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닥낚시를 하며, 찌 맞춤은 다소 투박하게 대충 맞춰서 쓰는 편입니다.
미끼는 지렁이 또는 글루텐을 씁니다.
낚시를 하면, 찌가 한 두마디 정도 올라오다가 멈춥니다. 거기서 더 이상의 움직임이 없습니다.
반대로 두마디 정도 내려가서 움직임이 없는 경우도 더러 있습니다.
미끼를 확인하면 그대로인데, 이러한 입질 형태는 왜 나타나는지 그리고 어떻게 낚시를 해야할지 조언 부탁 드리겠습니다.
입질 형태에 따른 질문입니다.
-
- Hit : 3392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4
사선입수로 인해서 찌가 내려가있다가 고기가 미끼를 건드려서 사선이 없어지면 서 한두마디 올라올수도있고.
바닥상태가 고르지않아서 고기가 미끼를 건드렸을시 찌가 한두마디 내려가거나 올라올수도있습니다.
아님 바닥에 이물질로 인해서 봉돌이 바닥에 안착하지 못한상태에서 고기나 다른 이유에서 바닥으로 봉돌이 내려가서.
떡밥사용시 떡밥이 풀리면서 찌가 앞으로 당겨지면서 찌가 한두마디 올라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바닥상태가 평지가 아니고 급경사를 이루는 계곡지같은곳에서도 그러한 현상은 나타납니다.
그리고 기타잡어의 소행일수도 있습니다.
게다가 위에 말씀드린 부분말고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수도있습니다.
위에 글로만 봐서는 어떤이유에서 그러하다고 단정 짖기가 조금 힘드네요...
시원한 답변은 다른 고수님들에게 패스합니다.
제가 하는 말은 물밑에서 우렁이가 열심히 봉돌을 밀다가 지쳐서 멈쳤다고 합니다. 아니면 징거미의 소행....
패턴이 바뀌더라구요
미끼 그대로 있는거보면 징거미가 아닐수도,,
붕어입질 아시잖아요~~
아니다 싶음 놔두셔요
그편이 정신건강에 이롭다는 전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