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선배님들께 질문올립니다.
전 잉어유료터만 다니는 갓 입문한 초보조사입니다.
그래서 항상 시중에 판매하는 묶음바늘만 사용했는데요
이젠 저도 묶어쓰는 맛이란걸 느껴보려합니다.
근데 너무 초보적인 질문이라 찾아봐도 정보가없네요ㅠ
그래서 이렇게 도움을 받고자 질문올립니다.
제가 지금 사용하는 낚시대칸수는 34대까지 쓰고요
원줄은 모노3호줄 사용중입니다.
여기서부터 질문입니다.
- 시중에판매중인 묶음바늘은 합사줄(?)인데 잉어터에서
사용할 목줄선택시 합사로해야되나요 모노사로해야되나요?
- 위 질문에서 목줄(합사 & 모노사)이 선택되었다면
원줄을 모노3호 사용중인데 목줄은 몇호가 적당할까요?
- 목줄을 선택하였다면 바늘을 묶을시 목줄길이는 얼마쯤
되야할까요? (묶음바늘처럼 두바늘채비시 한쪽바늘기준)
염치없이 너무 많은 질문을 올렸네요.
하지만 저도 선배님들이 말씀하시는 바늘묶는 재미란걸
꼭 느껴보고싶습니다. 많은 가르침부탁드립니다^^
잉어향어 유료터 목줄선택.
-
- Hit : 9634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5
두바늘 묶음시28-30cm 정도
본인의 바늘묶는 방법에 따라서 상하향 조정이 필요합니다
원봉돌 채비묶음 모둠 쌍바늘 입니다
가지바늘 채비는 30-40cm정도
모노 1~2호로도 대물 올렸노라 말씀하시는 분들도 계시기는 하지만
그런 원줄로 항상 제압할 수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모노줄을 굵게 쓰시는 것보다 카본줄로 교체하시는 것도 생각해 볼만 합니다
목줄이 모노줄이면 대물을 걸었을 때 목줄이 늘어나게 되니
항상 교체할 수 있도록 여분을 준비하셔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모노줄과 합사줄의 장단점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목줄의 길이에 대하여 골팽이님 말씀하신 길이는
목줄을 맨 다음에 잰 길이가 아니라 바늘을 매기 위하여 재단할
목줄의 길이를 말씀하신 것으로 생각됩니다
바늘을 묶은 상태에서 목줄은 8~10cm 정도면 적당할 것입니다
지금 제가 사용하는 채비는
원줄 카본 4호,
목줄 케블라합사 2.5호 길이 10cm
바늘 향어 9호 또는 11호
용도는 노지 대물낚시용입니다
이 채비로 이번 연휴에 모처럼 인근 유료터 갔다가
9호 바늘이 뻗어버리는 바람에 대물 잉어 떨구고 왔습니다
원줄 카본 3호
목줄 케블라합사 2호
바늘 향어 9호, 11호로
채비를 가볍게 가져갈 예정입니다
잉어, 향어를 주 대상으로 하신다면
낚시대가 짧은 것 보다는 긴 것이 유리합니다
짧은대는 대물이 걸렸을 경우 부러지는 일이 종종 발생합니다
가지고 계신 낚시대 중에 긴대를 주로 사용하심이 좋고
경질대나 연질대중에 고른다면 오히려 연질대를 추천하고 싶습니다
제가 경험한 바로는 경질대는 순간챔질에 부러지는 경우가 있지만
연질대는 부러지지 않고 훨씬 질기다는 느낌입니다
물론 고기를 바로 제압할 수 있는 편의성은 경질대가 우위에 있습니다
바다 갯바위 솔림때문에 케브라사가 유리하지만
민물낚시는 일반합사면 충분하다고 봅니다
고래잡을마냥 원줄5호 케브라사3호는 자칫하면 대가 뿌러집니다
모노 3호엔 당줄 데크론 합사 2호(보통 10파운드)이하 , 그이하 모노줄이라면 당줄 1호
목줄로 케브라합시, pe합사, 다이니마 합사등의 성질을 읽어본뒤로 그것들은 떡밥용으로 출시된것이 아니군...
이라 판단 됫습니다.
아직 제가 모르는 단어들이 너무많네요 ㅎㅎ 일단 선배님들 달아주신댓글들 모르는단어부터 공부후
풀어나가야겠습니다. 공부가 이렇게 재미있었더라면........ ㅎㅎ
원줄 카본3호 목줄 1.2호 붕어바늘7호로 가볍게 0점 마춤 예민한 채비로 운영하는데...
입질 시원시원하고 짱짱 합니다...
노지 수초지역이나 밑걸림이 있는 지역에서는 무리한 채비인거 아시죠??
참고하세요
전 주로 1.5호 모노줄원줄용
1-1.5호모노목줄용 사용합니다
가끔 목줄이나가는 일이 있지만 낚시대 보호차원으로 바늘를 많이 메두고 출조합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