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잉어 미끼 고민중입니다.

얼마전에 친구가 잉어한번 거는거보고 손맛이 아주 좋아보여서 저도 잉어한번 잡아보려고합니다. 떡밥은 현재 아쿠아 블랙 아쿠아김밥 아쿠아 k-1 찐버거2 아쿠아뻔 정도가있습니다. 집어제 배합은 단순하게 블랙:1컵, k-1:1컵, 김밥:1컵, 찐버거2:1컵 물 2컵 미끼는 k-1 단품 혹은 k-1,블랙,김밥 혼합으로 잉어는 완전 처음 도전해보는거라 어떤 배합으로가야할지 고민되네요 아니면 그냥 아쿠아 k-1에 찐버거2를 집어제로하고 k-1단품으로 미끼쓰는게 편할까요...? 고수님들의 조언이 필요합니다. 아 그리고 참잉어를 사용해보라는분이 있었는데 근처낚시방에선 참잉어를 안파네요..

평소에 에코스페셜만 쓰는데도 잘먹어주네요~
오래전엔 잉어바늘 이라고 해서 강성돔바늘 6개를 묶어서 팔기도 했었죠
닭사료를 주먹만하게 뭉쳐서 여러방향으로 나눠서 꼽아놓고는 낚시대에 달고 던져 놓으면 언젠가는 분명히 잉어가 먹어줍니다
바닥에 퍼진 미끼를 흡입하다가 바늘도 함께 흡입하여 입에 걸리는 방식으로 잡게 되겠죠
잉어를 잡는데는 이 방법이 당연 최고라 생각합니다만, 근래엔 그런 바늘을 팔지 않아서 구하기 어렵죠

잉어는 어분계열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보리와 어분 그리고 신장이 빠지면 안되겠죠
푸실푸실하게 게는 것보다 장시간 바늘에 뭉쳐 있을수 있도록 약간 단단하게 달아주면
잉어 잡을 확률이 높아질 겁니다

찌마춤은 그리 민감하지 않아도 되고
지그시 끌고 들어가는 입질을 눈여겨 보다가 챔질하세요

물론 올라오는 입질도 챔질하셔야겠죠 ^^*
어분종류. 그중에서 가장저렴한 에코스페샬이 갑이죠
집어제 그딴것 필요없습니다
저는 잉어만 전문적으로 잡씁니다.잉어 낚시는 3가지만 아시면 하루에50.60.70.80크게는 1미터 이상되 는는것도 보통 사 오십수 합니다. 첫째는 찌맞춤 둘째는 떡밥 배합법 참고로 저는어분만6섯가지 씁니다셋째는 가장중 요요한 잉어의습성 글로쓰는 다이야기 못하겟고 시간나시면 용면낚시터 로 놀러 한번오세요.
경기도 이천에 있는 낚시터에요.저수지가25000천평이예요. 계곡지형 낚시터로 수심이4.5미터정도 나와요.내나름 대로 잉어 연구만10년이 넘어요.
양어장은 모르지만, 노지잉어는 경계심이 많아서 4칸대이상의 긴대가 유리하며 정숙이 첫째입니다.

두번째는 채비인데, 중통&외통 찌낚시가 굉장히 유리합니다. 우뚝 서있는 원줄이 아니라 사선으로 원줄이 누워있어서 보다 멀리 채비를 보낼수있는 잇점과 원줄에대한 경계심이 한풀꺽이는듯 보였습니다.

세번째는 미끼(떡밥)인데, 노지잉어는 식성이 그리 까다롭지않습니다. 한때 닭사료에 어분만 좀 썪어서도 잘 잡아냈습니다. 단! 무엇(떡밥)을 쓰던 쌍바늘에 하나는 고탄,
하나는 건탄으로 1~2분내에 풀어지도록 개어서 쓰는게 좋습니다.

넷째 잦은 투척은 초반 집어를 위해서만하시고, 이후엔 잦은 투척은 금물입니다. 잦은 투척시 하루종일 잡어랑만 놀게 되실겁니다.

다섯째 살을 주고 뼈를 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위에서 말씀드렸지만 고탄과 건탄을 쓰는 이유가 그것입니다. 잡어가 뜯어먹을테면 뜯어먹어라! 하고는 깔짝이는 입질은 무시하면되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떡밥을 깻묵,어분,바라케,포테이토,글루텐,콩가루를 가지고 배합해서 썼었습니다.
요즘은 잉어낚시 안하지만...근데 이것 저것 마니 넣어봐야 큰 차이없으며 중요한건 부슬부슬 갠 떡밥을 절반은 건탄용으로 따로 덜어놓고, 미끼용으로는 물을 조금만 더 넣고 땐땐하게 공처럼 뭉쳐놓았다가 바늘에 달때 10회~15회가량 눌러서 달면 되겠습니다. (건탄은 바늘에 달때 대중 크기와 모양만 잡아서 3~4회정도만 눌러서 각잡아 달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잉어의 습성, 회유로, 입질시간때를 알고 시작하셔야 되구요...

대물잉어는 낮보다는 밤부터 이른 아침까지 먹이활동을 하니 이점도 염두해주시구요

그 다음은 랜딩요령인데 한두마리 잡아봐서는 60이상급 가지고 놀기 힘들구요. 좀 경험이 필요합니다.

글이 너무 길어졌네요~ 말씀 더해드리고 싶지만 폰으로 적으려니 빡시군요ㅎㅎ

그럼 대물 잉어 하시길바랍니다.
노지 잉어가 더잡기숴워요.양어장 잉어는서너번만 바늘에걸려서 터지거나 잡은 고기 철수 하실때 풀어주고가거나 몇번만 거러면 안물요. 빨갱이나 한두마리 물까.낚시터 가면은 낚시대 던저 놓은것은 안물고 바로 앞에 흘 리는 어분만 먹고 가는것을 많많이 보았을 것입니다.그런 물고기도 제가 만든 채비를 쓰니까.100%입입질이 다들어옵니다.잉어 시간대는 우리가 알고 시간대 하고 달라요.제가대 알기를 3년 걸렸어 요.보통80이상넘는것들은 우리가 알고있는상식이상이예요.글로쓰는 다표현 못하지만요.ㅎ ㅎ ㅎ 대구리 한마리 하세요
대구리잉어님 대단하십니다.
조만간 한번 찿아뵈야 할거 같습니다.
잉어 낚시 초고수이신듯...
잉어엔 찐감자 한번 써보세요..
깍두기만큼 달으시고 조금씩 뿌려도 주시고 붕어와 차별성이 있을겁니다..
유료터면 어분은 필수고요.. 보리를 조금 섞어서 풀림을 좋게 해주시는것도 좋습니다.. 발갱이나 그런저런 70이하 급들은 바늘에 달려있는 떡밥도 그냥 주워먹기도 합니다. 물론 초대물도 그럴수도 있지만요..
초대물들은 경계심이 강해서 떡밥이 풀어진것만 주위에서 뻐금뻐금 주서 먹다가 바늘이 딸려들어가는 형식입니다. 그래서 입질이 예신 없다가 찌가 확 올라오거나 경사면이면 쏙 하고 끌고 들어갑니다..
약간의 팁이라면 바늘이 뉴석조나 긴꼬리 벵에돔처럼 무거운 바늘 쓰시면 고무줄 짜개 끼시면 입질이 한결 수월하게 들어 올겁니다.. 향어바늘이 감생이 바늘 쓰시면 짜개 달면 바늘이 떠오를수 있으니 확인하시고 쓰세요.. 초대물들은 하늘에서 점지해주는 녀석들이라 운좋으면 나오고 아니면 그냥 터지더라구요..
붕어낚시 할때. 잉어 붙지 말라고,어분(에코스페샬,아쿠아 )사용을 자제 합니다.그만큼 어분은 잉어를 꼬이게? 만듭니다.
저수지,강,냇가 연못 등 서식지 지역에 따라서 습성이 다양합니다.
소양강,충주,대청 강화도에서 릴에 어신기 사용해서 원자탄과 감자로 덤프라는 잉어를 잡습니다.
개천 뚝방 냇가에서는,짧은대로 어분과 새우살로 잡습니다.
미터급 잉어일수록 짧은입질로 어신을 보이다가 어느 순간에 쑥하고 빨고 들어갑니다.
70이상부터 끌고 들어가는 힘이 아주 강합니다.
오래전에, 향어 크레인대로 미터가 넘는 잉어를 몇수나 했었는데, 사진을 찍어 놓지 못한걸 후회하곤 하죠.
옛생각이 나네요.ㅎ
워리리리 말씀이 맞습니다.미터급은 하늘이 점지 해주는게 맞습니다.무매듭 도 소용없어요.한가지만 알려주죠.초대물을 잡을려고 하면 새벽에 많이 입질 한다고 하는데 아니에요.대낮 한참 뜨거울때 11~2사이에 입질이 들어 옵니다.수온이 높아서 물위에 뜬다고 알고 있을 거에요.대부분의 다 그것은60.70급들이죠.미터급들은 아니에요.우리 상식을 한번에 깨뜨리죠.어분 .보리 다좋아요.미터급들을 불러 모모으고 싶다 면 잡어들을 많이 모으세요.다설명은 못하겠지만 조금 있 으면 알거에요.오늘은 여기까지.ㅎㅎㅎㅎ
저는 처음 도전한 미끼는 노지에서 지렁이 오리지날 원 짝밥으로 섰는데 ,,,찌가 아까부터 계속 까딱이더니 어느순간 물속으로 사라지더라구요,,,나는또 베스구나 지렁이에 베스 가 무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데 앤지 묵직합니다 ,,,그러다 몇분 실갱이 하니 잉어 였습니다 그때 대맥지 찿다가 꽝치고 늘 가던 성곡지 였거든요,,,
마침 그때에 잉어 철이라 그때는 어분 말고도 신장떡밥 변산 보리보리 ,,,깻묵 등을 썩어 써보니 오리지날 하나만 쓸때보다 입질이빠르데요,,,거기다 고구마가 원료인 이모글루텐 ,,근데 아직 까지 그곳에서 잉어를 건진건 1번 4짜 가 전부고 나머지는 ,,,걸었지만 끌어 내질 못하게 껏어요,,,보통 대를 못세우고 줄터지고 대가 부러지기 일수 였어요,,,
타이거 우즈 님 성곡지가 계곡 지형 이에요. 평지 형이에에요. 재미있을것 같은데요..한번 가고싶네 타작하러ㅎ ㅎ대를 굳이 못세울것 으면 세울러 하지 마세요.줄터지 거나 1~2번대 초릿대 빠저요.방법으로 는 글로써 표현하기 가 좀 그러네요.아아 타작 하러 가고싶다.
계곡을 막아서 댐을 만들었으니 계곡지죠,,,위치는 경북 영주시 장수면 인데 ,,지금 물이 너무 많이 빠져 어렵구요,,,,추석끝나고 10월말에 될것 같습니다 ,,,베스터라 잡히는 고기마다 붕어 2짜이상 메기 잉어 잡힐확률은 잉어 1등 ,,그다음 메기 ,붕어 순입니다 ,,,
대구리잉어님 그곳에서 단한번밖에 잉어를 잡아본적 한번 잉어도 60cm이하는 들낚으로도 제압하는데 ,,그이상은 제압은 안돼고 제갈길 가더라구요,,,첫번쩨 끈기 (열심히 집어) 두번쩨는 ,,부지런함 ,,보통사람은 지루해서 힘들어서 그냥 포기 하죠,,,,처음에 낚은건 우연히 대맥지 찿다가 물어 물어 봤지만 어떤 노부부가 모르면 모른다고 하지 왜? 엉뚱 한 길을 알려 줘서 ,,갠히 살골짜기 길가서 차 못나와 애먹었죠,,,빠져 전복 될뻔 했어요,,,,아직도 생각 하면 하지만 그런 화를 수수리고 자주가던 성곡지에 우연한 개기로 잉어 대낚시에 맞을 들입니다 ,저는 잡히던 않잡히던 대나 한번 세워 보고 가자 이렇게 헤메고 가는게 억울 해서 ,,문제는 대가 든든해야 하는데 잉어갔은 ,,대물을 잡기엔 채비가 약하고 ,,그렇다고 대물 장대를 사기엔 돈이 많지 않고 ,,해서 그냥 들낚으로 합니다 ,,,그러나 도저히 들낚채비로는 힘들다는걸 많이 깨닫기도 합니다 내일 갈곳은 단산지 그나마 물이 많더라구요,,,,,여기잉어는 성곡보다 더 계곡지인데 힘이 어떨려면 대부러질런지 대를 포기 할렵니다 ,,
어분류,, 에코에 한표 추가 입니다
노지에서 에코스페셜+신장 단순조합으로 입질 자주 받습니다.
회유하는 무리들 집어만 성공하면 발갱이부터 7짜까지는 밤새 줄줄이 올라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 경험으로 대물잉어는 걸었다가 터지거나 릴리즈하면
같은 포인트에서 다시 잉어 입질받기 어렵더군요.
쫄따구들 다 데리고 떠나는 듯.
어분개는것이 글루텐보다 훨씬 어렵슴니다.
단품은 에코가 조으며 비율은 3대1임니다.
보통 3합을 마니 쓰는데, 어분마다 특성이 틀림니다.
점착력,비중,성분을 고려함니다.
제가 사용하는 방법은 여러가지인데,그 중 하나는 점착력강한 아쿠아*3 + 나이트어분 + 해초어분이고요
큰그릇에 잘 혼합한후 물을 충분히 붓고 어분이 물기를 흡수한후 윗물을 따라냄니다.
그리고 10분이상 숙성후 사용함니다. 물을 붓고 10초후에 따라버리느냐 30초후냐에 따라 찰기가 조절됨니다.
조절이 어려운데, 한번 해보시고 숙달하시면 멋진 어분이 탄생함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