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질이 약할 때는 5호 내외의 작은 바늘이 아마도 유리하실 겁니다.
특히 요즘 같이 밤낮의 일교차가 큰 계절적 환경에서는 월척급 붕어들도 한 두 마디 올리다가 마는 경우가 많습니다.
바늘은 다나고 5호 내외,원줄은 카본 기준 1.5호 이하, 목줄 5cm 정도로 짧게 하시고, 찌 또한 3푼 이하의 저부력을 사용하셔야 수압을 덜 받으며, 떡밥의 경우 바늘에서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말랑말랑하게 하고, 지렁이는 짤라서 쓰고, 새우는 머리와 껍질을 완전히 벗겨서 사용하면 좀 더 유리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저는 이와 같은 채비와 미끼운용술로 심심찮게 손맛 보고 있습니다만, 어디까지나 제 생각이오니 참조만 하세요.
잔챙이 꼬이면 이두바늘 10호 이상에 지렁이 댓마리 껴놔도 미끼만 홀랑~! 3치짜리가 삼키기도 하구요.
미끼 및 계절에 따라 바늘을 선택. 붕어입은 월척도 입이 그리 크지 않습니다.
너무 작아도 후킹에 불리 할수 있구요. 6호 이상만 되도 월척급엔 무리가 없는것 같습니다.
붕어 주둥이 자바라는 얇기 때문에 쉽게 바늘이 파고듭니다. 바늘이 파고 들어갔다면 붕어급에선 바늘 뻗는 일이 거의 없죠.
물론 자바라를 지나, 입속 근육에 박혔을땐 쉽게 파고들지 못해 설걸렸을 경우, 뻗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바늘끝을 항상 예리하게 유지하는게 장시간 기다림 끝에 온 월척을 낚는데 유리하겠죠.
위에서도 언급하셨지만, 채비에 따라서도 틀려겠지요.
씨알 선별력은 바늘보다는 미끼가 더 큽니다.
바늘 커서 입질 까탈스런 붕어는 못 낚을 수 있습니다.
사용하는 미끼가 허용하는 한 바늘은 작은게 좋습니다.
입질이 약할때면 먹이취이가 약해, 커다란 바늘보다는 작은 바늘이 효율적입니다
후킹이 제대로 되면 작은바늘도 전혀 문제가 없거든요
원줄도 약간 가는 호수로,
지도 부력이 덜 나가는 것으로.
바늘도 한두치수 작은 것으로....
약간의 채비에 변화를 주시면 좀더 시원한 찌올림을 보실수가 있을겁니다
바늘은 최대한 작게 떡밥은 부드럽고
무른게 입질 받는데 유리 하다고 생각합니다
밑으로 내려 바늘을 교체하려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예민한 시기가 왔으니 그에따라 채비를 변경해 줘야겠지요.
많이 춥습니다!방한에 신경쓰시구요!
안출하시기 바랍니다!
6호~7호면충분해요....
전 7호 이상을 써본적이 없어서..
대부분의 경우 흡인만 되면 너무 작은 바늘은 후킹이 잘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로 잡히는 붕어 크기를 고려해 적당한 크기 바늘이면 좋습니다.
바늘의 크기를 선정할때는 채비 강도를 같이 생각하는것도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예민한 채비 만든다고 2호원줄에 목줄 1.5호 사용하면서 바늘크기만 무작정 감 2~3호 씩 사용해바야 뭔 소용이 있을까요 이럴경우 좀 작은 바늘이 어울리겠죠
반대로 4호 5호 원줄 사용하면서 붕어 5호 6호 바늘을 사용하는것도 참 언밸런스 합니다. 원줄말 강했지, 2호 원중도 버티기 힘든 바늘 써버리면 둔탁한 원줄 사용해서 득볼게 없죠
상황에 따라 튼튼한 원줄에 작은 바늘을 사용할수도 있지만, 채비를 선정하고 계획할때는 적당한 크기로 선택하는게 좋겠죠
바늘의 종류, 다나고, 이두, 감성돔등 특징이 조금씩 다릅니다.. 모두 붕어 바늘로 이용 가능한데 보통 붕어 바늘이 가장 가늘고 가볍고, 감성돔이 가장 두껍고 강한 제품이 많습니다.
제품에 따라 틀리지만 대부분 같은 크기의 바늘중 하나가 강하다고 한다면 두꺼운 경우가 많습니다. 두꺼운 만큼 강하지만 그만큼 무겁습니다.
바늘무게 해바야 얼마나 되냐고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아무리 예민한 찌맞품 해바야 크고 두꺼운 바늘 쓰는 만큼 붕어 입장에서는 무겁게 느껴지겠죠
감 5호 바늘 뚜꺼운 제품은 바늘 하나 무게가 찌 3~5마디씩 내닐 정도의 무게에요
요즘 관리터들 타산이 맞지 않아서인가 신참 붕어들은 거의 넣지 않고, 잡히는 붕어들 보면 여러번 잡혔던 넘들이 대부분입니다.
그래선지 요즘 전통 바닥낚시로 붕어를 잡고 찌올림을 보려면 진짜 예민하고, 가벼운 채비, 바늘을 이용해야 올림으로 붕어 좀 잡을수 있더군요
타쿠마3호로 교체하니 그나마 건들더라고요..요즈음 양어장 바닦에서도 보통 6호바늘 사용합니다..
적당히 작아야지 헛챔질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적당히 커~~~야 헛챔질을 줄일 수 잇습니다....^^*
특히 요즘 같이 밤낮의 일교차가 큰 계절적 환경에서는 월척급 붕어들도 한 두 마디 올리다가 마는 경우가 많습니다.
바늘은 다나고 5호 내외,원줄은 카본 기준 1.5호 이하, 목줄 5cm 정도로 짧게 하시고, 찌 또한 3푼 이하의 저부력을 사용하셔야 수압을 덜 받으며, 떡밥의 경우 바늘에서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말랑말랑하게 하고, 지렁이는 짤라서 쓰고, 새우는 머리와 껍질을 완전히 벗겨서 사용하면 좀 더 유리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저는 이와 같은 채비와 미끼운용술로 심심찮게 손맛 보고 있습니다만, 어디까지나 제 생각이오니 참조만 하세요.
미끼 및 계절에 따라 바늘을 선택. 붕어입은 월척도 입이 그리 크지 않습니다.
너무 작아도 후킹에 불리 할수 있구요. 6호 이상만 되도 월척급엔 무리가 없는것 같습니다.
붕어 주둥이 자바라는 얇기 때문에 쉽게 바늘이 파고듭니다. 바늘이 파고 들어갔다면 붕어급에선 바늘 뻗는 일이 거의 없죠.
물론 자바라를 지나, 입속 근육에 박혔을땐 쉽게 파고들지 못해 설걸렸을 경우, 뻗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바늘끝을 항상 예리하게 유지하는게 장시간 기다림 끝에 온 월척을 낚는데 유리하겠죠.
위에서도 언급하셨지만, 채비에 따라서도 틀려겠지요.
씨알 선별력은 바늘보다는 미끼가 더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