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같은 경우는 무겁게 찌 맞춤을 해도 꼭 그런 낚시대아 찌가 있더군요... 한참을 고민했는데..결론은 수심을 맟출때 바닥인줄알고 맟추었는데 사실 바닥이 아닌것이죠..즉
제 생각에는
수심을 무척 낮은 약 60cm전후 수심에서 찌가 깨미에 맞추어지지않고 찌 몸통에 맞추어진것이죠.(
왜 :수초의 줄기나 기타 저수지생물에 걸려 바닥에 닫지않고 대충 10cm 위로 맟추어진것이죠.. 그래서 대류나 수생식물들이 미끼를 걸들어 미끼 이탈이나 수중 수초위에서 바늘의 위치가 움직여서 찌가 아주 천천히 대물입질 처럼 나오더군요.
답변 주신분들 완전 감사 합니다.
그날은 찌 맞춤 다시 해서 해결했습니다. 가벼웠던것 같습니다.
네. 스마트 폰 사용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게 낚시를 해야 하는데..폰만 보고있습니다.
사실 제가 낚시하는곳 실시간으로 조황이라던지 올릴려고 합니다.
저두 김포에 살고 있습니다. 주로 구리포,검단수로 자주 다닙니다.
1.대류현상 (찌속이 진공상태인 찌들이나 부들 ,갈대 ,공작찌 등 에서 수온에 위아래가 뒤바뀌는 현상에서 그 영향이 찌속에
미치는것)오동찌같은경우 조금은 그 영향을 줄일수있음.
2.찌맞춤이 너무 가볍고 떡밥에 무게로 바닥에 안착시킨경우 이런경우는 본봉돌이 떠있는경우 즉 내림과 같은 형태를 보이게됩니다 .사선입수가 되어 떡밥이풀리면서 본봉돌 달린곳보다 찌가 연안쪽에 가까운 형태라 떡밥이 풀리면서 찌쪽으로 끌려오면서
끌려온만큼 찌가 상승하는것입니다 .
3.찌맞춤이 무거운 이유입니다 찌에 부력에 끌려오다가 수직선상에서 안착하는 형태가 아니라 말그대로 사선으로 입수되어
잔씨알들에 입질에 찌맞춤은 무거워 올리진 못하고 조금씩 이동하는 모습에서 찌가 상승하는 모습입니다 .
4.전체적인 채비는 0점이 맞으나 미끼를 너무 무겁게 달아서 사선입수가 되는경우입니다 .무거운 찌맞춤할때 아니면 미끼를 너무 크게 달았을때 수심이 낮은곳에서 더 많이 보여지는 모습입니다.
해결방법은 우선 바늘빼고 0점 표준 찌맞춤이 잘되었는지 확인먼저하시고 , 그뒤에 바늘달으시고 ,
내림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현장에서 바늘에 지우개를 손톱만하고 달아 투척후 수심을 체크하시고 조금 당겨서 찌톱이 수면위로 올라온 정도를 파악하는것입니다 .그편차가있다면 미끼달고 투척후에 낚시인 연안쪽으로 살짝 잡아당겼다가 놓는방법이있고 ,
이때 당겨서 놓았을때 찌톱노출정도에 맞춰놓는것입니다 .
항상 낚시시엔 미끼달고 대편성하기전 투척하고자하는곳 주변에 수심을 먼저 파악하는게 좋습니다 .
경사가 있는곳이면 찌가 물속으로 끌려들어갑니다 .
찌맟춤이 가벼운것 같네요..떡밥이 풀리면서 봉돌이 앞으로 당겨져서 찌가 떠오르는 겁니다..
바늘없이 봉돌만 달고 다시 찌맟춤을 하시던지 아니면 봉돌위에 편납을 조금만 감아 주시기바랍니다...
대박 하시길..
만약에 내용이 틀리다면 입질입니다^^
찌 맞춤 다시 해보겠습니다
(사선입수를 최소하길 위해 떡밥이 크거나....던진후에 낚시데 손잡이를 들어 초리대 1~2번이물에 잠기도록 하다가 찌가
서서 잠길때 낚시대를 뒷걸이에 놓는다)
찌가 안착후에 낚시대를 밀어 보아서 찌가 올라오면 사선 입수가 되였네요 확인바람....
부력이 가벼워도 그럴수있고,
전체 찌가 다 떠오르면
대류때문에 그럴수 있읍니다.
예민한 찌맟춤일수록 떡밥크기도 중요합니다`~
너무 크게 달면 찌가 잠겼다가 풀리면 다시 올라오겠죠?
줄도 사선이 지면 안 되니까 낚시대를 던지시고
몸쪽으로 좀 낚시대를 댕겼다가 놓으시면 많이 안전될듯 싶네요
그런데도 올라오면 가벼운 찌맞춤이십니다 ^^
아니시면 2단 입수가 되는지 함 보시구요 ^^
근데, 낚시중에 질문을 올리신거면, 뭘로 올리신거죠? 모바일 폰 종류로 올리신 건가요? 아니면 어디 데스크탑 있는 곳 까지 오셔서 올리고 다시 낚시터로? 답변 부탁드립니다.
급 궁금입니다...
이러다 실시간 중계도 가능하겠는데요,,,,
요정도로 보입니다 ^^
저같은 경우는 무겁게 찌 맞춤을 해도 꼭 그런 낚시대아 찌가 있더군요... 한참을 고민했는데..결론은 수심을 맟출때 바닥인줄알고 맟추었는데 사실 바닥이 아닌것이죠..즉
제 생각에는
수심을 무척 낮은 약 60cm전후 수심에서 찌가 깨미에 맞추어지지않고 찌 몸통에 맞추어진것이죠.(
왜 :수초의 줄기나 기타 저수지생물에 걸려 바닥에 닫지않고 대충 10cm 위로 맟추어진것이죠.. 그래서 대류나 수생식물들이 미끼를 걸들어 미끼 이탈이나 수중 수초위에서 바늘의 위치가 움직여서 찌가 아주 천천히 대물입질 처럼 나오더군요.
김포의 양촌면 누산수로 옆 수로에서 봄철에 가끔 발생하더군요..
처음에는입질이라고 좋아했는데....
그날은 찌 맞춤 다시 해서 해결했습니다. 가벼웠던것 같습니다.
네. 스마트 폰 사용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게 낚시를 해야 하는데..폰만 보고있습니다.
사실 제가 낚시하는곳 실시간으로 조황이라던지 올릴려고 합니다.
저두 김포에 살고 있습니다. 주로 구리포,검단수로 자주 다닙니다.
찌가 제대로 맞춰져 있다면 전에 투척했을때 찌높이와 비슷할것이구요.
만약에 찌맞춤이 가벼웠다면 목줄길이만큼 찌가 잠기게 됩니다 .
의심될때는 한번해보세요 ..^^
사선입수라면 떡밥달고 투척 후 받침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투척한 찌가 세워질때까지 손잡이쪽을 들고 있다가
찌가 서서히 안착하기 시작하면 뒤꽂이에 내려놓으시면 되구요.
가벼운찌맞춤의 경우 일정시간후에 떡밥이 풀려 떨어지면 그런 증상이 나옵니다.
오링을 중짜 및 대짜로 한두개정도 더 달아서 투척해보시고
아님 처음부터 찌맞춤을 다시 하시는게 좋을꺼 같습니다.
소주도 한잔하시고 벗 하세요
열마디 글보다는 직접 배우시는게 확실합니다.
1.대류현상 (찌속이 진공상태인 찌들이나 부들 ,갈대 ,공작찌 등 에서 수온에 위아래가 뒤바뀌는 현상에서 그 영향이 찌속에
미치는것)오동찌같은경우 조금은 그 영향을 줄일수있음.
2.찌맞춤이 너무 가볍고 떡밥에 무게로 바닥에 안착시킨경우 이런경우는 본봉돌이 떠있는경우 즉 내림과 같은 형태를 보이게됩니다 .사선입수가 되어 떡밥이풀리면서 본봉돌 달린곳보다 찌가 연안쪽에 가까운 형태라 떡밥이 풀리면서 찌쪽으로 끌려오면서
끌려온만큼 찌가 상승하는것입니다 .
3.찌맞춤이 무거운 이유입니다 찌에 부력에 끌려오다가 수직선상에서 안착하는 형태가 아니라 말그대로 사선으로 입수되어
잔씨알들에 입질에 찌맞춤은 무거워 올리진 못하고 조금씩 이동하는 모습에서 찌가 상승하는 모습입니다 .
4.전체적인 채비는 0점이 맞으나 미끼를 너무 무겁게 달아서 사선입수가 되는경우입니다 .무거운 찌맞춤할때 아니면 미끼를 너무 크게 달았을때 수심이 낮은곳에서 더 많이 보여지는 모습입니다.
해결방법은 우선 바늘빼고 0점 표준 찌맞춤이 잘되었는지 확인먼저하시고 , 그뒤에 바늘달으시고 ,
내림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현장에서 바늘에 지우개를 손톱만하고 달아 투척후 수심을 체크하시고 조금 당겨서 찌톱이 수면위로 올라온 정도를 파악하는것입니다 .그편차가있다면 미끼달고 투척후에 낚시인 연안쪽으로 살짝 잡아당겼다가 놓는방법이있고 ,
이때 당겨서 놓았을때 찌톱노출정도에 맞춰놓는것입니다 .
항상 낚시시엔 미끼달고 대편성하기전 투척하고자하는곳 주변에 수심을 먼저 파악하는게 좋습니다 .
경사가 있는곳이면 찌가 물속으로 끌려들어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