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잉어,향어 낚시 하시는 선배님들..원줄은..몇호 쓰세요??

아직 낚시 경력이 얼마 되지 않아 붕어 보다는 잉어,향어 위주로 낚시를 하고 있습니다.. 저는 5호 원줄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원줄이 터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장 적합한 잉어 , 향어 낚시 원줄 호수는 어떻게 될까요?? 많은 선배님들의 가르침 부탁 드립니다..

낚시대 보호차원에서
3호면 좋아요
4호도 좋은데 잘못하면 낚시대 작살나요
낚시대가 어느 정도 경질이냐에 따라 원줄 호수도 달라져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경질대 특히 바다민장대 종류는 강한 대이니 만큼 강한 줄 즉 5호줄 이상 써도 될 것 같습니다.
저희 고향에서는 노지잉어 잡을 때 6호줄이상도 터져 나갑니다. 노지 대물잉어의
힘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대를 들어오려보지도 못하고 "팅"하고 줄이 터집니다.
아예 바다 낚시용 합사원줄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 경우
무리하게 들어올리려다가 낚시대가 부러집니다. 바다민장대도 예외가 아닙니다.

일반 양어장 낚시에서는 바다민장대에다가 4호줄이면 왠만한 잉어향어 건져올릴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챔질 타이밍을 잘하는 고수들은 60-70센티되는 잉어를 연질대, 그리고 2-3호줄로도 건져올리던데,
저는 자신이 없어서 잉어 향어가 많은 양어장에 갈때는 민장대(슈퍼플렉스 조선)에 다가
4호줄을 답니다. 가끔 아주 가끔 터지는 경우가 있기는 합니다마는... 막상 잡아보면
그리 큰 놈들도 아닌데 힘 쓰는 놈들이 있더군요.
잉어향어도 고만고만한 싸이즈 풀어주는곳과 큰고기만 골라넣어주는 곳이있습니다
싸이즈 고만고만하믄 2~3호면 거의 안터진다고 보면 되고요
대물탕이라면 낚시대도 향어전용에 줄은 3호이상 가시는게 좋다고 봅니다
전3호원줄로 대물유료터가도 한번도 안터지든데요

줄이 넘두꺼우면 낚시대 아작나요ㅎㅎ
3호줄쓰다가 좀경력이 쌓이면

2호줄써야 잉어가되든 향어가되도

잡는맟도있고 스일도있고요 시간이되면

그렇게 2호줄로쓰게됩니다
잉어 향어라도,, 얼마나큰걸 잡느냐가 문제죠..
뭐 연질대로 2호줄로 잡는분도 계시고.
향어대로 5호원줄 4호목줄 쓰시는분도 계시고..
블루길 배스터수로에서 카본2호목줄 터니질래
합사1호목줄로 했는대 목줄 터지더군요,
합사목줄 터질때 라면먹으면서 탁소리듣고 대들었는데,
합사목줄 터져있더군요,
와..^^감사합니다..저는 처음에 낚시를 파워와인드향어 대에 5호 원줄 로 배워서 2호 원줄만 봐도 너무 얇다고 느껴지는데요.. 그래서 지금응 낚시대를 산노을로 사용하면서도 원줄은 아직도 5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불연듯 시간상 양어장 위주로 다니는데요..줄이 너무 굵은가??하는 생각이 들어서요..낚시줄 좀 얇게 가야 하나요..아니면 사용해도 괜찮을까요..1.6칸 브터 4단위로 3.9칸 까지 사용하고 있습니다..
작년가을 한강에서 세류경조 45로 원줄 세미플로2,5. 목줄 모노1.2로 52잡고 같은 채비로 가물치 60까지 잡고. 십분후 사이즈확인 못한 괴기에게 챔질 하자마자 목줄 터졌네요
저도 3호 줄매는데요~

아직 내공이 부족하여 ~2호줄은 ~~~~!!!!
인지도 있는 카본줄을 사용하신다면 4.0칸 이하는 3호면 충분할 듯 싶구요
5.0칸 이하면 4호정도 6.0칸 이하는 5호정도 그이상은 6호정도 사용하시면 무난 할 듯 싶습니다.
저의경우 순간챔질로 초기제압을 하는 타입이라 매듭부위에서 터지는 겨우가 빈번하였습니다만...
채비시 침을 아끼지않으면 될 듯 싶습니다. 좋은 채비하셔서 손맛 몸맛 만끽하시길 바랍니다.^^
모노 1.5호나 2.0호 써도
원줄이 길기때문에 원줄이
터지는경우는 극히 드물더군요
터지면 대부분 목줄이나 묶음조인트가
터지네요
유료터에서는 2호 아님2.5호 노지에선 4호 아님5호사용합니다 노지에서 수초만없으면 엷은줄로 다잡을수있어요
저역시 잉어,향어 손맛이 좋아 요즘도 다닙니다..
낚시대가 경질대라면 4~5호줄
낚시대가 연질대라면 1,5~3호줄
경질대는 챔질시 원줄과목줄에 무리가 많이 감니다..
잉어 향어 전문대물터만 약 20년가까이 다녀봤지만 낚시원줄의 굵기는 고기의크기보다 낚시대의 경질성에 따라 결정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들어 중층내림대의경우에도 원줄 0.5호에도 60cm짜리 잉어 향어 끌어냅니다.
또 붕어대로도 위의경우와 비슷하게 1호줄에도 이상없이 끌어냅니다.
단지 원줄이 굵다면 줄의손상이나 끈어지는 경우가 드물겠죠.
그러나 1호줄에도 수십마리 끌어내도 거뜬할적도 있습니다.
저의 경험상으로 볼때 제일중요한것은 낚시대의 성질이고 다음이 대물을 끌어내는 화이팅 방법인것 같습니다.
저는 바다민장대로 럭셔리 8.8칸짜리, 석조대 7칸, 동미 자이언트조영12미터/프로하드 조영12미터, 은성 다이아플렉스조선 경조
바다미장대 6칸, 은성 조조경조 7칸, 유양해금강 6칸등을 주로 사용해왔는데 이낚시대들에 5호이하의 원줄을 사용하면
화이팅할때 줄이 터지는것이 아니라 챔질시 거의대부분의 원줄이 끈어지고 맙니다. 이들낚시대는 경질 중 초경질이기
때문에 어지간한 원줄은 견디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대부분 최소 5호줄이상으로 원줄을 사용합니다.
저의경우 럭셔리 18미터짜리는 그랜드 맥스6호 내지 카리스마 7호를 사용합니다.
바다민장대중 그나마 중경질의 낚시대는 유양 해금강 중경(6칸까지 있슴), 원다 여상중경(7칸까지 있슴), 용성 보론취봉,
은성 파워와인드 조선 중경등의 낚시대에는 원줄 4호 정도까지는 제 경험상 사용가능합니다.
그외의 바다민장대에서 길이가 짧은 3칸 이하에서는 2 ~ 3호줄도 충분합니다. 이것은 챔질할때 낚시대의 길이가 길수록
많이 들어올겨지기때문에 순간적인 챔질강도가 강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다 보니 짧은대에서는 상대적으로 가는
원줄을 사용해도 원줄이 이상이 없는것 같습니다.
심지에 붕어대의 경우에 아무리 경질의 낚시대라도 길이가 3.5칸을 넘지않는 경우 2호줄에도 잉어 향어는 충분히 챔질과
제압이 가능한것 같습니다. 너무세게만 챔질을 하지 않는다면 줄의 탄력과 낚시대의 휨새, 그리고 낚시대탄성으로 가는호수의
원줄에서도 어지간한 잉어, 향어는 끌어 낼수 있다고 봅니다.
대표적인것이 바로 중층내림대인것 같습니다.
이 낚시대는 재질이 중경질이상의 대인대도 길이가 짧아 순간적인 작은 챔질로 후킹이 되고 곧바로 화이팅이 이루어지기에
0.5호줄에도 잉어,향어가 끌려 나오는것 같습니다.
이상은 단지 저의 경험에서 나온 사항이지 정답은 아닙니다. 개인의 챔질기법이나 화이팅에 따라 달라 질수 있으니
참조만 하시기 바랍니다.
노지잉어.향어를 전문적으로 하신다면
일단은 초경질대의 낚시대가 필요할꺼구요~

경질낚시대의 성격상 매이커 원줄 4호이상은 무조건필요합니다

노지 낚시의 잉어.향어는 상상이상에 괴물스런 힘을 자랑합니다
어떤 조사님들이 중층,내림대로 1호 모노줄로도 충분히 제압한다지만 말하지만
그건 어쩌다 한번일 뿐입니다

10번이면 8-9번 얼굴도 못보고 다 터트립니다

정신건강상 간만에 대물 상면하는데
튼튼한줄로 쓰는게 정답일꺼라 봅니다.
노지냐 관리형이냐 그게 중요하겠지요

양어장 낚시는 채비 매듭만 잘 하시고 원줄에 훼손만 없으면 2호줄로도 충분하더라구요

어젠 하우스에서 4호바늘에 1호 원줄 썼는데 쥔장이 붕어활성도 높은다고 전날 향어를 풀었다는데

그 향어가 하필 저한테 와서 약 50센티 향어를 잡긴 했습니다

물론 운이 좋았겠죠...가느다란 원줄에 작은 바늘...목줄도 0.5호밖에 안되는데..

양바늘 다 물려서 잡긴했지만 바늘 하나는 펴지고 하나는 안으로 접혔더라구요~ㅎㅎㅎ
강 및 바닦에 돌있을 때: 5호이상
저수지 및 약한 수초 : 4호
관리터 저수지 또는 양바늘 떡밥낚시 바닦에 자갈돌 있을 때: 3~2.5호
챔질 및 제압 기법 좋을 때 (특히 수심깊고 낚시줄이 대와 평행선이 아닐 때) : 2호
얕은 수심 / 자동빵 / 챔질 늦을 때 : 5호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