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자연지 바닥수심이 들쑥날쑥?

얼마전 자연지좌대를 탔는데 바닥수심이 굉장히 기복이 심하더군요 수심2미터 내외에서 좌우앞뒤 풀스윙 중간스윙 5대의낚시대 전반적으로 20cm만비껴나가도 수심차이가 30-50cm 차이가나더군요 앞뒤가 그렇다면 경사라고생각하겠지만 좌우도마찬가지이고 도저히 바닥지형을 읽을수가없었습니다 이럴때는(경사지형) 깊은곳을찾아 넣는겄이좋을까요? 아니면 풀스윙해서 언덕중간쯤에 걸치는겄이좋을까요? 선배님들은 어떻게하시나요?

그런 포인트는 피하는게 조과에 도움될겁니다.
붕어는 대체적으로 머무를때도 먹이활동할때도 평편한 바닥권을 좋아하는 편인 것 같더군요.
낚싯대 방향을
풀스윙시 주변보다 얕은곳으로 정하는것이
입질 측면이나 앞치기 하시기 편할것 같습니다
주변보다 얕은곳이 보통의 경우
입질이 많은 편이고

간혹 혹서기, 낮낚시에는
주변보다 더 깊은곳이 잘되기도 합니다
그날 입질이 더깊은곳, 반대로 더 얕은곳이
잘될지 모르기 때문에
입질이 들어온 수심층(찌높이)을 잘 기억해서
집중적으로 그 곳을 공략 하는게 최선책 일겁니다

풀스윙이 한곳에 떨치기는 편 하지만
만약 그 지점이 입질이 안좋은 곳이라면
풀스윙후 지긋이 당겨서 적정 수심을 찾는것도
그리 어려운 테크닉이 아니라고 여겨지고
그럴경우
떡밥의 점성이나, 천천히 당겨주는 주의가 필요 합니다

일반적 으로 요철이 심한곳은
공략이 귀찬아서 그렇지,
붕어가 잘 머무는 곳 이기도 합니다
튀어나온 곳에 안착시키세요.
경험상 볼록 올라온 곳에서 많이 걸었습니다.
바닥에 수초가 자라나고 있는듯 합니다. 저도 수초가 바늘에 잘 걸려나오지도 않아서 지형이 이상하다고 착각한 적이 있네요.^^
깨끗한 바닥을 찾으신다면 조황 좋을 것같습니다.
50센티나 차이가 날정도면 혹 바닥에 말풀등 수중식물이 있는게 아닌지 궁금하네요
저같은경우는 좀 번거러워도 자릴 이동합니다
생미끼면 좀덜하겠지만 떡밥낚시시라면ㅜㅜ
더구나 저는 3.6칸이상 긴대위주로 던지기에
바닥에 그정도편차라면 스윙할때마다 신경쓰여서..어휴^^
그냥 읽다보니 공감되는경우가있어서 몇자적고갑니다
항상 안출하세요^^
그런 곳을 저는 밥상 자리라 부릅니다~
둔덕 , 바닥 곶부리 둔덕 지형에 밥상을 똭! 올려놔야지요
바닦에 수초나 뭔가 있을듯합니다.

바닦을 찾기 힘들면 다른칸수의 낚시대를 편성하거나

포인트 이동이 정신 건강에 좋을듯합니다.
보통 제경우... 깊은곳에 채비 안착시켜서 낚시합니다^^
그곳에서 덩어리도 많이 걸었구요
수중좌대를 말씀하시는건지요?

만약 일반노지가 아니고 수중좌대라면~
아주 특별한(좌대사장님이 초짜이거나 엄청 게으르신분이 아니라면)경우가 아니라면
물빠졌을때 보통 바닥공사를 다 해놓습니다
그러므로 이경우는 말풀이나 기타 수초등으로 인해 봉돌이 안착되지 않는 경우로 보입니다

이를 확인하고자 하신다면
일단 바늘을 제거 하시고 봉돌을 아주 큰넘으로 달아서 (아주 큰넘이 없을경우 봉돌을 2~3개 달아)
같은자리에 반복 투척해 보십시요
만약 말풀이나 수초등으로 안착이 안되었을 경우였다면
이런방법을 사용하시면 보통의 경우 아마도 무거운 봉돌이 말풀등 수초를 밀고 내려갈것입니다
만약 밀고 내려간다면?
찌맞춤을 무겁게 풍덩채비로 바닥에 안착시키면 예상외의 상당한 조과를 얻을수도 있습니다^!^

물론 바늘을 뺀상태에서 봉돌을 아주 무거운넘으로 했는데도 안착이 안된다면~
칸수를 변경하거나 아니면 아예 자리를 변경하시는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그정도 수심편차가 심한경우 그의 99%는 말풀아니면 바위입니다.



2025 Mobile Wolchuck