습니다
그때도 지인들과 토종이다?희나리다?떡이다?
말이 많았습니다
결국 지인께서
중층낚시 프로연맹에 문의한 결과 교잡일 확률이 높다고 하셨네요
그분도 처음에는 토종인듯 보였다고 합니다
정답은 아닐수도 있습니다
오해 없으시길....
함안낚시님의 사진은 토종도 떡도 아닌 교잡종에 한표던지고, 쉿할만만님의 사진 3번은 확실히 떡이네요 ㅎㅎ
원글의 붕어는 토종으로 보입니다.

함안낚시님의 사진은 1번 토종 2번 ?(사진의 각도가...) 3번 떡붕어로 보여집니다.
수정..

쉿할말만님 사진이네요..
이게 떡이랑 토종이랑 같이 있는 저수지라서 충분히 교잡이나 떡일가능성이있다고 보네요
머 토종이아니라도 괜찮아요 ㅋ 찌를 몸통까지 다올리고 찌가 누울때까지 올리더라구요
찌맛진하게 보고왔답니다 ~ ㅎㅎㅎ답글달아주신 모든분들 감사합니다~ >_<
마사토 바닥 계곡지 토종 붕어로 보입니다 제가 아는 산속 소류지 붕어랑 똑같이 생겼어요
얼마전 티비에서 토종과 토종이 아닌붕어 구별하는것 자체가 이제는 힘들다고 하던데..
확실한 체형의 떡은 떡이다라고 확언할수 있지만 교잡같은 경우는 토종과 거의 흡사하여서
오랜 낚시인들도 분간이 힘들다고 하더라구요. 위 사진에도의견이 저렇게 갈리는것도 그렇고..
산속 소류지 토종에 한표던집니다.. 점점 커지면서 토종 체형을 찾아가는듯...
남양만 평택호 발안지 기천지 등 경기도 남부권 수로 저수지를 탐닉하는 저오서는 몬
가 기분나쁜 눈매며 높이 솥은 등 그리고 채색으로 볼 때 떡에 가깝다고 보이구여 다만 희나리 가능성도 배제 못 합니다. 토종은 아닙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